• 제목/요약/키워드: wedding food

검색결과 37건 처리시간 0.023초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 속 등장인물의 복식 고찰 (Analysis of Clothing in a Painting Album of a 60th Wedding Anniversary Feast in the Collection of the National Museum of Korea)

  • 이은주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56권3호
    • /
    • pp.76-98
    • /
    • 2023
  •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회혼례도첩》(덕수6375)에 묘사된 남녀 등장인물의 복식을 분석하고 《회혼례도첩》의 제작 시기를 추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인공 노신랑은 <전안례도>와 <교배례도>에서는 평소 관원으로 착용하던 흑단령을 착용하였다. 그 외 <헌수례도>와 <접빈도>, <중뢰연도>에서는 패영 없는 자립에 옥색 포, 홍색 세조대를 둘렀다. 기럭아범은 자립에 귀 옆에 묶은 패영을 달고 흉배를 부착한 무문 흑단령을 착용하였다. 성인 남자 자손과 하객들은 도포 등 당시의 대표적인 포 종류를 착용하였는데 특히 무관으로 추정되는 인물들은 철릭, 직령을 착용하고 붉은 색 띠와 청색 계통의 띠를 신분에 맞추어 착용하였다. 징씨(徵氏) 등 안내자는 중치막과 홍단령을 착용하였으며 어린 동자들과 시동(侍童)은 중치막을 착용하였다. 술을 따르고 음식을 나르는 총각들은 땋은 머리에 소창의(小氅衣)를 입고 성인들은 전립(氈笠)에 소창의를 착용하였다. 군영 소속의 세악수들은 소색 소창의에 흑색 전복, 그리고 허리에 남색 포대 등 군복을 착용하였다. 둘째, 노신부는 <교배례도>에서는 거두미와 초록원삼 차림을 하였고 <헌수연도>에서는 남치마·옥색저고리 차림이 확인되었다. 여자 자손들은 어여머리에 비녀와 반자, 진주댕기 등의 칠보장식을 하였고 다양한 색상의 저고리에 남색과 홍색, 옥색 등의 치마를 입었다. 남치마에 초록 장옷을 입은 부인도 확인되었다. 홍치마에 초록색 회장저고리를 입은 <교배례도>의 동녀(童女) 4명은 낭자머리에 비녀 꽂고 도다익 댕기를 길게 드리웠으며 칠보족두리를 썼다. 비자(婢子)들은 어여머리에 가리마를 썼으며 양반 부인들과 유사한 치마·저고리를 착용하였으나 색상이 연했고 치마의 길이가 짧았으며 치마의 부풀림 정도가 약하였다. 기녀는 양반 부인과 비슷한 모습이었으나 색상이 덜 화려하였으며 어여머리에는 칠보장식이 없었다. 셋째, 주인공의 자립 착용, 철릭과 직령을 입은 하객들, 군영 소속 세악수 참여 등에 근거하여 회혼례의 주인공이 병조나 군영과 관련된 인물이었을 가능성을 제시하였으며 군영 악대의 전복의 소매 길이와 잠화 사용, 어여머리의 형태와 댕기, 저고리의 길이와 치마의 부풀린 형태 등에 근거하여 《회혼례도첩》의 제작 시기를 1760년대~1780년대로 추정하였다.

떡류(類)의 문헌적(文獻的) 고찰(考察) -(1670년${\sim}1943$년의 우리말 조리서를 중심으로)- (A Bibliographical Study of Dock(Korean rice cake))

