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n Bertalanffy growth curve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19초

Estimation of growth curve in Hanwoo steers using progeny test records

  • Yun, Jae-Woong;Park, Se-Yeong;Park, Hu-Rak;Eum, Seung-Hoon;Roh, Seung-Hee;Seo, Jakyeom;Cho, Seong-Keun;Kim, Byeong-Woo
    • 농업과학연구
    • /
    • 제43권4호
    • /
    • pp.623-633
    • /
    • 2016
  • A total of 6,973 steer growth records of Hanwoo breeding bull's progeny test data collected from 1989 to 2015 were analyzed to identify the most appropriate growth curve among three growth curve models (Gompertz, Logistic and von Bertalanffy). The Gompertz growth curve model equation was $W_t=990.5e^{{-2.7479e}^{-0.00241t}}$, the Logistic growth curve model equation was $W_t=772(1+8.3314e^{-0.00475t})^{-1}$, and the von Bertalanffy growth curve model equation was $W_t=1,196.4(1-0.646e^{-0.00162t})^3$. The Gompertz model parameters A, b, and k were estimated to be $990.5{\pm}10.27$, $2.7479{\pm}0.0068$, and $0.00241{\pm}0.000028$, respectively. The inflection point age was estimated to be 421 days and the weight of inflection point was 365.3 kg. The Logistic model parameters A, b, and k were estimated to be $772.0{\pm}4.12$, $8.3314{\pm}0.0453$, and $0.00475{\pm}0.000033$, respectively. The inflection point age was estimated to be 445 days and the weight of inflection point was 385.0 kg. The von Bertalanffy model parameters A, b, and k were estimated to be $1196.4{\pm}18.39$, $0.646{\pm}0.0010$, and $0.00162{\pm}0.000027$, respectively. The inflection point age was estimated to be 405 days and the weight of inflection point was 352.0 kg. Mature body weight of the von Bertalanffy model was 1196.4 kg, the Gompertz model was 990.5 kg, and the Logistic model was 772.0 kg. The difference between actual and estimated weights was similar in the Logistic model and the von Bertalanffy model. The difference between market weight and estimated market weight was the lowest in the Gompertz model. The growth curve using the von Bertalanffy model showed the lowest mean square error.

한우암소의 성장특성 평가를 위한 성장곡선의 추정 (Estimation of Growth Curve for Evaluation of Growth Characteristics for Hanwoo cows)

  • 이창우;최재관;전기준;나기준;이채영;양부근;김종복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4호
    • /
    • pp.509-516
    • /
    • 2003
  • 한우 암소로부터 시간적인 간격을 두고 조사된 체중측정 기록에 대해 기존에 제안된 몇 가지 비선형의 성장곡선 모형을 적용하여 한우 암소의 성장모형을 추정하고, 추정된 성장모형의 모수를 이용하여 한우암소에 대한 성장특성을 규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각 성장곡선 함수로 추정한 한우 암소 집단의 성장 곡선은 다음과 같다. Gompertz 모형 : $W_t=370.2e^{-2.208e^{-0.00327t}$ von Bertalanffy 모형 : $W_t=388.6(1-0.549e^{-0.00261t})^3$ Logistic 모형 : $W_t=341.2(1+5.652e^{-0.00524t})^{-1}$ 각 모형으로 전체자료를 이용하여 추정한 일반적인 성장곡선의 모수 A(성숙체중), b(성장비) 및 k(성숙률)와 추정된 모수들을 이용하여 변곡점 도달일령, 변곡점에서의 체중 및 변곡점에서의 일당증체량과 각 모형별 오차 제곱합 등을 계산하였는데, 세 모형 중 von Bertalanffy 모형이 성숙체중이 제일 크고(388.6kg), 변곡점 도달일령이 제일 빠르며(191일), 변곡점 도달시 체중이 제일 작고(약 115kg), 오차 제곱합도 제일 작았다(1,1170.9) 그리고 Logistic 모형이 성숙체중이 제일 작고(341.2kg), 변곡점 도달일령이 제일 늦으며(약 330일), 변곡점 도달시 체중이 제일 크고(약 170kg), 오차 제곱합도 제일 컸다(1,287.7). Logistic 모형이 세 모형 중에서 오차 제곱합이 제일 크고 생시와 36개월령에서 실측체중과 적합 체중간의 차이가 제일 큰 반면 von Bertalanffy 모형이 세 모형 중에서 오차 제곱합이 제일 작고 생시와 36개월령에서 실측체중과 적합 체중간의 차이가 제일 작은 결과를 볼 때, 본 연구 자료인 한우 암소의 성장은 von Bertalanffy 모형, Gompertz 모형 그리고 Logistic 모형 순으로 적합도가 좋은 것으로 판단된다.

