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xy millet

검색결과 18건 처리시간 0.02초

조 분말의 첨가가 sponge cake의 품질특성에 미치는 영향 (Quality Characteristics of Sponge Cakes Containing Various Levels of Millet Flour)

  • 장학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52-958
    • /
    • 2004
  • 식이섬유원으로서 메조와 차조 분말을 sponge cake 제조에 이용하고자 10-50%의 비율로 첨가하여 cake 제조적성 및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총 식이섬유는 박력밀가루가 2.23%인데 비하여 메조 5.04%, 차조 5.72%로서 2배 이상 높았으며, alkaline water retention capacity는 메조, 차조 모두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다. Rapid Visco Analyser에 의한 호화특성에서 maximum, minimum 및 final viscosity는 메조와 차조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Mixograph에 의한 반죽의 리올로지특성에서 peak time 및 peak height는 메조와 차조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Sponge cake의 crust color의 L 값은 메조의 경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증가하였으나, 차조첨가군은 대조군보다는 L 값이 높았지만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Crumb color의 L 값은 메조, 차조첨가군 모두 대조군보다 낮았으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서 감소하였다. Sponge cake의 부피는 메조 및 차조를 첨가함으로써 감소하였고, 10% 첨가수준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20% 첨가수준부터는 대조군에 비해 품질이 떨어졌다.

메조 및 차조 첨가가 White Layer Cake의 품질특성과 저장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the Millet and Waxy Millet on Properties of White Layer Cake)

  • 이명호;장학길;유양자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395-402
    • /
    • 2005
  • 국내산 메조, 차조 10-50%를 첨가한 white layer cake을 제조하여 메조 차조 첨가가 제품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부피의 경우 차조 10% 첨가구가 가장 높은 부피를 보였으며 메조 및 차조 첨 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였고, 무게는 메조, 차조 40%까지 대조구에 비해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비체적은 메조 및 차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Crumb color의 경우 메조 및 차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L값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어두워지는 것을 알 수 있었으며, a 값은 메 조 첨 가구에서 모두 '-'값을 보여 청색 계열을 나타냈으나 차조의 경우 10, 20%첨가구를 제외한 30% 이상 첨가구에서는 '+'값으로 적색계열의 색을 나타냈다. b 값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높게 나타나 황색 계열의 색이 우세하였다. Curst color는 crumb color에 비해 L값은 낮게 나타냈고, a 값은 9.4-6.3의 범위로 높게 나타났으며, b 값 또한 높게 나타났다. Texture는 메조 10%, 차조 10-20%에서 hardness값이 대조구와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며, 첨가량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는데 이는 메조, 차조 첨가가 조직감 향상에 기여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노화 특성은 메조, 차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노화 속도가 빠른 경 향을 좌였고, 메조보다 차조의 hardness가 높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5℃와 25℃에서 12일 동안 저장 중 노화 특성을 살펴보면 25℃에서 메조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경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고 10 -40% 첨가구는 완만히 증가한 반면 50%, 첨가구는 급격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차조의 경우는 0 day에서 경도는 메조보다 낮은 값을 보였으나 차조 20-50% 첨가구의 경우 경도 증가폭이 높아 메조보다 노화 진행 속도가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5℃ 저장 중 경도의 증가폭은 25℃보다 증가폭이 크고 저장 3일까지는 유의적 차이가 없었으나 6일 이후 크게 증가하였다. 위 의 결과로 5℃, 25℃ 저 장 중 노화도는 5℃ 저장 중 노화가 크다고 할 수 있다. 관능평가에서 외부 특성은 대조구보다 메조가, 메조보다 차조가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어두워지고 딱딱해졌으며, 내부적인 특성의 경우 메조, 차조의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기공이 작고 고르지 못한 조직과 향미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메조, 차조를 첨가한 white layer cake 제조 시 10-20% 첨가구가 케이크의 부피, 색, 기공, 경도 등을 고려하여 적용가능 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내산 조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omestic Millet Starches)

