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n Bertalanffy's equation

검색결과 40건 처리시간 0.025초

섬진강 중.상류 수계에서 붕어 개체군의 생태학적 특성치 추정 (Estimation on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Crucian Carp, Carassius auratus in the Mid-Upper System of the Seomjin River)

  • 장성현;류희성;이정호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18-326
    • /
    • 2011
  • 섬진강 중 상류 수계에서 붕어의 자원량 및 자원관리의 기초로 사용되는 붕어의 개체군 생태학적 특성치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채집된 붕어의 전장은 95-288mm의 범위를 보였으며, 연령은 비늘의 윤문을 통해 결정하였다. 연령형질로서 비늘은 윤문이 뚜렷하게 구분되었으며, 이를 통해 확인된 최고 연령어는 5세로 나타났다. 전체 표본에서 2세 연령어가 가장 많은 양을 차지하였으며(n=38), 다음으로는 3세 연령어가 풍부하였다(n=22). 연변수지수 분석을 통해 매년 단일 윤문이 형성됨이 확인되었다. 체장과 체중 간의 관계식은 BW = $0.0038BL^{3.73}$($R^2$=0.96) (p<0.01)로 추정되었고, 인경과 체장 간의 관계식은 BL = 2.362R+2.76($R^2$=0.89)로 나타났다. 비선형 회귀분석을 통해 추정된 von Bertalanffy 성장 파라미터들은 이론적 최대체장 33.2cm이었으며, 이론적 최대체중 1,798.4g, 성장계수 0.20년$^{-1}$, 체장이 0일 때의 연령 -0.51년 등으로 추정되었다. von Bertalanffy에 의한 붕어의 성장식은 $L_t$ = 33.23($1-e-^{0.20(t+0.51)}$)($R^2$=0.98)로 확인되었다. 연간 생존율은 0.427년$^{-1}$로, 순간자연사망계수는 0.784년$^{-1}$로 추정되었으며, 순간어획사망계수는 0.067년$^{-1}$로 산출되었다. 생존율로부터 추정된 순간전사망계수는 0.851년$^{-1}$로 추정되었다.

동중국해에 분포하는 갈치(Trichiurus lepturu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Largehead Hairtail Trichiurus lepturus in the East China Sea)

  • 김영혜;유준택;이은희;오택윤;이동우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44권6호
    • /
    • pp.695-700
    • /
    • 2011
  • Age, growth, and maturity of Trichiurus lepturus were estimated based on right-handed sagittal otoliths belonging to 1,031 fish collected from January to December 2007 in the East China Sea. The outer margins of the otolith were examined and showed that an opaque zone was formed once per year. Marginal increments in otoliths formed as annual rings between June and August, at the beginning of the spawning season. Fish growth was expressed by the von Bertalanffy growth equation, as follows: $L_t=494.0$ ($1-e^{-0.2453(t+-0.4822)}$) for females and $L_t=330.4$ ($1-e^{-0.4292(t+0.7513)}$) for males, where $L_t$ is the total length in mm and t is age in years. The growth rates of males and femal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The age composition ranged mostly between ages 2 and 4, and the oldest individuals were 4 years old in males and 6 years old in females. Finally, the age composition of largehead hairtail was compared with data from the 1970s and is discussed in the context of environmental changes.

한국근해 황아귀, Lophius litulon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Yellow Goosefish, Lophius litulon)

  • 차병열;박영철;허성회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29-534
    • /
    • 1998
  • 1995년 1월부터 12월까지 한국 남서해역 (제주도 부근)에서 매월 어획된 황아귀를 대상으로 연령과 성장을 조사하였다. 연령사정은 척추골을 이용하였다. 황아귀 척추골의 추체에 윤문이 형성되는 시기는 3$\~$4월경으로 산란시기와 거의 일치하였다. 암컷의 연령은 8세까지, 그리고 수컷은 5세까지 나타났다. 추체경 (R)과 전장 (L) 사이에는 암컷의 경우 L=12.7+4.8R, 그리고 수컷의 경우 L=9.8+5.6R의 관계식을 보였다 전장과 체중 (W) 사이에는 암컷의 경우 $W=0.0089L^{3.0311}$, 그리고 수컷의 경우 $W=0.0329L^{2.7752}$의 관계식을 보였다 황아귀의 성장식은 암컷의 경우 $L_t=127.60(1-e^{-0.1228(t+0.3851)})$ 이었으며, 수컷은 $L_t=82.23(1-e^{-0.1832(t+0.6431)})$ 이었다.

