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warm temperature zone

검색결과 54건 처리시간 0.021초

두륜산의 식물자원 (Plant Resources of Mt. Du Ryun)

  • 도상학;박수현
    • 생약학회지
    • /
    • 제2호2호
    • /
    • pp.99-118
    • /
    • 1971
  • The flora of Mt. Du Ryun were investigated by the authors from November 3, 1955 to July 21, 1970. 1) Mt. Du Ryun is located at Heanam-Gun, Junla-Nam Do, Korea (between longitude $126^{\circ}\;35'\;E$ and $126^{\circ}40'{\;}E$, and between $34^{\circ}25'$ N.L. and $34^{\circ}30'$ N.L. on the latitude.). Average temperature is $14.1^{\circ}C$, and precipitation per annum 1,488.7mm. 2) On the whole, the observed floral region consisted of 5 formas, 56 varieties, 770 species, 440 genera, 159 families, in 86 orders. 3) The medicinal plants in the area include 321 species, 242 genera and 120 families. 4) The region includes 2 formas, 7 varieties, 30 species in 24 families of evergreen trees. It was pointed out that this area is a typical warm zone in the Korean flora.

  • PDF

토끼의 초저체온증 회복을 위한 식도가온법에 관한 연구 (Effects on the Esophageal Rewarmer for Repairing in Rabbits with Profound Hypothermia)

  • 정병현;이병한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17권1호
    • /
    • pp.138-144
    • /
    • 2000
  • The studies were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esophageal thermal tube for rewarming in the hypothermia in rabbits. Thiry-one rabbits were continuously cooled with femoral arterio-venous bypass circulation to 25.0${\pm}$0.3$^{\circ}C$(profound hypothermia) of rectal temperature. The experiment was consisted with 3 esophageal thermal tube groups perfused with circulation water at 38${\pm}$1$^{\circ}C$(low, n=12), 42${\pm}$1$^{\circ}C$(medium, n=12), and 45${\pm}$1$^{\circ}C$(high, n=7). Esophageal thermla tube specially constructed double-lumen esophageal tube with circulating warm water at respective htermal grade. With this device, rewarming of the rabbits as follows; High-esophageal thermal tube group(45${\pm}$1$^{\circ}C$)had a more effect on mean arterial pressure(MAP), heart rate(HR), esophageal temperature, and rectal temperature than others groups, but the circulation water at 45$\pm$1$^{\circ}C$ may cause thermal injuries in the esophagus because esophageal temperature increased to 41.1$^{\circ}C$. Medium-esophageal thermal tube group(42${\pm}$1$^{\circ}C$) had a more effect on RR than others groups, but the circulation water at 42${\pm}$1$^{\circ}C$ may also cause thermal injuries in the esophagus if the temperature exceeds 42$^{\circ}C$ for an extended period of time because its esophageal temperature increased to 39.4$^{\circ}C$. Low-esophageal thermal tube group(38${\pm}$1$^{\circ}C$) had a more effect on MAP, RR, and esophageal temperature than others groups. In conclusion, rewarming of the central core in the treatment of profound hypothermia using the esophageal thermal tube perfused with circulation water at 38${\pm}$1$^{\circ}C$ appears to be a ideal alternative safety zone of the temperature of circulation water avoiding thermal injury in esophagus causing by out of order or lower precise thermostat of water bath to that of others groups.

  • PDF

한국 남$\cdot$서해 및 동중국해$\cdot$북부해역에 출현하는 표층수온전선과 선망어장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ST Fronts and Purse-seine Fishing Grounds in the South-West Sea of Korea and the Northern Area of the East China Sea)

  • 양영진;김상현;노홍길;정동근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618-623
    • /
    • 1999
  • 표층 수온전선과 어장형성과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하여 1991년부터 1996년까지 한국선망 41개 선단의 어획자료와 인공위성에 의해 관측된 표층수온자료로부터 구한 표층수온전선과의 관계를 분석 정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남해 및 동중국해 북부 해역의 선망어장은 주년 전선대 및 그 주변 대마 난류수 연변부에서 좋은 어장이 형성되고 있지만 전선역어장 외에 동계에는 제주도 서쪽 해역의 Water pocket내의 난류역어장, 제주도와 고도열도 사이 등고수온선이 심한 굴곡부내의 대마난류 주류역 어장, 동$\cdot$춘계 대마도 주변의 지형성 와류어장등으로 대별되고 한국 남서부 해역에도 하$\cdot$추계에 연안 전선대 외측과 황해저층냉수 사이의 황해난류역에 좋은 어장이 형성된다.

