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ume specific lipid content

검색결과 8건 처리시간 0.028초

Easy and rapid quantification of lipid contents of marine dinoflagellates using the sulpho-phospho-vanillin method

  • Park, Jaeyeon;Jeong, Hae Jin;Yoon, Eun Young;Moon, Seung Joo
    • ALGAE
    • /
    • 제31권4호
    • /
    • pp.391-401
    • /
    • 2016
  • To develop an easy and rapid method of quantifying lipid contents of marine dinoflagellates, we quantified lipid contents of common dinoflagellate species using a colorimetric method based on the sulpho-phospho-vanillin reaction. In this method, the optical density measured using a spectrophotometer was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known lipid content of a standard oil (Canola oil). When using this method, the lipid content of each of the dinoflagellates Alexandrium minutum, Prorocentrum micans, P. minimum, and Lingulodinium polyedrum was also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optical density and equivalent intensity of color. Thus, when comparing the color intensity or the optical density of a sample of a microalgal species with known color intensities or optical density, the lipid content of the target species could be rapidly quantified.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sensitivity tests showed that only $1-3{\times}10^5cells$ of P. minimum and A. minutum, $10^4cells$ of P. micans, and $10^3cells$ of L. polyedrum (approximately 1-5 mL of dense cultures) were needed to determine the lipid content per cell. When the lipid content per cell of 9 dinoflagellates, a diatom, and a chlorophyte was analyzed using this method, the lipid content per cell of these microalgae, with the exception of the diatom, were significant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cell size, however, volume specific lipid content per cel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cell size. Thus, this sulpho-phospho-vanillin method is an easy and rapid method of quantifying the lipid content of autotrophic, mixotrophic, and heterotrophic dinoflagellate species.

품종별 쌀의 이화학적 특성과 증편제조 적성과의 관계 (Interrelation betwee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ifferent Rice Cultivars and Adaptability of Jeung-pyun Preparation)

  • 우경자;이은아;황홍구;이건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469-480
    • /
    • 1998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investigate the processing adaptability of Jeung-pyun. We used rice materals that were developed domestically for improving the utilization of rice. Six cultivars (Ilpoombyeo, Hwasungbyeo, Dasanbyeo, Daeribbyeo 1, Hyangmibyeo 1, Hyangmibyeo 2) of rice were used for making Jeung-pyun. In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rice, Hwasungbyeo had the highest amylose content (20.4%) and Hyangmibyeo 2 had the lowest one(14.9%). Lipid content was 0.23%(Daeribbyeo 1)-0.43%(Ilpoombyeo), protein content was 7.94%(Ilpoombyeo) -8.43%(Dasanbyeo), and ash content was 0.15%(Hyangmibyeo 2)-1.24% (Daeribbyeo 1). In volume and specific volume of the 3 hour fermented Jeung-pyuns, Ilpoombyeo, Hwasungbyeo, Hyangmibyeo 2 were higher, but in the 7 hour fermented Jeung-pyuns, Dasanbyeo, Daeribbyeo 1, Hyangmibyeo 1 were higher,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the test Jeung-pyuns, the overall quality of the 3 hour fermented Jeung-pyuns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rice cultivars, whereas in the 7 hour fermented Jeung-pyuns Hyangmibyeo 2 had the lowest values. When the 7 hour fermented Jeung-pyuns were stored at 2$0^{\circ}C$, the hardness and brittleness of Jeung-pyuns were respectively increased, the cohesiveness was respectively decreased. The elasticity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rice cultivars with storage days, and the gumminess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between rice cultivars, respectively increasing during storage, but Hyangmibyeo 2 was the lowest, not increased. In insturmental characteristics of Jeung-pyuns, the hardness was correlated with amylose content and the brittleness and gumminess were highly correlated with the hardness.