  • PDF

Growth and Production of Pholis nebulosa (Temminck & Schlegel, 1845) in a Seagrass (Zostera marina) Bed of Southern Korea

  • Park, Joo Myun;Kim, Ha Won;Kwak, Seok Nam;Riedel, Ralf
    • Ocean and Polar Research
    • /
    • 제43권2호
    • /
    • pp.89-98
    • /
    • 2021
  • The seagrass habitats are a highly productive marine ecosystem which provides nursery ground and shelter for many fish and invertebrate species. Pholis nebulosa (Temminck & Schlegel, 1845) is one of the most abundant seagrass fishes in the coastal waters of Korea. The estimation of fish production is key for devising conservation measures and ensuring fish resources sustainability. A total 894 P. nebulosa ranging from 3.83 to 26.5 cm total length (TL) were collected monthly in 2006 with a small beam trawl in a seagrass bed of southern Korea. Growth parameters of P. nebulosa were estimated using the von Bertalanffy growth model, and production was estimated using a general equation which relates daily fish production to ash-free dry weight (AFDW), biomass, and water temperature. The von Bertalanffy's growth equation was estimated as: Lt = 28.3823(1-e-0.7835(t+0.9864)). The densities, biomass, daily, annual production, and P/B ratio were 0.069±0.061/m-2, 1.022±0.621 g/m2, 0.005±0.004 g AFDW/m2/day, 1.676 g AFDW/m2/yr, and 1.641, respectively. Monthly variation in production of P. nebulosa peaked during March and April 2006 (0.0139 and 0.0111 g AFDW/m2/day), whereas the lowest value of 0.0005 g AFDW/m2/day was in December. Monthly change in production of P. nebulosa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biomass and condition factor. Our results will contribute to the conservation of seagrass ecosystems, which are still undisturbed in the study area.

한국 서해산 쇄방사늑조개, Potamocorbula ustulata ustulata (Reeve, 1844) 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Asian Clam Potamocorbula ustulata ustulata (Reeve, 1844) on the West Coast of Korea)

  • 류동기;김영혜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17-23
    • /
    • 2007
  • 2004년 10월부터 2005년 11월까지 전라북도 고창군 주진천에 서식하는 쇄방사늑조개의 서식지 환경과 성장을 조사하였다. 서식지의 월별 수온은 $4.6-29.3^{\circ}C$로 나타났으며, 1월에 가 장 낮았고, 8월에 가장 높았다. 지온은 $2.6-29.4^{\circ}C$로 나타났으며 수온과 비슷하게 1월과 2월에 낮았고 8월에 가장 높았다. 월별 염분은 2.3-20.2 psu로 평균 $8.21\;{\pm}\;4.77\;psu$였다. 쇄방사늑조개의 패각에 나타나는 윤문은 년 1회 형성되며, 주된 윤문 형성 시기는 10-12월임을 확연할 수 있었다. 초륜의 형성 기간은 약 5개월 (0.42년) 으로 나타났으며, 각장 (SL) 과 각고 (SH) 간의 관계는 SH = 0.4352 SL + 0.5642 ($R^2\;=\;0.978$) 이고, 각장과 각폭 (SW) 간의 관계는 SW = 0.4352 SL - 0.5675 ($R^2\;=\;0.957$) 이며, 각장과 전중량 (TW) 간의 관계는 $TW\;=\;6.999\;{\times}\;10^{-5}\;SL^{3.2542}\;(R^2\;=\;0.975)$ 로 나타났다. 연령 (t) 에 대한 각장 (SL) 의 Bertalanffy 성장식은 $SL_t\;=\;30.77\;[1-e^{-0.4572(t+0.7371)}]$였으며, 전중량 (TW) 의 Bertalanffy 성장식은 $TW_t\;=\;4.87\;[1-e^{-0.4572(t+0.7371)}]^{3.2542}$로 추정되었다.

  • PDF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의 섭식양과 성장양으로부터 에너지 대사의 추정 (Estimation of Energy Budget from Food Consumption and Growth of Hexagrammos agrammus)

  • 김종관;장창익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1권1호
    • /
    • pp.121-126
    • /
    • 1998
  • 본 연구는 von Bertalanffy의 성장식과 섭식양을 이용하여 자연조건하에서 노래미, Hexagrammos agrammus의 에너지 대사를 파악하기 위하여 시도된 것이며, 표본은 부산 동백섬 연안과 삼천포 신수도 연안에서 채집된 것이다. 에너지 대사 모델은 섭식양, 함장양, 흡수양, 동화양, 이화양, 배설양, 불소화배출양 등으로 구성된 표준화된 에너지 수지 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에너지 대사의 구성요소별 측정단위는 열량단위가 아닌 중량단위로서 나타내 었다. 노래미에 의해 섭식된 연간섭식양이 에너지 대사의 구성요소별 배분되는 양 또는 을은 어체의 연령에 따라 달랐다. 에너지 대사의 구성요소별 추정값을 연령군별로 비교한 결과, 연간배설양은 어체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 나머지 구성요소는 어체의 연령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연령군별 평균체중 (W)과 연간흡수양($A_b$) 및 연간리화양(R) 간에는 각각 $A_b=4.592W^{0.666}$의 비선형과 R=0.007+0.567W의 선형관계가 있었고, 연간섭식양 (C)과 연간동화양 (A) 및 연간리화양 간에는 각각 A=-7.026+0.061C와 R=-20.749+0.048C의 선형관계가 있었다.

