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walnuts

검색결과 36건 처리시간 0.029초

조선(朝鮮) 통신사(通信使)를 포함한 한(韓).일(日) 관계에서의 음식문화(飮食文化) 교류 -2. 조선중기(朝鮮中期) 한(韓).일(日) 관계에서의 교역물품과 일본사신(日本使臣) 접대- (Food culture Interchange in the Relations Between Korea and Japan Including the Cho Sun Communication Facilities -2. The trade goods and receptions for Japanese envoi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 and Japan at the middle period of the Cho Sun era)

  • 김상보;장철수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63-381
    • /
    • 1998
  • Food goods traded between Korea and Japan during the middle period of the Cho Sun era included Insam (Jinseng), rice, beans, honey, perilla oil, starch, adlay, walnuts, pine nuts, jujubes, hazelnuts, and dired chestnuts as exports ; and pepper as imports. The number of Japanese envoies that visited regularly was one thousand five hundred people a year. The receptions that were held for them during the middle period equaled those of the first term of the Cho Sun era, but these receptions were only held in Pu-san. The expense of daily meals was broken down into 8 grades ranging from \129,300 to 2133. The daily meals included Jo-ban (breakfast), Jo-seok-ban (breakfast and dinner), and Ju-jeom-shim (lunch) for the Japanese who visited regularly. During the course of a year, the total amount spent on daily meals was put at a billion won. The banquet style meals included Ha-seon-da-rye (a welcome tea party), Ha-seon-yeon (a welcome banquet), No-cha-yeon (a banquet that was held on the street), and Ye-dan-da-rye (a drink banquet that was held when silk was offered as a gift). It also included Byeol-yeon (a banquet out of the dordinary), Sang-seon-yeon (a farewell banquet), and Myong-il-yeon (a banquet that was held on a national holiday). The banquet style meals were composed of Ceon-tack (to set a table for dinner), Sang-hwa (a flower that was put on the food), Kwan-hwa (to offer a flower when a banquet was held), Ju-9-jan (the ninth wine glass), Dae-seon (meat), music, and Jung-bae-rye (a banquet that was held again after a banquet). The Cho Sun government held banquets forty five times for the Japanese, the food expense for the banquets was put at two hundred and thirty million won.

  • PDF

미국산 오렌지 생과실에서 검출된 Navel Orangeworm (나비목: 명나방과) (Navel Orangeworm (Lepidoptera: Pyralidae) Intercepted on Fresh Oranges from the USA at the Korean Port of Entry)

  • 홍기정;홍성욱;류창석;이용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1권3호
    • /
    • pp.295-297
    • /
    • 2012
  • 2012년 1월 31일 농림수산검역검사본부 영남지역본부 부산신항사무소에서 미국산 오렌지 생과실 화물을 검사하는 과정에서 Navel orangeworm, Amyelois transitella (Walker)이 검출되었다. 이 해충의 유충이 간혹 호두 과실 속에서 검출된 예가 알려져 있지만, 오렌지 생과실 속에서 검출된 경우는 처음이다. 여기서는 식물검역의 안전성을 보장할 목적으로 이 유충의 진단형질 및 미국산 오렌지 생과실에 대한 병해충수입 위험분석과 관련된 검출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

한국산(韓國産) 각종(各種) 종실유(種實油)의 지방산(脂肪酸)에 관(關)한 연구(硏究) (Fatty Acid Compositions of Varying Seed Oils of Korean Origin)

  • 모수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8권2호
    • /
    • pp.19-26
    • /
    • 1975
  • The role of fat is important from nutritional standpoint. The physiological functions of fat are energy yielding as well as the carrier of fat soluble vitamins, with special activities of essential fatty acids. It is fortunate that Korean families prefer to use vegetable oils rather than those from animal origin. But the problems are focused on better qaulity of food oils with attempt to exploit the available resources.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inevestigate the fatty acid compositions of Korean origin both from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resources of gas-liquid chromatography. The results obtained are as follows. 1. The total lipid contents of seeds of red pepper, Korean squash, sesame, perilla (var Japonica), and Korean pine nuts and walnuts were 24.3%, 56.6%, 56.4%, 46.9%, 69.8%, and 67.2%, respectively. 2. The saponification numbers of samples ranged from 190 to 200. It showed that the mean molecular weights of fatty acids composing the lipids were very much closed each other. 3. Iodine numbers of varing seed oils ranged from 96.5 of Korean squash seed oil to 124.6 of walnut oil. Oils obtained from squash seeds and sesame seeds showed significantly lower value, while others ranged from 122 to 125. 4. In the fatty acid compositions, squash seed oil was composed mainly of unsaturated fatty acids, 74.9% of which was oleic acid, whereas red pepper seed oil, pine nut oil, and sesame oil contained linoleic acid as a major component showing 64.4%, 56%, 48.8%, and 47.8%, respectively. In perilla seed oil, the amounts of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were 14.1% and 58%, respectively which meant nearly three-fourths of the total fatty acidsbeing the unsaturated essential fatty acids. This study will encourage the use of these conventional and unconventional vegetable oils which have highr ratios of polyunsaturated to saturated fatty acids.

