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ter excretion

검색결과 274건 처리시간 0.026초

대구 Gadus macrocephalus 치어의 암모니아 배설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Ammonia Excretion of Juvenil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 오승용;박흥식;노충환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2권3호
    • /
    • pp.147-153
    • /
    • 2010
  • 대구 치어(평균 36.5 g)의 수온 (9, 11 그리고 $13^{\circ}C$)에 따른 절식 (fasting)과 식후(post-prandial) 총암모니아성 질소 (total ammonia nitrogen, TAN) 배설의 일간 패턴과 배설률을 조사하였다. 실험어는 10일 이상 실험 수온에서 순치한 후 각 실험 수온 조건의 암모니아 배설 측정 시스템으로 옮겨 TAN 배설률을 측정하였다. 절식 TAN 배설은 72시간 절식 후 측정하였고, 식후 TAN 배설은 상품 사료(단백질 함량 40.6%)를 하루에 두 번(08:00, 16:00h), 7일간 공급한 뒤 측정하였다. 실험어 사육수조 유입수와 배출수를 2시간 간격으로 24시간 동안 채수하여 TAN을 분석하였으며, 모든 실험 조건은 3반복으로 실시하였다. 절식 및 식후 TAN 배설 모두 수온 상승에 따라 증가하였다 (p<0.05). 절식 시 시간당 평균 TAN 배설률은 수온 9, 11 그리고 $13^{\circ}C$에서 각각 9.3, 11.0 그리고 $11.9mg\;TAN\;kg\;fish^{-1}\;h^{-1}$이었고, $11^{\circ}C$$13^{\circ}C$$9^{\circ}C$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p<0.05). 식후 시간당 평균 TAN 배설률의 경우 수온 9, 11 그리고 $13^{\circ}C$에서 각각 23.0, 31.6 그리고 $45.4\;mg\;TAN\;kg\;fish^{-1}\;h^{-1}$으로 나타났다. 최대 평균 TAN 배설률은 최초 사료 공급 10시간 후 나타났으며, 수온 9, 11 그리고 $13^{\circ}C$에서 각각 38.0, 52.9 그리고 $77.5\;mg\;TAN\;kg\;fish^{-1}\;h^{-1}$이였다. 수온 9, 11 그리고 $13^{\circ}C$에서 섭취한 질소에 대한 TAN 배설 비율은 각각 43.9, 46.4 그리고 48.4%로 나타나 $11^{\circ}C$$13^{\circ}C$$9^{\circ}C$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에서 수온은 대구 치어의 질소 대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장기능(腎臟機能)에 대(對)한 Acetylsalicylic Acid 의 작용기전(作用機轉)에 관(關)하여 (On the Mechanism of the Action of Acetylsalicylic Acid on Renal Function)

  • 서재희
    • 대한약리학회지
    • /
    • 제5권1호
    • /
    • pp.57-64
    • /
    • 1969
  • Acetylsalicylic acid, administered intravenously in a dose of 120 mg+250 mg/h, markedly decreased the urinary excretion of sodium and chloride, and slightly depressed potassium excretion, so that the ratio of urinary concentrations of potassium to sodium increased after ASA. Osmolar and free water clearances also diminished during water diuresis, and free water reabsorption $(T^cH_2O)$ decreased after ASA during mannitol diuresis. Glomerular filtration rate and urine flow rate changed little. When infused directly into a renal artery, ASA exhibited identical action on both kidneys, indicating that the renotropic action is mediated by some endogenous humoral agents or by some metabolites of ASA. A dose of 100 mg i.v. of spironolactone, a aldosterone antagonist, slightly reversed the renal reflect when given during maximum action of ASA. Ethacrynic acid could display its full diuretic action unhindered during maximum ASA action. Above observations lead to the suggestion that acetylsalicylic acid might release aldosterone and the action on electrolyte excretion may be mediated by the mineralocorticoid.