한국 서남해 민어(Miichthys miiuy)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Brown Croaker Miichthys miiuy in the South-western Water of Korea)

  • 이승환;정상덕;유준택;김영혜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9권1호
    • /
    • pp.69-74
    • /
    • 2017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수산자원 중 하나인 민어의 이석을 이용하여 민어의 연령과 성장을 추정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민어의 이석은 2015년 8월부터 2016년 7월까지 서해 남부 연안에서 안강망으로 어획되어 양육된 것으로 총 339개체 중, 연령사정에 이용된 개체수는 327미였다. 연령은 민어는 불투명대에서 투명대로 이행하는 지점을 윤문으로 간주하였으며, 윤문형성시기는 3~6월(주형성시기 6월), 산란기는 9~10월 (주산란기 9월)로 추정되어 초륜이 형성되기까지의 기간은 0.75년으로 나타났다. 최고 연령은 암컷 11세, 수컷 9세로 추정되었으며, 윤문이 형성될 시기의 평균 전장을 바탕으로 비선형 회귀방법으로 추정한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L_t=182.4(1-e^{-0.067(t+1.754)})$($R^2=0.96$)이었다.

Estimation of Growth Curves and Suitable Slaughter Weight of the Liangshan Pig

  • Luo, Jia;Lei, Huaigang;Shen, Linyuan;Yang, Runlin;Pu, Qiang;Zhu, Kangping;Li, Mingzhou;Tang, Guoqing;Li, Xuewei;Zhang, Shunhua;Zhu, Li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28권9호
    • /
    • pp.1252-1258
    • /
    • 2015
  • The Liangshan pig is a traditional Chinese small-sized breed; it has a relatively long feeding period and low meat production ability but superior meat quality. This study utilized three non-linear growth models (Von Bertalanffy, Gompertz, and logistic) to fit the growth curve of Liangshan pigs from an unselected, random-bred pig population and estimate the pigs most suitable slaughter weight. The growth development data at 20 time points of 275 Liangshan pigs (from birth to 250 d)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relative gene expression related to development, seven slaughter weight phases (50, 58, 66, 74, 82, 90, and 98 kg) (20 pigs per phase) were examined. We found that the Liangshan pig growth curve fit the typical S-curve well and that their growth turning point was 193.4 days at a weight of 62.5 kg, according to the best fit Von Bertalanffy model based on the goodness of fit criteria. Furthermore, we estimated that the most suitable slaughter weight was 62.5 to 74.9 kg based on the growth curve and the relative expression levels of growth-related genes.

한우 암소의 성장곡선 모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Affecting Growth Curve Parameters of Hanwoo Cows)

  • 이창우;최재관;전기준;나기준;이채영;황정미;김종복
    • Journal of Animal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5권5호
    • /
    • pp.711-724
    • /
    • 2003
  • 본 연구는 1970년대 이후 축산기술연구소 대관령지소에서 출생한 한우 암소로부터 한우암소의 성장곡선 모수에 영향하는 환경요인의 효과를 추정함으로써 한우의 개량을 위한 정보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Gompertz 모형, von Bertalanffy 모형 및 Logistic 모형에 의해 추정된 성장곡선 모수들의 분산분석 결과는 모두 같은 경향을 나타냈는데, 출생년도-계절의 효과는 성숙체중, 성장비 및 성숙률 모두에게 영향을 미치며, 어미소 연령의 효과는 성장비에서만 영향을 미쳤고, 공변이로 선형 모형에 포함된 최종 체중 측정시 일령의 효과는 성장비를 제외한 성숙체중과 성숙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Gompertz 모형, von Bertalanffy 모형 및 Logistic 모형에 의해 개체별로 추정한 모수 A는 가을에 출생한 개체들이 봄에 출생한 개체들에 비해 10.47${\pm}$7.9, 19.01${\pm}$9.79 및 13.43${\pm}$5.94kg 더 무거웠으며 Logistic 모형에서 통계적 유의성(P〈.05)이 있었으며, 성숙률은 봄에 출생한 개체들이 가을에 출생한 개체들에 비해 0.00021${\pm}$0.00009, 0.00022${\pm}$0.00009 및 0.00041${\pm}$0.00013으로 높았고 통계적인 유의성(P〈.05)이 있었다. 어미소 연령 그룹별 성장모수들의 최소자승평균치를 보면 연령이 2세나 3세인 어미소로부터 태어난 암소들은 다른 연령그룹의 어미소로부터 태어난 암소들에 비해 성숙체중은 크지 않으면서 성장비가 크고 성숙률은 작은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성숙체중은 크지 않으면서 성장비가 크다는 것은 생시체중이 작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한우 암소를 1산이나 2산까지만 번식에 이용한 후 비육 출하하는 생산체계를 유지하는 집단에서는 축군의 생시체중이 작아지고 성숙체중도 작아지는 현상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성장곡선 모수에 영향을 미치는 환경요인으로서 출생년도-계절과 어미소 연령을 고정효과로 하고 여기에 최종 체중 측정시 일령의 1차식 효과를 공변이로 추가시켰는데, 분산분석 결과 최종 체중 측정시 일령이 세 가지 성장 모형으로 추정한 성숙체중과 성숙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최종 체중 측정시 일령에 따라서 성장특성이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하므로 성장곡선 모형의 연구를 위해서는 최종 체중 측정 시점을 변이요인으로 고려하여야 한다. 그리고 한우의 성장 패턴을 좀더 잘 규명하기 위해서는 2차 이상의 다항회귀식 효과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물가자미(Eopsetta grigorjewi)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Shotted Halibut Eopsetta grigorjewi in the East China Sea)