  • 맹혜열;이효지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53-162
    • /
    • 1988
  • $D{\acute{o}}ck$ (Korean rice cake) is a peculiar food of Korea made of grain. By means of cooking from, it is defined as 'Pulvberzed food of grain' $D{\acute{o}}ck$ was one of the daily food, but development of boild rice had narrowed it's use to the food of festive days and ceremonies. $D{\acute{o}}ck$ is used as a main food of all Kinds of ceremonies from one's birth to death, such as the Three seven day(a baby's twenty-first day of life), one hunderdth day, birthday, wedding, both brithday, funeral and sacrifical rites, vocational ceremonies, such as a sacrifice to spirits and a srevics for a big catch of fish. It is also used as a present and seasonal food. A large variety of $D{\acute{o}}ck$ is available and its recipe is scientific and reasonable. In this treatise, the Kinds of $D{\acute{o}}ck$ and the frequency of them, the material, the recipe, the measuring unit of material, cooking kitchen utensils and the cooking terms are studied from the books published in Korea from 1670 to 1943. 1. $D{\acute{o}}ck$ was classified as Tcbin $D{\acute{o}}ck$(steamed), Chin $D{\acute{o}}ck$(strikn), Chijin $D{\acute{o}}ck$(fried) and Salmun $D{\acute{o}}ck$(boiled), according to its way of cooking. 2. There were 122 Kinds of $D{\acute{o}}ck$, 57 were Tchin $D{\acute{o}}ck$, 35 Chin $D{\acute{o}}ck$, 20 Chijin $D{\acute{o}}ck$, and 10 Salmun $D{\acute{o}}ck$. 3. There were 34 Kinds of measuring units. Of them, 13 for volume, 4 for weight, 9 for quantity, 4 for length and 4 for the rest. 4. There were 55 Kinds of cooking Kitchen utensils but now many of them are not used because of mechanization or automation of tools of living. 5. There were 143 Kinds of cooking terms. Of them 49 for the preparing process, 25 for the mixing process, 27 for well-forming process 10 for process of getting ready to cook, 14 for heating process, 10 for cutting process, 5 for dishin process and 3 for process of soaking in sugar or honey.

  • PDF

남녀 대학생의 행사식에 대한 인식과 계승의지에 관한 조사연구 (A Study of University Students′ Perceptions and Willingness to Pass on Dietary Practices of Special Foods on Special Events to the Next Generation)

  • 한재숙;김경아;김기선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1권6호
    • /
    • pp.417-429
    • /
    • 2001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university students' eating habits during special occasions and the willingness to pass on traditions of cooking certain dishes on special occasions to the next generation. The procedure of this study included a questionnaire to collect data for this stud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ellows: there were 689 participants. 314 male and 375 female. Most participants were nuclear families(84.5%), Practicing cooking traditions during the special occasions at home on New year's day. Chusuk, Ceremony of a forefather's death, the 15th of the first month. and Winter solstice exceeded 70% of households. In every event, most persons who make the food during the special events at home are mothers. Furthermore, most persons who teach the cooking method are mothers. too. Most foods which were taken In the annual events generally were as fellows : rice cake soup on New Year's Day. boiled rice admixed with four other staple cereals on the 15th of the first month, half-moon-shaped rice cake on Chusuk. a rice-and-mugwort cake on Buddha's birthday, rice and adzuki-bean on the winter solstice and cake on Christmas and wedding anniversary. The results of the survey of perception of food traditions during the special events was as follows ; ‘annual events helped peoples to make relationships with family and relatives deeper’ showed the highest agreement. The willingness to pass on traditional foods for the special days showed the highest agreement on New Year's Day and Chusuk, followed by Ceremony of a forefather's death. the 15th of the first month, and finally the winter solstice.