  • PDF

한국근해 참조기의 자원생태학적 특성치 추정 (Estimation of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Small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polyactis off Korea)

  • 장창익;김용문;유신재;박차수;김수암;김종관;윤성봉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29-36
    • /
    • 1992
  • 한국 근해 참조기 자원의 양적인 변동에 관련되는 자원 특성치인 개체의 성장식과 개체군의 생잔율, 순간사망계수 및 어획개시연령 등을 추정하였다. 참조기의 연령과 성장 관계는 Gompertz 성장 모델의 선형화 방법에 의한 이론적인 적합도가 가장 높았으나 실용적인 면을 고려하여 von Bertalanffy 성장식의 이용이 권고되었다. 생잔율은 0.219(분산: 0.0000262), 순간자연사망계수는 0.4/년으로 추정되었다. 최근의 순간어획사망계수는 1.11/년으로 추정되어 순간자연사망계수의 약 3배 정도로 높게 나타났다. 어획개시연령은 0.602세로 추정되었다

  • PDF

한국 서해산 참조기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THE YELLOW CROAKER, PSEUDOSCIAENA MANCHURICA JORDAN ET THOMPSON, IN THE WESTERN COASTAL WATERS OF KOREA)

  • 정상철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154-160
    • /
    • 1970
  • 우리나라 서해안의 참조기를 대상으로 1967년 6월부터 1968년 5월 사이의 자료에서 체장, 체중 및 인문(鱗紋)조사를 실시하며 다음의 결과를 얻었다. 1. 윤문은 연 1회 형성되고, 형성 시기는 $4\~7$월로, Bae(1960)가 발표한 산란기와 일치되고 있다. 2. 윤군(輪群)별 각 윤경(輪徑)적 평균 성장률은 0.73이었다. 3. 체장(total length)과 인경(鱗徑)과의 관계는 직선 회귀로,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L=61.350R+50.184 4. 체중과 체장(total length)과의 관계는 지수 곡선으로 다음과 같다. $$W=4.298L^{3.227}\times10^{-3}$$ 5. Walford의 정차도에 의하여 산출된 이론적인 최대 체강은 346.9mm이었고, 그 관계식은 다음과 같다. $$L_{n+1}=0.6866L_n+10.8730$$ 6. 연령과 체장(total length)과의 관계를 von Bertalanffy의 성장 방정식에 적응시킨 결과 다음과 같았다. $$L_t=346.9(1-e^{-0.376(t+0.609)})$$

  • PDF

범가자미, Verasper variegatus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Spotted Halibut, Verasper variegatus)

  • 전복순;박병하;전임기;강용주
    • 한국어류학회지
    • /
    • 제8권1호
    • /
    • pp.56-63
    • /
    • 1996
  • 1992년 12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매월 1회씩 남해안에서 어획된 범가자미를 대상으로 연령과 성장을 조사하였다. 연령사정은 이식으로 하였으며, 윤문은 투명대에서 불투명대로 이행하는 경계로 하였다. 윤문은 2월부터 3월 사이에 연 1회 형성되었다. 이석경(R)에 대한 전장(TL)의 관계를 보면 암컷은 TL=18.0329R-11.6879, 수컷은 TL=15.1458R-5.6902였다. 전장(TL)에 대한 체중(BW)의 관계는 암컷은 $BW=0.0065TL^{3.2042}$, 수컷은 $BW=0.0146TL^{2.9620}$이었다. 연령(t)에 대한 체장(Lt)의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암컷은$L_t=71.0783(1-e^{-0.3036(t-0.1173)})$, 수컷은 $L_t=57.4414(1-e^{-0.2931(t+0.1590)})$이었다. 채집된 표본 중 암컷은 6세, 수컷은 4세까지 있었지만 대부분 3세 이하였다.

  • PDF

한국 서해산 피뿔고둥, Rapana venosa (Valenciennes, 1846) 의 연령과 성장 (Age and Growth of Purple whelk, Rapana venosa (Gastropoda: Muricidae) in the West Sea of Korea)

  • 최종덕;류동기
    • 한국패류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189-196
    • /
    • 2009
  • 본 연구는 2004년 2월부터 2005년 1월전라북도 군산시 고군산군도에서 통발어구로 채취된 피뿔고둥을 조사하였다. 피뿔고둥의 뚜껑에 나타난 윤문은 년 1회 형성되며 주 윤문 형성시기는 7월에서 8월로 조사되었으며, 초륜 형성기간은 13개월(1.08년)로 나타났다. 각고(SH)에 대한 각폭(SW)의 성장식은 SW = 0.7867 SH - 6.3988 ($R^2$ = 0.8604), 총중량(TW)의 상대성장식은 TW = 0.0000626 $SH^{3.206}$ ($R^2$ = 0.8324)과 같이 나타낼 수 있었다. 연령(t)에 대한 각고(SH)와 총중량(TW)의 von Bertalanffy 성장식은 다음과 같다. $SH_t=199.653(1-e^{-0.104(t+2.478)}$ $TW_t=1484.105(1-e^{0.104(t+2.478)})^{3.206}$.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