  • 김영혜;김영섭;강현정;감진구;전영열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30-36
    • /
    • 2011
  • 물가자미의 표본은 동중국해 및 동해에서 중형 외끌이기선저인망에 의해 2004년 2월부터 2005년 1월까지 어획된 것이다. 총 389개체 표본의 오른쪽 이석을 연령형질로 사용하여 연령과 성장을 추정하였다. 윤문은 12~3월(주형성시기 2월), 연 1회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란시기는 2~4월(주산란시기 3월)이었다. 전장과 전중과의 상대성장식은 $TW=0.5091{\times}10^{-2}TL^{3,222}$ ($r^2=0.92$)로 나타났고, 암 수간의 상대성장식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추정된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L_t=46.58(1-e^{-0.14(1+1.32)})$로 추정되었다. 암 수간의 연령별 성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신품종 토종닭의 계통과 성별에 따른 성장 특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n Growth Pattern in a New Synthetic Korean Native Commercial Chicken by Sex and Strains)

  • 김기곤;최은식;손시환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49권4호
    • /
    • pp.229-237
    • /
    • 2022
  • 본 연구는 신품종 토종종계로부터 생산된 토종실용닭 4계통의 성장 특성을 규명하고 출하일령 추정에 적합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체중은 발생시부터 12주령까지 2주 간격으로 개체별로 측정하였으며 성장곡선의 추정은 Von Berteralanffy, Gompertz 및 Logistic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발생시 체중을 제외한 모든 주령에서 수컷이 암컷보다 무겁게 나타났고, 계통 간 체중은발생시, 2주령 및 6주령을 제외하고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성장곡선 모형의 결정계수와 수정된 결정계수는 97.4~99.7로 높은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성장곡선 모수 중성숙체중과 성장률은 수컷이 암컷보다 높게 나타났고, 성숙률은 암컷과 수컷이 비슷한 값을 보였다. 변곡점은 모형과 계통 별 차이가 있으나 암컷은 약 7주령, 수컷은 8~9주령으로 나타나 성별 간 10일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성장곡선 모형의 거의 대부분은 실제 체중과 잘 일치하나, Von Bertalanffy 모형에서 수컷의 체중이 실제 체중과 다소의 차이를 보였다. 출하일령 예측을 위한 회귀함수의 결정계수는 0.9583~0.9746으로 나타나 예측 값에 대한 신뢰도가 높게 나타났다. 성장 곡선과 회귀식을 사용하여 추정한 주령 별 체중 값은 8주령과 10주령은 회귀식을 이용한 추정 값이, 12주령 체중은 Logistic 모형으로 추정한 값이 실제 체중과 가장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성장곡선에 따른 토종닭의 2 kg 도달일령의 평균 예측일수는 수컷이 62.0~64.6일, 암컷은 74.9~78.6일로 추정된다.

Growth curve estimates for wither height, hip height, and body length of Hanwoo steers (Bos taurus coreanae)