  • PDF

한국의례음식과 상차림에 관한 인식과 실행(재미 한인 주부를 중심으로) (The Knowledge of Korean Ceremony Foods and Table Setting of Korea]1 American Housewives in the New York/New Jersey area)

  • 심영자;김정선;전희정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15권2호
    • /
    • pp.146-157
    • /
    • 1999
  • 본 연구는 뉴욕 뉴저지 주에 살고 있는 재미한인 주부들을 대상으로 하여 우리 나라 의례음식과 상차림에 대한 의식과 실행을 알아보아 미국생활에서의 한국전통음식문화를 얼마만큼 보전 계승하고 있는지 조사하였다. 1. 의례음식과 상차림의 중요성은 응답자의 57.9%가 중요하다고 생각했고, 의례음식과 상차림을 알게 된 경위는 49.8% 친정어머니, 24.7%가 시어머니한테 배웠다고 응답하였다. 2. 의례음식과 명절차례상차림에 대한 견해는 응답자의 78%가 간소화되어야 한다고 생각했으며 의례음식이 계승발전하기 위하여 중점을 두어야 할 교육은 50.6% 가정교육, 27.3% 대중홍보교육으로 가정교육을 가장 강조하였다 3. 재미 한인 주부들이 가장 잘 알고 있는 상차림은 생일상차림(66.8%), 돌상차림 (43.5%), 백일상차림 (42.4%), 설날과 추석의 차례상차림(52.8%)으로 나타났고, 장국상 차림(21.0%), 주안상차림(23.6%), 혼례시 폐백상차림 (21.4%), 제사상차림(29.2%)으로 나타났으며, 반상차림, 죽상차림, 교자상차림, 회갑상차림은 잘 아는 정도가 17% 미만이었다. 4. 자녀의 돌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응답자의 60%가 평소보다 음식을 더 준비하여 가족과 함께 축하해 주었고, 38%는 전통적인 돌잡이 상을 차려 축하하였다. 자녀의 생일상차림은 응답자의 40%는 친구를 집으로 초대하여 생일 잔치해 주고, 37%는 간단하게 집에서 미역국 끓여먹고 선물해 준다고 하였다. 5. 어른들의 생신상차림은 49%가 친척 친지를 초대하여 식사를 대접하여 축하해 드리고, 38%는 집에서 가족끼리 축하해 드린다고 응답했으며, 부모님의 회갑상차림은 41.3%가 친척 친지와 연회장에서 축하해 드리고, 26.6%가 전통적인 큰상차림으로 친척 친지와 함께 가정에서 축하해 드린다하였다. 6. 결혼식의 폐백음식은 50.9%가 폐백을 준비해주는 집에 맡긴다고 하였고, 30.3%는 일부는 집에서 만들고 일부는 맡긴다고 했으며, 14%만이 전통적인 폐백음식을 집에서 준비한다고 하였다. 결혼식 때의 손님접대 음식 준비에 관한 견해는 66.4%는 연회장에서 대접한다, 29.9%는 집에서 음식을 준비하고 연회장에서 대접한다고 조사된 것으로 보아 결혼음식 준비방식이 상업화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7 제사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40.2%가 전통적인 상차림으로 제사를 지내고 32.5%가 교회 식으로 지내며, 설날과 추석의 차례상차림에 관한 견해는 41.7%는 전통적인 상차림을 하고 31.7%는 조상 님들이 평소에 좋아하시던 음식을 간단하게 마련하여 지낸다고 했으며, 24.7%는 교회 식으로 지낸다고 응답한 것으로 보아 이들 음식은 집에서 전통적으로 차리는 주부가 많았음을 알 수 있었다. 재미한인 주부들의 우리 나라 의례음식과 상차림에 대한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비교적 높은 편이나 알고 있으며 행하는 정도는 몇몇 상차림을 제외하고는 많은 상차림에 대하여 낮았음을 볼 수 있었다. 집안의 여러 가지 풍속과 생활습관, 음식솜씨들을 친정어머니와 시어머니를 통하여 물려받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는데 이러한 맥락에서 다양한 문화와 함께 살고 있는 재미 2세들의 한국 전통음식문화의 계승은 어려움이 많으리라 사료된다. 주부 자신들의 전통음식에 대한 진정한 이해와 함께 우리음식의 뿌리를 내리고 외국음식과 조화를 이루어 나가도록 하는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러므로 또한 재미한인 사회에서의 한국전통음식에 대한 홍보, 교육 강화와 함께 재미교포들 모두 관심과 실행이 촉구되어져야 하겠다.