  • PDF

The Effect of High-Salted Mineral Water on Blood Pressure and Sodium Excretion

  • Park Seung Kyu;Lee Hae Jin;Kim Dong Heui;Deung Young Kun;Yang Eun Ju;Lim Soo Jung;Ryang Yong Suk;Kim Hyun Won;Lee Kyu Jae
    • 대한의생명과학회지
    • /
    • 제11권3호
    • /
    • pp.275-279
    • /
    • 2005
  • High-salted mineral water (Daehan Deep Water, Korea) that is pumped up from below the sedimentary rock layer of Dadaepo, Busan, Korea has a composition similar with that of deep sea water. Under the well-being boom, the mineral water is processed for various uses including washing or oral administration. However, high concentrations of various minerals in the mineral water are suspected to affect on the physiology of human body, especially on blood pressure (BP). Here, we examined the effect of Hot Mineral(R), dried powder of the mineral water, on the change of BP. Sprague­Dawley rats were grouped and orally administered $2.5\%$ Hot Mineral(R) (group M), $2.5\%$ NaCl (group S) or normal water (group C). Excreted urine was collected in metabolic cage for 24 hours. The systolic blood pressure (SBP) of the group S was remarkably increased (P<0.005) compared with that of the group M and the group C, which showed little changes of the SBP during 2 weeks. While average daily sodium intake were 0.32 mg in the group C, 6.64 mg in the group M and 4.07 mg in the group S, average daily sodium excretion were 11.37 mg, 53.70 mg and 7.75 mg,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sodium excretion in the group M was much hig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In this study, we suppose that the plenty amount of minerals such as calcium, potassium and magnesium in Hot Mineral? have an effect not to increase the SBP and to prompt sodium excretion out of the body. Therefo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oral administration of appropriate amount of Hot Mineral(R) for limited period does not induce increased SBP.

  • PDF

Fluoride Intake by the Duplicate-Diet Technique and Urinary Excretion in Korean Children Aged 3-6 Years

  • Jung, Se-Hwan;Ma, Deuk-Sang;Ryu, Jae-In;Hwang, Jung-Hee;Kho, Young-Lim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1권6호
    • /
    • pp.475-482
    • /
    • 2005
  • This study aimed to determine the fluoride intakes in 120 preschool children aged 3 to 6 residing in Jumunjin (community water fluoridation area) and Gangneung (non-fluoridation area). The parents were asked to collect 24-hour urine samples and to duplicate the samples of all the diets that their children ingested in the day of urine collection. The acid-diffusible fluoride in the food and non-carbonate beverages were isolated by the acid-diffusion technique and then measured with a fluoride electrode. The fluoride in carbonate beverages, drinking waters and urine samples were measured directly with a fluoride electrode. The geometric mean (geometric standard deviation) of daily fluoride intakes from all kinds of diet was 5.99 (2.27) $\mu$g/kg/day in the children in Gangneung and that of the children in Jumunjin was 18.36 (2.69). The amount of fluoride intake by food and drinking water in fluoridation area were significantly larger than that in non-fluoridation area but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fluoride intake by beverages between two areas was not observed. The GMs (GSDs) of daily fluoride excretion by urine of children in non-fluoridation area and in fluoridation area were 8.39 (1.73) and 18.62 (1.77) $\mu$g/kg/day, respectively. The correlation between fluoride intake from diet excluding beverage and urinary excre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t is concluded that the amount of fluoride intake of children living in fluoridation area did not exceed the upper intake level to avoid the risk of dental fluorosis (2.2 mg/day in 4- to 8-year-olds) and urinary excretion of fluoride was good indicator of fluoride intake from diets.

강도다리 Platichthys stellatus 치어의 암모니아 배설에 미치는 수온의 영향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Ammonia Excretion of Juvenile Starry Flounder Platichthys stellatus)

  • 오승용;장요순;노충환;최희정;명정구;김종관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1-6
    • /
    • 2009
  • 강도다리 치어(평균 $42.4{\pm}3.4g$, 총 45마리)의 수온(10, 15 그리고 $20^{\circ}C$)에 따른 절식과 식후 총암모니아성 질소 (total ammonia nitrogen, TAN) 배설을 조사하였다. 절식 및 식후 TAN 배설은 순환여과식 시스템 내에서 24시간 동안 3반복으로 측정하였다. 절식 TAN 배설은 실험 수온에 10일 이상 순치한 후 암모니아 측정 시스템에 옮겨 3일간 절식 후 측정하였고, 식후 TAN 배설은 상품 사료(단백질 함량 50.2%)를 하루에 두 번(08 : 00, 16 : 00 h), 7일간 공급한 뒤 실시하였다. 절식과 사료 공급에 따른 TAN 배설은 수온 상승에 따라 증가하였다(p<0.05). 절식 시 수온 10, 15 그리고 $20^{\circ}C$에서 시간당 평균 TAN 배설률은 각각 10.9, 11.2 그리고 $12.2mg\;TAN\;kg\;fish^{-1}\;h^{-1}$이었고, $20^{\circ}C$$10^{\circ}C$$15^{\circ}C$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식후 시간당 평균 TAN 배설률의 경우 수온 10, 15 그리고 $20^{\circ}C$에서 각각 33.0, 43.4 그리고 $55.3mg\;TAN\;kg\;fish^{-1}\;h^{-1}$으로 나타났다. 두 번의 peak TAN 배설률이 나타났으며, 두 번째 peak가 첫 번째보다 높았다. 최대 TAN 배설률은 최초 사료 공급 10시간 후 나타났으며, 수온 10, 15 그리고 $20^{\circ}C$에서 각각 45.3, 64.5 그리고 $83.2mg\;TAN\;kg\;fish^{-1}\;h^{-1}$이었다. 수온 10, 15 그리고 $20^{\circ}C$에서 섭취한 질소에 대한 TAN 배설 비율은 각각 43.0, 45.7 그리고 48.8%로 나타나 $20^{\circ}C$$10^{\circ}C$$15^{\circ}C$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이상의 결과는 강도다리 치어의 수온에 따른 암모니아 배설을 추정하고 수질관리 및 사육관리를 위한 실험적 자료를 제공한다.