  • PDF

케이크 도넛의 흡유저감에 대한 두부 페이스트와 비전분성 탄수화물 고분자의 영향 (Impact of Tofu Paste and Non-starch Polysaccharides on Oil Uptake Reduction in Cake Doughnuts)

  • 정길영;이현정;고은솔;김현석
    • 산업식품공학
    • /
    • 제21권1호
    • /
    • pp.72-78
    • /
    • 2017
  • 전량 폐기되는 파지두부로부터 제조된 두부 페이스트와 14종의 NSP들을 혼합하여 도넛의 흡유저감에 대한 효과를 조사하였다. 두부 페이스트만을 첨가한 도넛(두부도넛)의 흡유저감율은 10.8%이었으나, 두부 페이스트와 NSP를 함께 사용하는 경우 도넛(NSP-두부도넛)의 흡유저감율은 두부도넛에 비해 향상되었다. 두부 페이스트와 함께 첨가된 NSP들의 흡유저감율에 대한 효과는 NaA가 41.2%로 가장 높았으며, HMP>XAT>CN10T = LMP = ALMP ${\lambda}C$>GG>LBG>${\iota}C$>${\kappa}C$>CN15U>GLG>CN40H 순으로 증가하였다. 또한 NSP 만을 흡유저감 소재로 첨가하였을 때보다 두부 페이스트와 함께 사용하는 것이 도넛의 흡유저감에 더욱 효과적이었고, 그 효과는 음이온성 검류들에서 뚜렷하였다. 유탕처리 시 두부 페이스트의 갈변으로 인해 두부 페이스트 및 두부 페이스트-NSP를 첨가한 도넛들은 대조군에 비해 명도가 감소하고 황색도가 증가하였으나 그 차이는 미미하였다. 두부 페이스트와 함께 NaA, ${\kappa}C$, LBG를 첨가하여 제조된 도넛의 비용적은 대조군과 유사한 수준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도넛의 흡유저감율과 비용적을 고려하면 두부 페이스트와 NaA를 흡유저감 소재로 함께 사용하는 것이 흡유저감 도넛을 제조하는데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럼에도 NaA 보다는 흡유저감율이 적지만 ${\kappa}C$과 LBG을 두부 페이스트와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차선책으로서 의미가 있을 것 같다.

습식 및 건식 쌀가루의 유지 종류 및 첨가 비율에 따른 쌀빵 품질 특성 (Effects of the Type and Percentage of a Lipid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Rice Bread Depending on the Use of Wet and Dry Rice Flour)

  • 김상숙;정혜영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511-519
    • /
    • 2018
  • The baking properties of rice bread with different percentages of butter and oil in wet and dry rice flour were investigated. The moisture, damaged starch, mean diameter, pasting properties by amylogram and RVA (Rapid Visco Analyzer), as well as thermal properties by DSC (Differential Scanning Calorimetry) of wet and dry rice flour were analyzed. The specific gravity and color (L, a, b) of the dough, as well as the appearance, color (L, a, b) and texture of the rice bread with different percentages of butter and oil in wet and dry rice flour were also analyzed. As a result, the wet rice flour were composed of a noted higher content in moisture, compared to the dry rice flour (p<0.001). The wet rice flour had lower values of damaged starch, higher values of mean diameter and a higher peak viscosity than was noted in the dry rice flour (p<0.001). The wet rice flour showed a higher degree of hydration and gelatinization than was seen in the dry rice flour (p<0.001). The prevailing principle to utilize the replacement of wet rice flour with oil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volume, specific volume and hardness of the rice bread (p<0.001). The hardness of the rice bread also showed a decreasing trend as the amount of the added oil was increased into the mixture.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replacement of wet rice flour with 5.8% oil is effective for the production of rice bread.