  • PDF

떡의 이용실태(利用實態) 및 시판제품(市販製品)에 대(對)한 평가(評價) (A Survey on the Utilization of Korean Rice-Cakes and the Evaluation about Their Commercial Products by Housewives)

  • 임국이;김선효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3권2호
    • /
    • pp.163-175
    • /
    • 1988
  • 본 조사는 서울시, 충남 대전시, 경북 영주시, 충남 서천군에 거주하는 530명의 주부를 대상으로 1987. 11. $16{\sim}11$. 28 사이에 떡의 이용실태와 시판제품의 품질특성에 대한 주부들의 평가도를 조사했던 바 여기에서 얻어진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가정에서 이용하는 떡의 종류는 총 37종 이었고 그중 인절미(67.9%), 송편(66.6%), 흰떡 (51.4%), 개피떡(43.4%) 등 일부 도병류의 이용율이 높았고 전병류, 단자류 및 일부 증병류의 이용율은 아주 낮았다. (2) 의례시 떡의 이용율은 혼례때 가장 높았고 상례때 가장 낮았으며 돐, 혼례, 회갑때는 백일, 어른과 아이의 생일, 제사, 상례때보다 떡의 이용율이 높은 경향이었다. (3) 의례시 가장 많이 이용하는 떡은 백일, 돐, 아이의 생일에는 백설기로 어른의 생일, 혼례, 제사, 회갑에는 인절미로 나타났다. (4) 어른과 아이의 생일에는 케이크의 이용율이 (36%내외) 떡보다 높은 경향이었다. (5) 절식시 떡의 이용율은 설날에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이 추석으로 나타났으며 그밖의 절식은 조사대상자의 가정에서 거의 지켜지지 않고 있었다. (6) 전체조사대상주부들중 61.7%가 앞으로도 계속 가정에서 떡을 만들겠다고 응답했던 바 아직까지 대부분의 주부들은 의뢰 또는 구입하기보다는 가정에서 직접 만들고 싶어하는 경향임을 알 수 있었다. (7) 조사대상주부들이 시판제품을 구입하는 이유는 간편해서가(65.8%) 가장 많았고 또한 시판제품을 구입하지 않는 이유는 내 손으로 직접 만들고 싶어서가(44.3%) 가장 많았던 바 두가지 이유가 상반되는 경향이었다. (8) 조사대상주부들은 시판되는 떡의 품질특성중 맛과 색 등 관능적인 면은 비교적 좋게 평가하는 경향이었고 가격, 위생성, 포장 및 저장성 등을 나쁘게 평가하는 경향이었다. 시판제품의 색은 주부의 거주지에 따라 농어촌에 거주하는 주부가 도시에 거주하는 주부보다 더 좋게 평가하는 경향이었다. (p<0.05) 위생성은 주부의 학력과 거주지에 따라 주부의 학력이 높을수록, 농어촌지역보다는 도시에 거주하는 주부일수록 시판제품이 더 비위생적이라고 평가하는 경향이었고(p<0.01) 포장에 대해서는 주택형태에 따라 농가나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부가 단독주택이나 연립주택에 거주하는 주부보다 더 나쁘게 평가하는 경향이었다. (p<0.05) (9) 조사대상주부들은 시판제품의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위생성(37.0%), 가격(23.8%), 포장(15.6%), 맛(11.1%), 저장성(10.1%) 및 색(2.4%) 등의 순으로 지적하였고 주부의 거주지에 따라 대도시에 거주할수록 위생성을, 농어촌에 거주할수록 가격을 가장 개선해야 할 점으로 보는 경향이었다. (p<0.05)

  • PDF

한국 전통 폐백음식에 대한 인식과 전망 (II)-대구지역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Recognition and Prospect for Korean Traditional Pyebaeck Foods in Daegu Area(II))