  • PDF

강동구 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등록 시설의 식품알레르기 관리 현황 (Management of Food Allergy in the Facilities Registered at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Gangdong-gu)

  • 김순미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396-407
    • /
    • 2021
  • Objectives: We examined the common allergenic foods, symptoms and management of food allergies in children attending the facilities registered at Center for Children's Foodservice Management in Gangdong-gu, Korea.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the directors or head teachers of 186 children's food service facilities with 7,591 children in 2019.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ree parts, including general information about food service facilities, information related to food allergies and allergenic foods and symptoms in individual children. Results: The number of children with food allergy was 271 (3.6%), and the proportion decreased with the increase of age. There were 91 children (33.6%) with a medical certificate, and these children had a significantly higher number of allergenic foods and symptoms than those without a medical certificate. Allergenic food groups included meat, fish, eggs and legumes (59.1%), fruits (12.4%), milk and dairy products (8.9%), cereals (7.8%), vegetables (6.2%), processed foods (3.8%) and oils and sugars (1.9%). Eggs accounted for 22.1%, followed by peanut and tree nuts (18.6%), fruits (12.4%), milk and dairy products (8.9%), shellfish (8.6%), vegetables (6.2%), fish (5.7%), cereals (4.3%) and meat (1.1%). The common allergenic foods were eggs, peanuts, walnuts, kiwi, shrimp, milk, tomatoes, mackerel, blue-green fish, peaches, shellfish (clams and abalone), buckwheat, wheat and soybeans. The most common allergic symptoms were skin and mucous membrane symptoms, such as hives, rash, itching and oral angioedema. Meal management for children with food allergies showed different trends depending on the causative food. Conclusions: The objective diagnosis by an allergist should be done for food allergy management in children's catering facilities. A system for systematic meal management of causative foods should be prepared.

Ident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Xanthomonas arboricola pv. juglandis Causing Bacterial Blight of Walnuts in Korea

  • Kim, Hyun Sup;Cheon, Wonsu;Lee, Younmi;Kwon, Hyeok-Tae;Seo, Sang-Tae;Balaraju, Kotnala;Jeon, Yongho
    • The Plant Pathology Journal
    • /
    • 제37권2호
    • /
    • pp.137-151
    • /
    • 2021
  • The present study describes the bacterial blight of walnut, caused by Xanthomonas arboricola pv. juglandis (Xaj) in the northern Gyeongbuk province, Korea. Disease symptoms that appear very similar to anthracnose symptoms were observed in walnut trees in June 2016. Pathogens were isolated from disease infected leaves, fruits, shoots, bud, flower bud of walnut, and cultured onto yeast dextrose carbonate agar plates. Isolated bacteria with bacterial blight symptoms were characterized for their nutrient utilization profiles using Biolog GN2 and Vitek 2. In addition, isolates were subjected to physiological, biochem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zations. Furthermore, isolates were identified using 16S rDNA sequence analysis, and multi-locus sequence analysis using atpD, dnaK, efp, and rpoD. To confirm pathogenicity, leaves, fruits, and stems of 3-year-old walnut plants were inoculated with bacterial pathogen suspensions as a foliar spray. One week after inoculation, the gray spots on leaves and yellow halos around the spots were developed. Fruits and stems showed browning symptoms. The pathogen Xaj was re-isolated from all symptomatic tissues to fulfill Koch's postulates, while symptoms were not appeared on control plants. On the other hand, the symptoms were very similar to the symptoms of anthracnose caused by Colletotrichum gloeosporioides. When walnut plants were inoculated with combined pathogens of Xaj and C. gloeosporioides, disease symptoms were greater in comparison with when inoculated alone. Xaj population size was more in the month of April than March due to their dormancy in March, and sensitive to antibiotics such as oxytetracycline and streptomycin, while resistant to copper sulfate.