  • PDF

지난 반세기 동안 남한에서 관측된 1월 최저기온의 연차변이 (The Observed Change in Interannual Variations of January Minimum Temperature between 1951-1980 and 1971-2000 in South Korea)

  • 정재은;정유란;윤진일;최동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6권4호
    • /
    • pp.235-241
    • /
    • 2004
  • 1월의 최저기온을 대상으로 1951년부터 2000년까지 14개 지점의 관측자료를 분석한 결과 11개 지점에서 전반기(1951-1980)에 비해 후반기(1971-2000)의 연차 변이가 오히려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표준편차로 표현할 경우 제주, 전주, 울릉도를 제외한 나머지 11개 지점에서 많게는 0.35(서울)에서 적게는 0.03(강릉)까지 고르게 연차변이가 감소하였다. 이는 최근의 난동화 경향과 함께 겨울철 최저기온의 연차변이가 더 심해지고 있다는 당초의 예상과 다른 결과이다 연차변이의 공간분포양상은 최저기온의 절대값과 정의 상관을, 관측점의 해발고도와는 부의 상관을 보였다. 이 관계를 이용하여 남한전역의 1월 최저기온 30년 표준 편차 분포도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재현기간별로 기대되는 전국의 극최저기온 분포도를 제작하여 지역별 동해위험 평가에 이용토록 하였다.

Northern distribution limits and future suitable habitats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tree species designated as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in South Korea

  • Sookyung, Shin;Jung-Hyun, Kim;Duhee, Kang;Jin-Seok, Kim;Hong Gu, Kang;Hyun-Do, Jang;Jongsung, Lee;Jeong Eun, Han;Hyun Kyung, Oh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4호
    • /
    • pp.292-303
    • /
    • 2022
  • Background: Climate change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geographical distribution of plant species worldwide. Selecting indicator species allows for better-informed and more effective ecosystem management in response to climate change. The Korean Peninsula is the northernmost distribution zone of warm temperate evergreen broad-leaved (WTEB) species in Northeast Asia. Considering the ecological value of these species, we evaluated the current distribution range and future suitable habitat for 13 WTEB tree species designated as climate-sensitive biological indicator species. Results: Up-to-date and accurate WTEB species distribution maps were constructed using herbarium specimens and citizen science data from the Korea Biodiversity Observation Network. Current northern limits for several species have shifted to higher latitudes compared to previous records. For example, the northern latitude limit for Stauntonia hexaphylla is higher (37° 02' N, Deokjeokdo archipelago) than that reported previously (36° 13' N). The minimum temperature of the coldest month (Bio6) is the major factor influencing species distribution. Under future climate change scenarios, suitable habitats are predicted to expand toward higher latitudes inland and along the western coastal areas. Conclusions: Our results support the suitability of WTEB trees as significant biological indicators of species' responses to warming. The findings also suggest the need for consistent monitoring of species distribution shifts. This study provides an important baseline dataset for futur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indicator species' responses to changing climate conditions in South Korea.

위성원격탐사에 의한 동한난류 주변 해역의 색소농도 공간적 분포 -1980년 5월 관측을 중심으로 - (Spatial Distribution of Pigment Concentration Around the East Korean Warm Current Region Derived from Satellite Data - Satellite Observation in May 1980 -)