해산 규조류 7종의 먹이효과 비교 (Comparison of Dietary Values in Seven Species of Marine Diatoms)

  • 배진희;허성범
    • 한국양식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355-366
    • /
    • 1995
  • 해산패류양식에서 먹이 생물로서 이용 가능한 7종 규조류(Chaetoceros simplex, Navicula incerta, Phaeodactyiurn tricornutum, Nitzschia closterium, Skeletonema costatum, Thalassiosira pseudonana, Thalassiosira weisspogii)의 먹이 효율을 알아보기 위하여 일간 성장율, 평균 세포 용적, 화학적 성분과 일반 지방산 성분에 관하여 실험하였다. 세포용적을 보면 T pseudonana가 $(125{\mu}m^3)$로서 가장 작았으며 T. weissfogii가 $(824{\mu}m^3)$로서 가장 크게 나타났다. 그러나, 7일간 배양한 7종의 성장율을 살펴보면 S. costatum이 s.g.r.가 0.9928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세포 용적이 가장 큰 T. weissflogii가 0.5016로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조단백질 함량은 T. weissflogii가 $24.4\%$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T. pseudonana, S. costatum이 각각 $19.0\%,\;19.8\%$로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조지방 성분 함량은 C. simplex가 $8.4\%$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다음으로는 N closterium, M incerta, T. weissflogii의 순서였다. 7종 규조류의 주요 지방산 성분은 14:0, 16:0, 16:1 및 18:1이었으며 고도불포화 지방산함량은 비교적 낮게 나타났다. 20:5n-3 (EPA)는 P. tricornutum, C. simplex에 서 각각 $7.73\%,\;5.87\%$의 비율이었으며, 22:6 n-3 (DHA)는 P. tricornutum $0.84\%$, C. simplex $1.75\%$, S. costatum $0.70\%$의 함량을 나타내었다. 참굴 유생의 D상과 초기 각정기 유생에 7종의 규조류를 공급한 먹이효율 결과를 보면, C. simplex 공급구가 성장 및 생존율이 높게 나타났고, S. costatum과 T. weissflogii 공급구가 저조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볼때 C. simplex가 실험에 이용되었던 다른 규조류보다 이매패류의 유생에 더 유용한 먹이생물이 라고 사료된다.

  • PDF

보리순 가루를 첨가한 머핀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Muffins by the Addition of Dried Barley Sprout Powder)

  • 조정선;김혜영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30권1호
    • /
    • pp.1-10
    • /
    • 2014
  • To evaluate the effect of dried barley sprout powder on muffins, muffins were made after they had been supplemented with barley sprout powder (0, 10, 20 and 30%(all w/w)). The moisture content, crude protein and crude lipid were reduced with an increase in barley sprout powder. The content of crude ash and crude fiber in the control group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ose of the samples with barley sprout powder. The pH in the sample with barley sprout powder was lower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The highest specific gravity in the group with 30% of barley sprout powder was 0.84. No significant weight and baking loss rate changes were observed. The sample with no barley sprout powder showed the highest volume. The sample with 30% of barley sprout powder showed the highest uniformity. In color, the L-value and a-value of th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Hardness, gumminess and chewiness of the control group showed the lowest value rather than the other groups. Springness and cohesiveness of the control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other groups. Crumb color, grass odor and bitter tast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groups. Acceptance of appearance, flavor, taste and total acceptability of groups with 10% and 20% of barley sprout powder did no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whe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Based on the above results, less than 20% of barley sprout powder would be proper to make muffins.

감자즙을 첨가한 기능성 식빵의 품질 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the Potato Juice-Added Functional White Bread)