국산 견과류 첨가 요구르트의 제조 및 특성에 관한 연구 (Manufacturing and Characteristics of Yoghurts from Milk Added with Domestic Nuts)

  • 김종우;이조윤
    • 농업과학연구
    • /
    • 제26권1호
    • /
    • pp.39-49
    • /
    • 1999
  • 충남지역 농특산물인 밤 및 호도를 분말로 만들어 요구르트 제조시에 각각 1~4% 첨가하고 호상 요구르트를 제조, 12시간 동안 발효시키면서 pH, 적정산도, 유산균수, 점도, 조성분, 관능검사 및 저장성 등을 새로운 제품 개발의 시도로서 실험 검토한 바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요구르트 발효 시 밤 분말 첨가구에 있어서는 control구에 비하여 pH는 감소하고 산도는 증가하였으며 호도분말 첨가의 경우는 control구에 비하여 pH 및 산도가 큰 차이는 나타내지 않았다. 2. 유산균수는 4% 밤 분말 첨가구의 경우 12시간의 배양에서 $2.6{\times}10^9/ml$의 유산균수를 나타내어 control구에 비하여 증식을 촉진하였으며 호도 분말 2% 첨가구에 있어서는 $1.7{\times}10^9/ml$의균수를 나타내어 control구와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발효 요구르트의 점도는 4% 밤 분말 첨가구가 3.225 centipoise로서 control구의 1.638 centipoise에 비하여 높았으며 호도 분말 첨가구에 있어서는 4% 첨가구가 2.010 centipoise로서 점도의 증가가 크지 않았다. 4. 단백질 함량은 밤 분말 2% 첨가구가 3.99%, 호도 분말 2% 첨가구가 4.24%, 무지 고형분 함량은 밤 첨가 요구르트가 15.10%, 호도 첨가 요구르트는 13.65%를 나타내었다. 5. 밤 및 호도 첨가 호상 요구르트의 관능검사 결과, control구에 비하여 밤 첨가구는 맛, 향취, 조직 면에서, 호도 첨가구는 맛과 향취 면에서 좋은 결과를 나타내었다. 6. 밤 및 호도 첨가 호상 요구르트의 $5^{\circ}C$, 14일간 저장성 조사에서는 적정산도 및 유산균수에서 큰 변화를 나타내지 않았다.

  • PDF

기후변화 영향에 따른 호두나무 재배지역 변화 예측 (Predicting the Changes in Cultivation Areas of Walnut Trees (Juglans sinensis) in Korea Due to Climate Change Impacts)

  • 이상혁;이상훈;이솔애;지승용;최재용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17권4호
    • /
    • pp.399-410
    • /
    • 2015
  • 본 연구에서는 호두나무에 대하여 단기임산물 재배적 지도를 바탕으로 기후변화를 고려한 전국의 재배가능지역을 MaxEnt 모델을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RCP 4.5 및 8.5 시나리오와 HadGEM2-AO모델을 이용하여 2050년대와 2070년대의 기후변화에 따른 재배지역 변화를 예측하였다. 분석결과, 미래의 재배적지면적을 현재 수치와 비교하였을 때, RCP 4.5에서는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에 이르는 우리나라 서쪽 지역이 주로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으며, RCP 8.5에서는 경상북도, 경상남도 일부 지역을 중심으로 감소할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평균고도가 600m 이상으로 높은 지역인 강원도는 2070년대 RCP 4.5에서 18.3%, RCP 8.5에서 56.6%가 증가할 것으로 나타나 기후변화의 영향 정도에 따라 전국적으로 재배가능지역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호두 생산량이 가장 많은 지역을 분석한 결과 공주시, 김천시, 영동군은 2070년대에는 RCP 8.5에서 재배지역의 감소가 클 것으로 예상되었으며, 공주시는 RCP 4.5에서 감소폭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무주군과 천안시는 현재의 재배가능지역이 모든 시나리오에서 유지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미래 기후변화에 따른 영향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예상되는 피해를 최소화하고 경쟁력 있는 임산물 생산을 위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견과류를 달리하여 제조한 바질 페스토의 저장 중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Basil Pesto added with Various Nuts during Storage)