  • 김상우;재등성일;김동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265-272
    • /
    • 2002
  • 동한난류 주변 해역의 해색전선과 수온전선의 공간적 분포 특성을 CZCS와 AVHRR 위성자료를 이용하여 살펴보았다. 동한난류 주류의 난수 streamer 주변 해역의 색소농도와 SST의 공간적 분포를 살펴본 결과, 식물플랑크톤의 흡수보다는 황색물질이나 용존유기물질과 같은 부유물질에 의해 높은 색소농도를 나타낸 연안냉수해역, 연안의 부유물질에 의한 영향과 식물플랑크톤에 의한 영향이 혼합된 특성이 나타난 색소농도가 높은 수온전선의 냉수해역, 외해수의 특성과 유사한 순수한 식물플랑크톤의 영향에 의해 색소농도가 높은 난수중첩해역, 식물플랑크톤의 홉수에 의해 지배를 받고 있으나 색소농도가 적은 난수해역, 식물플랑크톤의 흡수에 의한 영향으로 색소농도가 높은 외해해역의 5개 범주로 구분할 수 있었다. 동해안을 따른 연안냉수해역의 높은 색소농도의 확장은 동한난류의 흐름에 크게 영향을 받고 있으며, 동한난류의 난수 내부에 있는 낮은 색소농도와 분리된다. 또한, 동한난류해역 주변의 색소 농도와 SST 사이의 관계는 전체적으로, 색소농도가 높은 곳은 수온이 낮은 곳에 나타나고 있으며, 색소농도가 낮은 곳은 수온이 높은 곳에서 나타났다. 색소농도가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은 수온전선해역 냉수쪽에서 가장 높은 550nm 반사와 비교적 높은 443nm 흡수와 일치하는 일반적인 연안수와 같이 식물플랑크톤 단독으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부유물질과 동시에 나타났다. 그리고, 또 다른 색소농도의 높은 농도가 외해수에서 나타난 것과 유사하게 난수 streamer 내부에서 나타났으며, 이것은 연안의 부유물질의 영향은 거의 받지 않은 식물플랑크톤에 의해 색소농도가 높은 것을 알았다. 동한난류 해역과 같이 색소농도가 높은 해역에서 SST와 색소농도 영상만으로 복잡한 물리 생물학적인 현상에 기인한 모든 현상을 이해하기는 어렵지만, 광범위한 해역에서 이러한 현상을 이해하는데 위성자료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판단된다. 또한, 현재 운용중인 NASA의 Seastar에 탑재된 SeaWiFS (Sea-viewing Wide Field-of·view Sensor)에 의한 보다 정확한 식물플랑크톤 색소농도 자료는 현장에서 측정된 관측자료와 더불어 동한난류 해역의 물리$\cdot$생물학적인 시공간변동을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을 줄 것이라 사료된다.

The oceanic condition of the Tsushima Warm Current region the southern part of the East Sea (Sea of Japan) In June, 1996

  • 이충일;조규대
    • 해양환경안전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해양환경안전학회 2003년도 추계학술발표회
    • /
    • pp.167-174
    • /
    • 2003
  • Oceanic conditions of the Tsushirm Wann Current (1WC) region in the southern area if the East Sea (the Japan Sea) are examined using data obtained from a CREAMS (Circulation Research if the East Asian Marginal Seas) cruise in June 1996. In 1990s, a lower temperature appears in $19\%$ and in this period, two branch of the TWC exist and the first branch of the TWC flows inshore if the Japanese coastal region compared to tfr1t in the other years, especially in the sfr1llower water layer at less th:1n about 2mm. The TWC cored with the higher salinity (>34.6 psu) is clearly observed over the continental shelf zone in the Japanese coastal region and offshore and identified by geostrophic calculation Intrusion if the TWC into the East Sea through the Korea Strait (the Tsushima Strait) makes the density structure in the water column change and the water mass in the TWC region is unstable based on Brunt- Vaisala frequency.

  • PDF

한반도 비자나무림의 식생구조 (Vegetation Structure of the Torreya Nucifera Stand in Korea)

  • 신현철;이광수;박남창;정수영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99권3호
    • /
    • pp.312-322
    • /
    • 2010
  • 한국에서 비자나무는 남해안 및 제주도의 온난 기후대에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사찰과 향교 주변 등에서 주로 보호림으로 조성되어 오고 있다.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한반도의 대표적 비자나무 임분에서 식생구조분석을 실시함으로서 현재 비자나무 식생군락의 동태를 파악하고 이로부터 적절한 임분 보전대책을 수립하는데 있다. 비자나무 임분 내에서 조사된 종수는 총 148종이었으며, 교목층 임분에서 출현수종 28종, 아교목층 출현수종 38종, 그리고 관목층 출현수종 82종의 목본 관속식물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된 비자나무 임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종은 쥐똥나무, 송악 및 마삭줄이었다. 조사지역 모든 층위에서 비자나무가 우점종 이었으나, 아교목층 및 관목층에서는 그 우점치가 다소 떨어져 임분 쇠퇴현상이 나타났는데, 이러한 사실은 교목층 임분의 수관발달 및 아교목층에서의 생장편의에 의한 결과이다. 비자나무림의 교목층과 아교목층은 천연발아에 의해 조성된 임분이 대부분이다. 따라서 조사된 우리나라 비자나무림에 대한 건강한 임분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도태 간벌시업을 응용함으로서 과도한 수관경쟁의 조정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는 바이다.