  • 한경필;이갑랑;한재숙;소궤신행;김동석;김정애;배종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924-929
    • /
    • 2004
  • 감자의 기능성을 이용한 식빵의 부재료로서 새로운 기능성을 활용하기 위하여 감자즙을 물양에 대하여 20, 50% 및 100%로 첨가하여 제조한 감자식빵의 비용적 및 굽기손실율, 일반성분, 색도, 텍스쳐, 관능검사에 의한 기호도에 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감자식빵의 무게는 반죽물 양에 대한 감자즙이 50, 100% 첨가구가 증가하였으며, 부피와 비용적은 감자즙 20% 첨가군이 가장 높았다. 굽기손실율은 대조구가 가장 높았으며 감자즙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낮아졌다. 수분 함량은 대조구보다 감자즙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수분함량이 많아 감자식빵이 더 촉촉해짐을 알 수 있었다. 조단백질 함량은 감자즙 첨가량이 많아질수록 높아지고, 조지방의 함량은 감자즙의 양이 많아질수록 낮았다. 감자즙이 증가할수록 명도 L값이 감소하여 식빵의 색이 다소 어두워졌으며(p<0.001), 적색도 a값은 감자즙이 증가할수록 대조구보다 진한 적색을 띠었다(P<0.001). 빵의 텍스쳐 특성에서 탄력성, 깨짐성 및 응집성은 대조구보다 감자즙 첨가군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감자즙을 첨가한 식빵 중에 함유된 glycoalkaloid는 물에 대한 감자즙의 50%와 100% 첨가군의 함량이 2.85, 5.79 mg%이었다. 색(p<0.001), 향미, 맛(p<0.05)에서는 감자즙이 물 양에 대해 20%일 때가 기호도가 높았으며, 외관(p<0.01) 질감(p<0.01)은 대조군이 가장 높았다.

홍국(Red Yeast Rice)을 이용한 Sourdough Bread의 품질특성 연구 (A Study on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urdough Breads with Addition of Red Yeast Rice)

  • 이재훈;곽은정;김지상;이광석;이영순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785-793
    • /
    • 2007
  • 본 연구에서는 홍국의 첨가량을 달리하여 sourdough starter를 전통적 방법으로 제조하고, 발효시간에 따른 sourdough starter의 이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sourdough bread의 texture 특성 및 관능검사를 실시하여 이의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홍국, 강력분, 호밀분의 수분 함량은 6.15, 12.53, 8.56%로 나타났으며, 회분 함량은 0.15, 0.44, 1.64%로 나타났다. 조지방 함량은 0.97, 1.16, 2.49%로 나타났으며, 조단백질 함량은 7.30, 12.57, 11.18%로 나타났다. 탄수화물 함량은 85.42, 73.29, 76.14%로 나타났다. Sourdough starter의 pH는 모든 시료가 3일까지 저하되었으며, 홍국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pH는 저하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환원당과 총당의 경우 SD1은 3일, $SD2{\sim}4$는 1일까지 유의적으로 증가한 후 감소하였으며, 홍국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젖산균의 균수는 모든 시료들이 0일에서 나타나지 않았고, 2일에서 최대를 나타냈다. 효모의 균수는 SD1이 4일의 발효시간 동안 나타나지 않았으며, $SD2{\sim}4$는 3일까지 증가하였다. Mixograph 측정 결과 peak time, peak value 및 width of tail은 CSB가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SDB1{\sim}3$은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낮게 나타났다. 발효 팽창력은 $SDB1{\sim}3$이 CSB보다 크게 나타났으며, 반죽 직후부터 45분간의 발효팽창력은 SDB1, SDB2가 SDB3보다 크게 나타났다. 비용적과 굽기 손실률의 측정 결과 SDB1이 가장 크게 나타났으며, 각각의 시료들은 비용적이 증가할 때 굽기 손실이 비례하여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색도의 측정 결과 L값은 CSB가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a값은 CSB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b값은 CSB가 가장 낮은 값을 나타내었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유의적으로 증가하였다. 물성측정 결과 경도와 응집성은 각 시료들 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탄력성과 부서짐성은 CSB가 가장 낮았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점착성은 SDB1이 가장 낮았으며,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관능검사 결과 기공의 균일성은 SDB1이 가장 균일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색은 홍국의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높게 나타났다. 경도, 탄력성, 단맛 및 신맛 등은 홍국 함유량이 증가할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취는 SDB1이 가장 적게 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기호도는 SDB1이 가장 높았다. 따라서 홍국을 10% 첨가한 sourdough starter를 3일 동안 발효한 후 반죽에 첨가하여 sourdough bread를 제조할 때 품질이 가장 우수한 제품을 얻을 수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