  • 김남수;석호문;남영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9권3호
    • /
    • pp.245-249
    • /
    • 1987
  • 국내산 메조와 차조로부터 전분을 분리, 정제하고 그 이화학적 특성을 구명하였다. 메조전분과 차조전분의 blue value는 각각 0.69, 0.32였으며, 아밀로스 함량은 각각 28.0%, 8.0%였다. 메조전분과 차조전분의 수분결합력은 88.1%와 80.0%였고, 분입자의 크기는 $5{\sim}13\;{\mu}$$7{\sim}17\;{\mu}$였다. 60, $70^{\circ}C$의 호화온도에 비해 80, $90^{\circ}C$의 호화온도에서 괭윤도가 현저히 증대되어 $90^{\circ}C$에서의 메조전분과 차조전분의 팽윤도는 각각 13.58, 18.50%였다. 한편, 용해도도 호화온도 상승에 따라 증가하였다. 0.1% 전분현탁액의 광투과도는 메조전분에 있어서는 $70^{\circ}C$이상, 차조전분에 있어 서는 $65^{\circ}C$이상에서 증가하기 시작했다. 한편, 호화개시온도와 최대점도는 메조전분의 경우 $71.7{\sim}73.7^{\circ}C$, $300{\sim}460\;B.U.$였고, 차조전분에 있어서는 $69.0{\sim}69.3^{\circ}C$, $800{\sim}1080\;B.U.$였다.

  • PDF

찰 전분의 노화특성에 관한 연구 (Retrogradation Properties of Waxy Starches)

  • 김형수;이미숙;우자원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0권6호
    • /
    • pp.794-800
    • /
    • 1988
  • 재래 찰벼 신선찰벼와 다수계 찰벼. 통일찰벼 및 찰보리(수원 227호), 찰수수, 차조, 율무등의 전분을 분리하여 노화 특성에 관하여 글루코아밀라아제에 의한 노화도 측정법, X-선 회절법, ${\beta}-amylolysis$등으로 비교 측정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번째, 6종의 찰 전분을 $0{\sim}5^{\circ}C$에서 20일, 30일 저장했을 때와 냉동, 해동 반복을 20회, 30회 했을 때 노화 속도가 대단히 느리다. 두번째, 노화가 잘되는 순서는 찰수수 > 찰보리 > 차조 > 율무 > 통일찰벼 > 신선찰벼의 순이었으며 찰수수와 찰보리는 다른 전분에 비하여 노화가 잘 되었다. 세번째, 노화를 촉진하는 인자로서 냉동, 해동 30회 반복은 $0{\sim}5^{\circ}C$ 냉장 30일과 비슷한 경향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우리나라에서 단 하나의 장려 품종인 찰보리(수원 227호)는 보리 한알속에 메 전분 입자가 약15% 혼입되어 있으며 앞으로 찰보리 육종에 참고로 하였으면 한다.

  • PDF

차조가루 첨가량을 달리한 설기떡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Sulgidduk Made with Different Amounts of Waxy Millet Flour)

  • 채경연;권태영;홍진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2호
    • /
    • pp.127-133
    • /
    • 2009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optimum amount of waxy millet flour (WMF) to add to rice flour in the preparation of Sulgidduk (waxy millet rice cakes). According to the results, increasing the level of WMF in the formulation caused the moisture contents of samples to increase ($37.14{\sim}38.81%$). The L-value decreased with increasing additions of WMF whereas the b-value increased and the a-value did not differ by the addition of the flour. According to the mechanical evaluation results, hardness increased with increasing amounts of added WMF. Adhesiveness, cohesiveness, gumminess, and brittlenes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nd springiness was highest at the 30% level of WMF. From the sensory evaluation results, the 30% WMF samples received the highest overall-acceptability scores. In conclusion, according to its sensory and mechanical qualities, the optimal Sulgidduk formulation consisted of 30% WMF added to rice flour.

