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quality criteria

검색결과 425건 처리시간 0.036초

정수장 원생동물 분석방법의 국내 실험실간 교차시험 연구 (Interlaboratory Study for Cryptosporidium and Giardia Test Methods in Water)

  • 정현미;박상정;김대균;박상희;김이호;이상호;조주래;이경희;박종근;이목영;변승헌;조은주;임연택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321-327
    • /
    • 2006
  • This interlaboratory study was designed to evaluate protozoan test methods in water and to predict the major causes of deviation of the methods. Each of four laboratories with previous experience of protozoa analysis in water participated, and met the initial performance criteria of EPA 1623 method provided. The protozoan analysis procedure consists of filtrations, concentration, immunomagnetic separation, dyeing (staining) and counting with observation. We tested three different filtration equipments: capsule filter for 10 L of surface water, and high volume (HV) capsule filter and membrane filter for 100 L of finished water. When the recovery of each step of the procedure was evaluated with EasySeed, the commercial stock of each 100 Cryptosporidium and Giardia, immunomagnetic separation and filtration step were the most crucial steps affecting the stability of the recovery, especially for Cryptosporidiu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recovery among the filtration methods. Recovery of protozoa from source water were evaluated with spiked EasySeed as matrix tests. The recoveries of Giardia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matrix tests compared those in the deionized water. We also applied red stained mixture stocks of Cryptosporidium and Giardia called ColorSeed as internal standards of water sample tests. The recoveries of both EasySeed and ColorSeed in samples tested were within the range of the criteria, however, the Giardia recoveries using ColorSeed decreased significantly. Further optimization study with ColorSeed will be necessary, considering the convenience of using the internal standard without additional sample analysis. The significant factors of the recovery variation were identified as the differences of laboratories as well as water quality and type of the stock for spik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quality assurance program for protozoan analysis lab in water.

기상자료와의 연계분석을 통한 수질환경에 대한 가뭄영향 연구 - 감천중권역을 대상으로 (Drought impact on water quality environment through linkage analysis with meteorological data in Gamcheon mid-basin)

  • 조부건;이상웅;김영도;이주헌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56권11호
    • /
    • pp.823-835
    • /
    • 2023
  • 최근 이상기후의 증가로 강우강도가 높아지고 가뭄시기가 지속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환경의 변화는 가뭄 현상의 장기화, 실시간 인지의 어려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가뭄은 강수량, 무강우지속일수 등 으로 판단할수 있다. 가뭄의 영향을 판단하는데 있어 기상학적 가뭄, 농업적 가뭄, 수문학적 가뭄으로 구분되어 가뭄지수를 활용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환경가뭄 평가에 대해서는 미비한 실정이다. 수질오염총량제를 통해 관리되어지고 있는 하천 수질은 이러한 가뭄의 영향을 대비하는데 취약한 부분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가뭄이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가뭄의 지속이 수질에 미치는 가뭄영향을 정량화 하고자한다. 무강우일수, 누적강수량이 하천 수질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하천의 수질을 평가하는데 활용되는 부하지속곡선(Load Duration Curve, LDC)를 활용하여 특정 시기에 발생하는 수질오염을 평가하였다. 감천중권역에서는 무강우일수가 14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 중권역 목표수질을 초과하는 경우가 60%이상으로 나타났다. 누적강우량은 28일을 기준으로 설정하였을때 연간 평균강수량의 3%인 32.1 mm 이하인 경우에 하천에서의 수질변화가 나타났다. 감천 중권역에서는 무강우일수 14일, 28일간 누적강우량이 32.1 mm 이하를 기준으로 기상학적 영향이 목표수질 초과에 영향을 미친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가뭄영향을 정량화하고 향후 환경가뭄에서의 수질환경 가뭄지수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수질학적 관점에서의 수문모델 유출량 보정 방법 평가 (Evaluating Calibration Methods of Stream Flow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 전지홍;최동혁;김정진;김태동
    • 한국물환경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432-440
    • /
    • 2009
  • The effect of selecting hydrologic item for calculating objective function on calibration of stream flow was evaluated by Hydrologic Simulation Porgram-Fortran (HSPF) linked with Model Independent Parameter Optimizer (PEST). Daily and monthly stream flow and flow duration were used to calculate objective function. Automated calibration focused on monthly stream was proper to analyze seasonal or yearly water budget but not proper to predict daily stream flow or percent chance flow exceeded. Calibration result focused on flow duration is proper to predict precent chance flow exceeded but not proper to analyze water budget or predict peak flow. These results indicate that hydrologic item calculated for objective function on calibration procedure could influence calibration results and watershed modeler should select carefully hydrologic item for the purpose of model application. Current, the criteria of stream flow of Korean TMDL is generated based on percent chance flow exceeded, so flow duration should be included to calculate objective function on calibration procedure for the estimation of criteria of stream flow using hydrologic model.