  • 한재숙;이연정;이수영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3권5호
    • /
    • pp.353-361
    • /
    • 2003
  • 본 연구는 우리 고유의 전통음식인 폐백음식이 더욱 더 계승$.$발전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자 대구지역 주부를 대상으로 하여 폐백음식의 조리법에 대한 인식과 전망에 대하여 조사한 것으로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폐백음식을 본 경험은 “있다”가 94.2% 이었고, 본 장소로는 “예식장”이 62.5%로 가장 많았으며 폐백음식을 장만하는 이유로는 “옛날부터 전해 내려온 전통이라서”가 44.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폐백음식을 가정에서 직접 만들어 본 경험은 “있다”가 51.0%, “없다”가 49.0%이었고, 반면에 폐백음식 전문점에서 구입한 경험은 “있다”가 59.5%, “없다”가 40.5%로 나타났다. 폐백음식을 가정에서 직접 만드는 이유로는“정성이 많이 들어가므로”가 48.8%로 가장 많았고, 반면에 전문점에서 구입하는 이유로는 “편리하므로”가 38.7%로 가장 높았다. 2. 폐백음식의 조리법에 대한 견해는 “복잡하다”가 79.8%로 가장 많았고 폐백음식 조리방법에 대해 아는 정도는 5점 만점에 2.80점으로 대부분의 주부들이 폐백음식의 조리방법을 잘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조리법의 전수자는 “친정어머니”가 31.3%로 가장 많았다. 3. 폐백음식에 대한 전망은 “일부분만 전해질 것이다”가 43.3%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고 폐백음식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으로는 “현대인의 감각에 맞는 다양한 폐백음식 개발”이 31.5%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폐백음식의 산업화 방안으로는 “폐백음식의 우수성에 대한 홍보와 교육이 이루어져야 한다”가 30.4%로 가장 많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폐백음식의 조리법에 대한 낮은 인식을 극복하고 더욱 계승$.$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조리법에 대한 산$.$$.$연 합동의 꾸준한 연구와 교육, 대중홍보 등을 통해 주변에서 많이 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여겨지며 나아가 폐백음식 전문점의 확충과 전문가 활성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또한 전통성과 현대화가 부합되는 조리법을 발굴해 시대에 맞는 폐백음식의 조리법을 개선$.$보완해 나간다면 우리의 아름다운 폐백음식 문화의 전승은 계속 이어질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가족의례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Family Rituals on Family Strengths)

  • 배재현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6권12호
    • /
    • pp.622-635
    • /
    • 2016
  • 본 연구는 가족의례의 종류에 따른 주요활동과 갈등요인들을 확인하고, 가족의례가 가족건강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가족건강성을 높일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성인남녀 216명에게 설문조사하였고,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빈도분석, MANOVA,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식사의례의 주요활동은 '집에서 직접요리'가 가장 많았고, 갈등요인은 '일이 너무 바빠서'가 가장 많았다. 가족주말여가의례의 주요활동은 '근교나들이', 갈등요인은 '가족공동의 시간을 갖기 어려워서'가 제일 많았다. 가족생일의례의 주요활동은 '케익 준비하기', 갈등요인은 '내 생일을 가족이 잊어버려서'가 제일 많았다. 결혼기념일의례의 주요활동은 여성의 경우 '외식하기', 남성의 경우 '꽃이나 선물주기', 갈등요인은 여성의 경우 '배우자가 결혼기념일을 잊어버려서', 남성의 경우 '내가 원하는 축하방식이 아니어서'가 제일 많았다. 명절의례의 갈등요인은 여성의 경우 '배우자가 나의 어려움을 이해해주지 못하는 것 같아서', 남성의 경우 '친척들과의 인간관계 문제'가 제일 많았다. 둘째, 연령에 따라 가족의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의례는 가족건강성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