조 배유 특성별 분말 즉석 죽의 품질 특성 및 항산화 활성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Powdery Instant Porridge by Characteristics of Endosperm of Foxtail Millet)

  • 고지연;송석보;최명은;우관식;최지명;곽도연;김기영;정태욱;고종철;오인석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65-473
    • /
    • 2016
  • 영양 및 기능성이 높은 조의 다양한 수요 창출을 위하여 배유 특성이 다른 조를 대상으로 분말 즉석 죽을 제조하고, 이화학적 특징 및 조리 특성 등의 품질과 항산화 활성의 생리활성을 평가하였다. 대상으로 사용한 조 원료곡은 메조 삼다메, 차조 삼다찰을 사용하였고, 물만 부어 바로 섭취할 수 있도록 전분의 호화 후 노화를 막는 가공처리로서 1) 건조곡 볶음, 2) 수침곡 볶음, 3) 찐 후 급속냉동, 4) 팽화처리하고 대조로 5) 원곡을 사용하였다. 재료의 수분 흡착능을 알아보는 WAI는 팽화처리에서 가장 높았으며, 원료곡에 따라서는 차조가 높았다. 즉석 죽 가루의 RVA 특성은 메조의 경우, 가공처리 후 전체적으로 점도 및 setback이 저하되어 열과 수분에 안정적으로 나타났다. 차조는 가공 처리된 즉석 죽을 재호화함에 따라 점도가 크게 증가하였다. 즉석 죽 가루에 뜨거운 물에 부었을 때의 점도는 건조곡 볶음가루 죽은 원료곡 가루죽과 점도 차이가 크게 없었고, 메조는 팽화처리, 차조는 찐 후 냉동건조, 수침곡 볶음 및 팽화처리 분말에서 즉석 죽으로 이용하기에 충분한 점성을 지닌 것으로 판단되었다. 항산화 성분인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컬 소거능은 찐 후 냉동건조를 제외하고는 가공처리에 의해 뚜렷이 증가하였으며, 가공처리 중에는 팽화처리 시 원료곡 폴리페놀 함량 및 ABTS 라디컬 소거능의 1.5배, 1.7배로 가장 증가가 컸다. 배유 특성 및 가공처리별 즉석 죽의 관능검사 결과, 메조 삼다메를 팽화처리한 분말 즉석 죽의 기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뜨거운 물에도 엉김 현상 없이 잘 녹아 가공적성이 우수하였다. 따라서, 죽의 점도 및 수분흡착능은 차조 삼다찰이 높았으나, 항산화 활성, 열과 수분에 대한 안정성, 기호도 및 물에 풀었을 때 엉김 현상을 고려할 경우, 메조 삼다메가 더 우수하였으며, 가공처리방법으로는 팽화처리가 모든 항목에서 가장 우수하였다.

국내산 조전분 호화액의 유동특성 (Rheological Properties of Gelatinized Millet Starch Dispersions)

  • 김남수;남영중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42-748
    • /
    • 1989
  • 국내산 메조 및 차조의 호화전분액의 농도와 온도에 따른 유동특성을 구명하였다. 메조 및 차조의 호화전분액은 의가고성 유체의 성질을 보여주었으며, 각각의 호화전분액 농도에서 일정 전단속도에 대한 전단응력의 크기는 메조전분보다 차조전분이 높았다. 메조와 차조의 호화전분액의 유동특성은 지수법칙에 잘 적용되었으며 이 때 유동지수 n값은 1% 호화전분액에 있어 메조전분의 경우 0.96, 차조전분의 경우 0.74이나, 5% 호화전분액에 있어서는 메조전분의 경우 0.35, 차조전분의 경우 0.24로 농도증가에 따라 의가소성이 증대되었다. 점조도지수 K값의 경우 농도의존성이 보다 현저하였다. 조전분 호화액은 일정농도 이상에서 항복응력을 보이며, 이 때 농도와 항복응력의 평방근 사이에는 직선관계가 있었고 항복응력이 영이되는 호화전분액 농도는 메조전분의 경우 2.19%, 차조전분의 경우 1.69%로 예측되었다. 3% 조전분 호화액에 대하여 온도에 따른 유동특성을 분석시 일정 전단속도에 대한 전단 응력의 크기는 온도가 낮아짐에 따라 증가하였으며, 특히 $20^{\circ}C$의 측정온도에서 이런 현상이 현저하였다. 이때, 측정온도가 높아지면 유동지수 n값은 증가하고 점조도지수 K값은 감소하였는데 이는 메조 및 차조전분에 공통적인 현상이었다. 점조도지수 K값과 온도와의 관계는 아레니우스 식에 잘 적용되었으며, 3% 호화전분액의 경우 활성화에너지는 메조전분의 경우 2.89kcal/mol, 차조전분의 경우 3.18kca1/mo1이었다.