  • 박종우;김기쁨;최수근
    • 한국조리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29-43
    • /
    • 2016
  • 페스토는 잣, 해바라기씨, 호박씨, 호두, 아몬드를 넣고 제조하여 항산화성(총 폴리페놀, 총 플라보노이드, 전자공여능)과 관능검사를 실시하였고, $4^{\circ}C$에서 20일간 저장하면서 색도, pH, 점도, 총 균수를 측정하였다. 페스토의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을수록 항산화력이 높았으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잣보다 해바라기씨나 호두를 이용할 때 바질 페스토가 더 기능성이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특성 차이 검사 결과, 색의 강도, 견과류 맛, 씁쓸한 맛, 까끌까끌 정도와 후미는 AMP(아몬드)가, 기름진 맛, 걸쭉한 정도는 WNP(호두)가 유의적(p<0.001)으로 강하다고 평가되었고, 윤기, 바질 냄새, 견과류 냄새, 바질 맛은 견과류 종류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기호도 검사 결과, 냄새의 기호도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외관, 맛, 텍스처 및 전체적인 기호도는 잣을 이용한 PNP와 해바라기씨를 이용한 SSP가 가장 높았다. 바질 페스토는 저장기간이 길어질수록 a, b값과 점도가 증가한데 반해, L값과 pH는 감소하였다. 총 균수는 저장 기간이 길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다가 어느 일정 시점이 지남에 따라 다소 감소하였으나, 본 연구의 총 균수는 식품의 오염에 해당하지 않으므로 미생물학적으로 비교적 안정하였다. 따라서 페스토 제조시 잣 이외에도 해바라기씨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가능성이 확인되었다.

호두나무 포장 내 복숭아명나방(나비목: 포충나방과)과 굴피가는나방(나비목: 가는나방과)에 의한 호두열매 및 잎 피해 (Fruit and Leaf Damage by Conogethes punctiferalis (Lepidoptera: Crambidae) and Acrocercops transecta (Lepidoptera: Gracillariidae) in Walnut Orchards)

  • 정종국;권혁준;김황;김현선;서상태;고상현
    • 한국응용곤충학회지
    • /
    • 제57권1호
    • /
    • pp.33-38
    • /
    • 2018
  • 호두는 경제적으로 중요한 유실수 중 하나이지만, 호두나무 포장 내에서 해충에 의한 피해 특성에 대한 정보는 매우 부족하다. 본 연구에서는 복숭아명나방과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호두열매와 잎의 피해를 조사하였다. 2017년 충남 부여군에 위치한 포장에서 복숭아명나방에 의한 호두열매 피해율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또한 김천, 부여, 영동 및 화성의 포장 내에서 2종의 나방에 의한 호두열매 및 잎의 피해율을 조사하였다. 부여 포장 내 호두열매의 피해율은 시간이 흐름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피해율은 늦여름에 가장 높았다. 호두열매의 최종 피해율은 부여, 김천 및 화성에서 각각 22.1%, 20.5%, 11.7%로 조사되었다.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잎 피해는 성목의 신초 가지(평균 11.2%)에 비해 묘목의 신초 가지(평균 58.5%)에서 더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 결과, 호두나무 포장 내에서 복숭아명나방과 굴피가는나방에 의한 열매와 잎 피해가 심각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향후 이들에 대한 방제기술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포트포트폴리오 기법을 이용한 단기소득임산물의 최적 생산관리 전략 - 주요 유실수를 중심으로 - (Optimal Production Management Strategy for Non-timber Forest Products using Portfolio Approach - A case study on major fruit trees -)

  • 원현규;전준헌;이성연;주린원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4권2호
    • /
    • pp.248-253
    • /
    • 2015
  • 본 연구는 단기소득임산물에 대한 최적 생산계획을 수립하기 위한 의사결정 정보를 제공하는 수단으로 포트폴리오 기법을 적용하였다. 대상품목은 밤, 대추, 호두, 떫은감이며, 2008년부터 2013년까지 임산물생산비 통계의 생산량, 생산비, 조수입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단위당 순수익을 분석하였다. 포트폴리오 모델에서 목적함수는 투자위험을 나타내는 유실수 품목의 수익 변동폭을 최소화하는 것이고, 제약조건은 최소 기대수익률을 달성하는 것이다. 분석결과, 2013년 유실수의 생산비율 밤 7%, 대추 20%, 호두 5%, 떫은감 68%과 비교하여 포트폴리오에서는 미래의 유실수 생산비율을 평균 밤 10%, 대추 9%, 호두 3%, 떫은감 78%로 구성하는 것이 안정적인 소득증대를 위해서 보다 효율적인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러한 원인은 호두와 대추가 순수익이 가장 많았지만 생산량과 수익의 등락폭이 상대적으로 컸고, 떫은감과 밤은 상대적으로 안정된 생산량과 일정한 수익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