Assessing Nitrogen and Phosphorus in Excreta from Grower-finisher Pigs Fed Prevalent Rations in Vietnam

  • Vu, T.K.V.;Sommer, G.S.;Vu, C.C.;Jorgensen, H.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3권2호
    • /
    • pp.279-286
    • /
    • 2010
  • Livestock production in Vietnam is, as in most Asian countries, increasing rapidly and changing into specialized highly intensified operations. The volume of animal excreta generated exceeds the capacity of the operation land base and cannot be utilized efficiently. As a consequence, there is a loss of plant nutrients from livestock farms that causes environmental pollution. This study carried out a feed and excretion experiment measuring fecal characteristic, daily fecal production, daily nitrogen and phosphorous excretion from grower-finisher pigs fed prevalent rations in Vietnam. Furthermore, equations for assessing the excretion were tested, which can be used in farm models for optimal recycling of manure while focusing on reducing pollution. The results indicated that fecal production and nutrient excretion were affected by the different rations tested. This study showed that five selected equations for predicting excretion from grower-finisher pigs in Danish conditions can also be used with precision in Vietnamese pig farming systems. The equations have been proven valid and can, therefore, be used as a much needed tool for assessing fecal production and nitrogen in excreta on pig farms. The study also showed that about 12% of nitrogen excreted was emitted during housing. Waste water contains more than half of the nitrogen excreted, mainly in ammonium form which has a high potential for gaseous emission.

일간지를 통해 본 주거환경문제의 연구 ( II ) - 분뇨에서 변소의 정착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f Housing Environment Problems through the Daily newspapers ( II ) -Centering around a excretion and fixing process of lavatory-)

  • 신경주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3권2호
    • /
    • pp.89-99
    • /
    • 1992
  • We discussed the change of housing environmental problems from the early 1900s to the present in Study(I). This study(II) which secendly research of study(I) analyzed the fixing precess of a lavatory centering around a excretion which was a serious housing environmental problem in 1920 to 1940. The documentary research method was used for this study. Articles of content analysis(N=185) were published in 1920 to 1990 which were The Deng-A daily news article about a excretion and a lavatory. The main content of this study was examined the change, such as the number of whole article, the column number of article by time series. and the content of article by subject. 1. The number of whole article by time series was collected mainly in1920s-1930s. In 1940s-1960s, one-two column of article was appeared generally and three-four, five column of article was appeared in 1970-1980. 2. Contents of article was divided into two classes, excretion and lavatory. Contents of excretion was 1) a use of fertilizer 2) the method of transportation 3) a cost of gathering 4) a place of disposal 5) the problem of cleaning. Contents of lavatory was 1) a public lavatory 2) a flush toilet 3) a sanitary conditions 3. 1) A use of fertilizer was concentrated in 1920s-1930s, and problems of it was solved more or less by change of management method. Transportation of excretion developed such as \ulcornerGue\ulcorner->a coach of tank style->underground transportation->a dung car of absorption style. Disposal place of excretion was a cause of dissatisfaction in 1920s and it is serious problem Today. A duty of excretion gathering was transfered to a private worker in 1978. The accunulation problem of excretion was continued until 1940s-1950s. The management law of waste matters was proclaimed in 1986. 2) A public lavatory was planned in 1924 for the first time, and it is insufficient in these days, A settlement of public lavatory in building which has upward of 20pyung became obligation in 1973. The problem of water contamination which by poor septic tank was happened in 1970s-1980s.

  • PDF

굴, Crassostrea gigas의 대사율에 미치는 수온 및 개체크기의 영향 (Effect of Temperature and Body Size on Oxygen Consumption and Ammonia Excretion of Oyster, Crassostrea gigas)

  • 신윤경;허영백;명정인;이식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261-267
    • /
    • 2008
  • 수온 및 염분에 따른 굴의 일반적인 대사경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수온과 개체크기에 따른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 질소 배설률을 측정하였으며, O:N원자비를 산출하였다. 산소소비율과 암모니아 질소배설률은 개체의 크기가 작을수록 높았으며, 수온증가에 따라 증가하였다. O:N 원자비는 일반해수에서 8-40의 범위에 있었으며, 수온 $25^{\circ}C$에서 O:N 원자비는 8로 감소하였는데, 이는 산란기에 주요 대사기질로서 단백질을 이용하며, 단백질의 요구가 큰 것으로 추정된다. 이 결과는 굴양식장의 지속적인 관리 및 적정 수용력 산정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하다.