  • Park, Hu-Rak;Eum, Seung-Hoon;Roh, Seung-Hee;Sun, Du-Won;Seo, Jakyeom;Cho, Seong-Keun;Lee, Jung-Gyu;Kim, Byeong-Woo
    • 농업과학연구
    • /
    • 제44권3호
    • /
    • pp.384-391
    • /
    • 2017
  • Growth curves in Hanwoo steers were estimated by Gompertz, Von Bertalanffy, Logistic, and Brody nonlinear models using growth data collected by the Hanwoo Improvement Center from a total of 6,973 Hanwoo (Bos taurus coreanae) steers 6 to 24 months old that were born between 1996 and 2015. The data included three parameters: A, mature size of body measurement; b, growth ratio; and, k, intrinsic growth rate. Nonlinear regression equations for wither height according to Gompertz, Von Bertalanffy, Logistic, and Brody models were $Y_t=144.7e^{-0.5869e^{-0.00301t}}$, $Y_t=145.3(1-0.1816e^{-0.00284t})^3$, $Y_t=143.1(1+0.7356e^{-0.00352t})^{-1}$, and $Y_t=146.8(1+0.4700e^{-0.00249t})^1$, respectively, while those for hip height were $Y_t=144.5e^{-0.5549e^{-0.00312t}}$, $Y_t=145.0(1-0.1724e^{-0.00295t})^3$, $Y_t=143.1(1+0.6863e^{-0.00360t})^{-1}$, and $Y_t=146.2(1+0.4501e^{-0.00263t})^1$, respectively. Equations for body length $Y_t=174.1e^{-0.8342e^{-0.00289t}}$, $Y_t=175.8(1-0.2500e^{-0.00265t})^3$, $Y_t=170.0(1+1.1548e^{-0.00363t})^{-1}$, and $Y_t=180.3(1+0.6077e^{-0.00215t})^1$, respectively, for the same models. Among the four models, the Brody model resulted in the lowest mean square error, with mean square errors of 31.79, 30.57, and 42.13, respectively, for wither height, hip height, and body length. Also, an estimated birth wither height, birth hip height, and birth body length (77.98, 80.57, and 70.97 cm, respectively) were lower in the Brody model than in other models. An inflection point was not observed during the growth phase of Hanwoo steer according to the growth curves calculated using Gompertz, Von Bertalanffy, and Logistic models. Based on the results, we concluded that the regression equation using the Brody model was the most appropriate among the four growth models. To obtain more accurate parameters, however, using data from a wider production period (from birth to shipping) would be required, and the development of a suitable model for body conformation traits would be needed.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나이구조 분석 (Age Structure Analysis of Kaloula borealis)

  • 고상범;이정현;오홍식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6호
    • /
    • pp.861-866
    • /
    • 2011
  • 우리는 제주도 대정읍에서 뼈나이테법(skeletochronology)을 사용하여 맹꽁이(Kaloula borealis)의 나이구조를 알아보았다. 조사는 번식기인 2009년 6월에 실시하였다. 측정된 개체수는 수컷이 38개체, 암컷이 58개체로 각 개체의 SVL(snout-vent length)과 체중을 측정하고 나이구조를 분석하였다. 수컷의 평균 SVL은 $43.69{\pm}3.44 mm$이며, 암컷은 $46.32{\pm}4.23mm$로 나타나고 있다. 첫 번식에 참여하는 수컷은 2살이고, 암컷은 3살로 나타났다. 가장 나이든 수컷은 8살이며 암컷은 10살이다. 그러므로 이 종의 수명은 수컷에서는 8살, 암컷에서는 10살 이상으로 볼 수 있으며 암수의 수명에서 암컷이 더 오래살고 있다. 또한 이 값은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나고 있다. 성장곡선은 von Bertalanffy growth model을 사용하였으며, 성장계수(K)는 수컷이 0.56이며 암컷은 0.41이다. 최대성장크기는 수컷이 46.41 mm이며 암컷은 50.22 mm로 나타났다.

한국 서해산 일본재첩, Corbicula japonica Prime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Brackish Water Clam, Corbicula japonica Prime on the West Coast of Korea)

  • 류동기;정의영;김영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57-64
    • /
    • 2005
  • Samples of Corbicula japonica Prime of Jujin estuary in Gochang were collected from July 2000 to September 2001. Age of C. japonica was determined from the rings on the shell.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and ring radius in each ring group was expressed as a regression line. Therefore, there is a correspondence in each ring formation. Based on the monthly variation of the marginal index (MI') of the shell, it is assumed that the ring of this species was formed once a year during the period of February and March. The relationship between shell length (SL; mm) and total weight (TW; g) was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TW = 1.0942 ${\times}10^{-4}SL^{3.3217}$ ($r^2$ = 0.9905). Shell length (SL) and shell height (SH; mm) was highly correlated with shell height as the following equation: SH = 0.9174 SL - 0.9935 ($r^2$ = 0.9885). The shell length (SL) - shell width (SW) relation was also expressed by the following equation; SW = 0.5925 SL - 1.1706 ($r^2$ = 0.9726). Growth curves for shell length and total weight fitted to the von Bertalanffy's growth curve were expressed as: $$SL_t = 46.4861[1-e^{-0.3383(t+0.0958)}]$$, $$TW_t = 34.54[1-e^{-0.3383(t+0.0958)}]^3.3217$$.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