해안방류된 하수처리수가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Coastal Environment by Discharge from the Sewage Treatment Plant)

  • 신범식;김규한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40권1호
    • /
    • pp.127-133
    • /
    • 2020
  • 해안에 위치한 대부분의 하수 처리장의 처리수는 직접 또는 하천을 통해 해안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하수 처리장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의 수질은 하천 및 해안으로 방류되는 수질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에서는 연안에 인접한 하수처리장으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가 연안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현장조사와 수치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다. 해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처리수가 방류된 하천 및 하구 주변에서 채수된 시료로 수질과 저질을 분석한 결과, 하수처리장에서 배출된 처리수는 설계기준을 초과하지 않은 상태로 하천으로 방류되고 있으나, 하구를 통해 해안으로 방류되는 수질은 처리수보다 오염된 상태였다. 해안방류수의 수질악화에 대한 원인은 하구 주변에서 나타난 연안표사에 의해 하구가 일시적으로 퇴적되고, 하구폐색 현상이 발생하여, 하구에서의 정체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처리수가 유입된 하천수가 하계에 부영양화되어 방류됨에 따라, 하구 주변에서 저질, 수질 및 해양 생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연안표사가 강한 동해안의 경우, 해양으로 방류되는 하수처리시설을 계획할 경우, 연안표사에 의한 하구폐색과 같은 처리수의 수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면밀한 검토가 반드시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하계 금강하구 주변해역의 수질특성과 수질변동 요인분석 (Characteristics of Water Quality and factor Analysis on the Variations of Water Quality in Coastal Sea around the Keum River Estuary in Summer)

  • 권정노;김종구;유선재
    • 한국해양환경ㆍ에너지학회지
    • /
    • 제3권4호
    • /
    • pp.3-22
    • /
    • 2000
  • 1998년 하계(6~9월)에 금강하구 주변 해역 11개 정점을 조사하여 공간적인 수질변통 특성을 파악하고, 통계분석 기법의 하나인 요인분석을 동하여 하계 금강하구 주변해역에서의 수질변동 지배요인을 분석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금강하구 주변해역의 화학적산소요구량의 평균농도는 1.36mg/L, 용존무기질소의 평균농도는 28.60㎍-at/L, 용존무기인의 평균농도는 0.48㎍-at/L로 나타났으며, 주성분분석 결과 전체 수질변동의 약 43%를 차지하는 제 1주성분 요인이 담수 유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영양염류와 염분의 변화로 나타나, 담수변통 요인이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수질인자의 합성에 의한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 모델의 개발 (Development of River Recreation Index Model by Synthesis of Water Quality Parameters)

  • 서일원;최수연
    • 대한토목학회논문집
    • /
    • 제34권5호
    • /
    • pp.1395-1408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시민들이 하천에서 안전하고 쾌적하게 레크리에이션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종합 수질 정보를 제공하는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 산정 모델을 개발하였다.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 모델은 분변성 대장균 모델과 수질지수 모델을 통합하여 구성하였다. 분변성 대장균 모델에서는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변성 대장균 등급을 예측하였고, 수질지수 모델에서는 DO, pH, 탁도, 클로로필 a를 퍼지 합성방법을 통해 종합화하여 수질 지수를 산정하였다. 최종 단계에서 분변성 대장균 등급과 수질 지수를 통합하여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를 산정할 수 있도록 모델을 개발하였다. 제안된 모델을 낙동강의 강정고령보 상류 지점에 적용한 결과,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는 개별 수질인자들의 변화를 잘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와 클로로필 a의 상관계수가 -0.85로 나타나 클로로필 a가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모델에서 산정한 종합수질지수는 기존 수질 정보 제공 시스템인 실시간 수질지수보다 보수적인 결과를 보였는데, 이는 등급에 따라 현재의 수질 상태가 어떠한 상태에 속하는지를 계산하고 수질 기준의 불확실성을 적절하게 고려하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나아가서, 분변성 대장균 등급이 낮을 경우 하천 레크리에이션 지수가 분변성 대장균을 고려하지 않고 있는 실시간 수질지수보다 낮은 결과를 제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화학혼화제 고형분량 변동이 콘크리트 품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s on Concrete Quality of Residue Content Change of Chemical Admixtures)