  • PDF

닭에 있어서 사료섭취의 자유 및 제한급여시킬 때의 사료섭취량, 음수량 및 수분 배설량에 미치는 맹장결찰 및 인공항문 수술의 효과 (Effects of Cecal Ligation and Colostomy on Food and Water Intake and loafer Excretion in Chickens Fed Restrictedly and Freely)

  • Son, J.H.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259-263
    • /
    • 2002
  • 본 연구는 닭에 있어서 맹장을 포함한 하부소화관으로 요(尿)의 역류가 음수량 및 수분 배설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를 또한 사료의 섭취량이 요 (尿)의 역류량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를 시험하였다. 급여사료를 제한 및 무제한 급여의 양조건에서 사육된 대조구 닭과 맹장이 결찰된 닭에 인공항문 수술을 실시하면 음수량, 총 수분배설량 및 음수량/사료섭취 량이 유의하게 증가(P<0.05)하였으며 이 증가량은 사료섭취 량을 무제한 급여하였을 때가 제한 급여하였을 때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사료의 섭취량을 무제한으로 하였을 때에 대조구 닭과 인공항문이 장착된 닭에 맹장결찰 수술을 실시하면 음수량, 총 수분 배설량 및 음수량/사료섭취량이 유의하게 증가(P<0.05)하였지만, 제한급여 조건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 제한 급여 및 무제한 급여의 양 조건에서 수분균형은 인공항문 수술 및 맹장결찰 수술에 따른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대조구 닭과 맹장이 결찰된 닭에서의 인공항문 수술은 사료섭취 량을 증가(P<0.05)시켰지만. 대조구 닭과 인공항문이 장착된 닭에서의 맹장결찰 수술은 사료섭취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 닭에 있어서 맹장을 포함한 하부소화관은 수분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요(尿)로부터 수분을 재 흡수하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결론을 내린다.

다시마 추출물의 급여가 당뇨쥐의 중성스테로이드와 담즙산 배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Sea Tangle Extracts on the Excretion of Neutral Steroids and Bile Acid in Diabetic Rats)

  • 장민아;이경순;서정숙;최영선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1권5호
    • /
    • pp.819-825
    • /
    • 2002
  • 본 연구는 메탄올과 물에서 각각 추출한 다시마 추출물을 급여한 흰쥐에게 당뇨를 유도하고 다시마 추출물의 섭취가 당뇨병의 혈관계 합병증의 유발과 관련되는 체내 지질대사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흰쥐에게 다시마의 메탄올추출물(2%, w/w)과 물추출물(4%, w/w)을 식이에 첨가하여 4주간 급여하고, streptozotocin(STZ, 45 mg/kg BW)으로 당뇨를 유도한 후 혈당, 혈중 콜레스테롤과 중성지질, 변의 수분 함량과 중량, 변의 스테로이드 및 담즙산 함량을 측정하였다. 당뇨 유발로 인해 흰쥐의 체중 감소가 현저하였으며 식 이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메탄올추출물 급여군보다 물추출물 급여군에서 당뇨에 의한 체중감소가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에 따른 식이효율의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으나 식이 섭취량은 물추출물 급여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이었다. 혈당 변화는 당뇨를 유도하고 다시마추출물을 급여하지 않은 대조군에 비해 다시마추출물 급여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추출물의 종류에 따른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다시마추출물을 급여한 군에서 중성 지질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나 추출물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인지질 함량은 다시마추출물 급여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약간 높았으나 메탄올추출물과 물추출물간의 차이는 관찰되지 않았다. 혈장에서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실험군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없으나 대조군과 메탄올추출물 급여군에 비해 물추출물 급여군에서 그 함량이 높았다 분변의 건조중량은 다시마의 물추출물 급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분변 중의 수분 함량은 유의적이지는 않지만 대조군이나 메탄올추출물 급여군보다 물추출물 급여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변으로 배설되는 콜레스테롤 함량은 메탄올과 물에서 각각 추출한 다시마 추출물 급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특히 물추출물 급여군에서 가장 많이 배설되었다. 하루에 변으로 배설되는 coprostanol함량은 다시마의 물추출물 급여군에서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변으로 배설되는 담즙산의 함량은 메탄올과 물추출물 급여군에서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서 볼 때 다시마추출물 섭취는 콜레스테롤과 같은 중성스테로이드의 배설을 촉진시킴으로써 당뇨로 인해 발생하기 쉬운 합병증인 동맥 경화증의 예방적 효과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