Physiological and transcriptome analysis of acclimatory response to cold stress in marine red alga Pyropia yezoensis

  • Li-Hong Ma;Lin Tian;Yu-Qing Wang;Cong-Ying Xie;Guo-Ying Du
    • ALGAE
    • /
    • 제39권1호
    • /
    • pp.17-30
    • /
    • 2024
  • Red macroalga Pyropia yezoensis is a high valuable cultivated marine crop. Its acclimation to cold stress is especially important for long cultivation period across winter in coasts of warm temperate zone in East Asia. In this study, the response of P. yezoensis thalli to low temperature was analyzed on physiology and transcriptome level, to explore its acclimation mechanism to cold stres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ractical photosynthesis activity (indicated by ΦPSII and qP) was depressed and pigment allophycocyanin content was decreased during the cold stress of 48 h. However, the Fv/Fm and non-photochemical quenching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24 h, and the average growth rate of thalli also rebounded from 24 to 48 h, indicating a certain extent of acclimation to cold stress. On transcriptionally, the low temperature promoted the expression of differentially expressed genes (DEGs) related to carbohydrate metabolism and energy metabolism, while genes related to photosynthetic system were depressed. The increased expression of DEGs involved in ribosomal biogenesis and lipid metabolism which could accelerate protein synthesis and enhance the degree of fatty acid unsaturation, might help P. yezoensis thallus cells to cope with cold stress. Further co-expression network analysis revealed differential expression trends along with stress time, and corresponding hub genes play important roles in the systemic acquired acclimation to cold stress. This study provides basic mechanisms of P. yezoensis acclimation to cold temperature and may aid in exploration of functional genes for genetic breeding of economic macroalgae.

원격탐사기법에 의한 도시열섬 연구 (A study on urban heat islands over the metropolitan Seoul area, using satellite images)

  • 이현영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40권
    • /
    • pp.1-13
    • /
    • 1989
  • 도시기후와 같은 소기후를 연구하기 위하여는 도시는 물론 그 주변의 농촌지역에 이르기까지 조밀한 기상관측망이 필요하다. 그러나 한국에서 뿐만 아니라 선진제국에서도 기상관측망의 밀도가 도시기후를 파악하기에 충분할 만큼 조밀하지 못한 실정에 있다. 이러한 상항하에서 도시기후에 관하여 연구하려면 기초자료부터 측정하여야하는 어려움이 있으며, 따라서 그 연구의 필요성은 절감하면서도 실제적인 연구는 극히 부진하여 그 범위도 대단히 한정되어 있다. 1960년에 TIROS 1호가 미국에서 발사된 이래 다수의 기상위성이 궤도상에서 선회하며 많은 기상정보를 지상으로 보내주고 있다. 그리하여 현장관측이 어려운 각종 기상현상에 관한 정보를 짧은 시간안에,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적은 비용으로 입수할 수 있게 됨으로써 기상연구에 박차가 가하여지게 되었다. 특히 최근에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발달과 더불어 해상력이 1km인 AVHRR의 영상을 대축척으로 확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되는 한편 여러가지 오류도 수정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이들 위성으로부터 관측된 열적외선 영상은 도시열섬을 나타내는데 있어서 중용한 자료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원격탐사 기법에 의한 도시열섬 연구의 가능성을 타진하여 보고자 NOAA AVHRR 영상을 이용하여 남한지역의 도시열섬의 존재와 수도권지역 열섬의 강도 및 형태를 알아보고 나아가 도시열섬과 여러 도시현상간의 관계를 밝혀 보고자 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