  • PDF

6종의 찰전분의 몇가지 특성비교 (Comparison of Some Properties on Six Kinds of Waxy Starches)

  • 우자원;윤계순;허문회;김형수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28권3호
    • /
    • pp.137-141
    • /
    • 1985
  • 6종의 찰곡류, 즉 찰벼(한강 및 올찰), 찰보리, 차조, 찰수수, 찰옥수수 및 율무에서 전분을 분리하여 그들의 몇가지 이화학적 특성에 관하여 분석 비교하였다. 1. 광학현미경으로 살펴본 전분입자의 크기는 $4.2{\sim}19.0{\mu}$의 범위로서 올찰 4.2, 한강 4.3. 찰보리 14.8, 율무 12.0. 차조 9.6, 찰수수 19.0, 찰옥수수 $13.0{\mu}$이었다. 2. X-선 회절에 의한 결정구조는 A-type이었다. 3. Blue value는 $0.02{\sim}0.08$의 범위였다. 4. Amylopectin분자의 1 segment당 D-glucose 평균 중합도는 $21{\sim}23$이었다. 5. 팽화력은 $180{\sim}280$의 범위로서 차조, 찰보리가 낮은 편이고, 율무, 찰수수, 올찰, 한강 등은 높은 편이다.

  • PDF

Millet 품종별 전분의 이화학적 성질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Millet Starch Varieties)

  • 정구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2권1호
    • /
    • pp.115-118
    • /
    • 2010
  • 메조 전분의 청가와 요오드 친화도는 각각 0.304와 4.22%로 일반 메 전분과 비슷하였으나 기장 전분은 각각 0.098과 1.07%로 찰 전분에 가까운 성질을 보였다. 차조와 찰기장 전분의 청가는 각각 0.056과 0.037, 요오드 친화도는 각각 0.49와 0.21%이었다. 전분의 평균중합도는 메조 전분이 1830이었으며, 나머지 세 전분은 3880-4660으로 비슷하였다. 생전분의 알파 아밀라아제 소화율은 찰기장 전분이 제일 커 35.6% 이었으며, 기장 전분이 제일 적어 18.2% 이었다. 전분 입자의 평균 크기는 기장이 $8.25\;{\mu}m$로 제일 작았으며, 나머지 세 전분은 $10.33-11.53\;{\mu}m$이었다. 입자 분포에서도 기장 전분만 $1.9\;{\mu}m$ 이하와 $20.0\;{\mu}m$ 이상의 크기를 갖는 입자가 없어 좁은 분포도를 보였다. 기장 전분의 호화개시온도가 다른 전분보다 $3.5-4.9^{\circ}C$ 높았으며, 최고 점도와 노화정도를 나타내는 Setback 점도는 메조 전분이 제일 컸다. 메조 전분을 제외하고는 12% 농도에서 겔을 형성하지 못하였으며, 25% 농도에서의 겔 강도는 차조, 기장, 찰기장 순이었다.

제주 전통엿 제조를 위한 최적당화조건 (Optimal Conditions of Saccharification for a Traditional Malt Syrup in Cheju)

  • 김효선;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6호
    • /
    • pp.659-664
    • /
    • 1994
  • 제주 전래 맥아엿의 최적당화조건을 찾기 위하여 곡류, 당화온도 및 시간에 따른 가용성 고형분($^{\circ}{Brix}$), DE, 환원당 및 유리당 변화를 조사하였다. 가용성 고형분에서 찹쌀은 약 $20^{\circ}$Brix, 차조늘 약 $17^{\circ}$Brix에서 평형에 도달하였으며 혼합곡류는 찹쌀과 비슷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찹쌀은 $50^{\circ}C$, 차조는 $55^{\circ}C$에서 3시간 당화조건이 적정 당화조건으로 판단되었다. HPLC에 의한 유리당분석 결과 maltose는 $10{\sim}$13%이며 glucose는 1% 정도이고, fructose포 미량 검출되었다. $^{\circ}{Brix}$와 환원당과의 상관관계는 우수하여(r=0.954) 당화종점을 $^{\circ}{Brix}$의 변화에 의하여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