  • 김진철;유혁진;김홍삼;정호진
    • 콘크리트학회논문집
    • /
    • 제26권4호
    • /
    • pp.457-463
    • /
    • 2014
  • 이 연구는 화학혼화제 인수검사 기준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고형분량 변동이 콘크리트 품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현재 한국도로공사의 잠정기준으로 운용 중인 ASTM C 494 기반의 고형분량 변동범위 ${\pm}12%$는 혼화제의 종류 및 고형분량의 특성을 반영하지 못해 혼화제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나타났다. 고형분량 변동에 따른 콘크리트의 품질 변동을 평가한 결과 리그닌은 감수율이 낮은 관계로 고형분량의 변동범위가 큰 반면 나프탈렌계 및 폴리칼본산계 고성능감수제는 높은 감수율로 인하여 인수검사 기준으로 활용 중인 고형분량의 차이에 대한 허용범위 재조정이 요구되었다.

SWAT 모형을 이용한 최적관리기법 적용에 따른 충주댐 유역의 하천수질 개선연구 (Improvement of Stream Water Quality by Applying Best Management Practices to Chungjudam Watershed using SWAT Model)

  • 유영석;박종윤;신형진;김샛별;김성준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54권1호
    • /
    • pp.55-62
    • /
    • 2012
  • This study is to assess the reduction of nonpoint source pollution by applying Best Management Practice (BMP) in Chungju-dam watershed (6,585.1 $km^2$) using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SWAT). The model was calibrated using 3 years (1998-2000) daily streamflow at 3 locations and monthly water quality of sediment (SS), total nitrogen (T-N) and total phosphorus (T-P) data at 2 locations and validated for another 3 years (2001-2003) data. The 5 BMPs of streambank stabilization, porous gully plugs, recharge structures, terrace, and contour farming were applied to stream and area with the specific criteria of previous researches. Through the parameter sensitivity analysis, the farming practice P-factor and Manning's roughness of stream were sensitive. Overall, the NPS reduction effect was high for streambank stabilization, terrace, and contour farming. At the watershed outlet, the SS, T-P, and T-N were reduced by 64.4 %, 62.8 % and 17.6 % respectively.

A Case Study of Extensive Green Roof System for Tropical Climate in Malaysia

  • Kok, Kah Hoong;Jung, Kwansue;Sidek, Lariyah Mohd;Abidin, Mohd Roseli Zainal;Felix, Micah Lourdes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16년도 학술발표회
    • /
    • pp.329-329
    • /
    • 2016
  • Rapid urbanization has taken environmental toll on the surrounding which can be witnessed by the advent of global warming and climate change. Driven by environmental needs, Green Building Index (GBI) was established in Malaysia to drive initiative to lead the property industry towards becoming more environmental friendly. Green roofs (roof with vegetated cover) as one of the assessment criteria of GBI, are gaining attention in the Malaysian society as a versatile new environmental friendly mitigation technology. This paper evaluates the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performances of an extensive green roof at Humid Tropics Centre under local tropical climate. Simulations showed that the extensive green roof system could reduce the peak discharge up to 26% in relation to impervious brown roof. Its reduction ability decreased for storms with intense rainfall. Increment of pH was observed for the green roof runoff and the runoff water quality ranged between class I and II under Water Quality Index (WQI). High concentrations of phosphate were noticed in the runoff samples and substrates (fertilized planting soil) might be the potential contributor. Findings indicate that there was a reduction of around $1.5^{\circ}C$ for indoor temperature of the building after installation of the extensive green roof.

  • PDF

농촌지역의 효율적인 간이 상수처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Efficient Simple Water Supply System in Rural Areas)

  • 이홍근;백남원;백도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03-115
    • /
    • 1996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stablish acceptable criteria for the design of simple water treatment plant in rural areas. To develop efficient simple water treatment methods for rural areas, water quality in the study areas was investigated and rapid and slow filtrations in pilot-scale were tested under various conditions.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It was found that the water qualities of the study areas exceed the drinking water standards, which implies that some treatments are required in rural areas. Treatment efficiencies of both rapid sand and dual-media (sand and anthracite) filtration without pre-treatment such as flocculation and sedimentation are very low, which were turned out to be unadequate for the rural areas. Treatment efficiencies of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slow filtration without chlorination are very high for consumed $KMnO_4, NH_3-N, NO_3-N$, turbidity, and very low for coliform and bacteria. Treatment efficiencies of both vertical and horizontal slow filtration with chlorination are very high over the most pollutants. A slow filtration with chlorination is efficient for the rural areas. An adequate depth of sand layer is over 60 cm. A horizontal filtration is more economical than a vertical filtration. A horizontal filtration can be operated for a relatively long periods of time without sand washing or replacement because clogging is removed by simple back-washing.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