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olatile organic compound

검색결과 268건 처리시간 0.021초

일본 신축주택의 실내 VOC의 실태와 농도추이 특성에 의한 유형별 대표물질선정 (Selection on Representative Compoun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of VOC Concentration Indoor from the Newly Built House in Japan)

  • 유복희;다나카 타츠아키;윤정숙
    • KIEAE Journal
    • /
    • 제1권1호
    • /
    • pp.35-43
    • /
    • 2001
  • The VOC, which were detected from the newly built house, exist as a certain number of type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nge of VOC concentration indoors. In this paper, we aim to divide the VOC into types so that those with similar characteristics of the transition of their concentration are in the same group and select the representative compound according to each classified type, and to verify these processes statistically in order to verify and propose new method creating the representing index of the VOC concentration in indoor which is used in evaluation of the degree of air pollution. As a result, the characteristic of the change of VOC concentration in the indoor can be divided into three types. Type1; the group in which the concentration is relatively high righ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house, and then decreases rapidly. Type2; the group in which the concentration is relatively low right after the completion of the house, and then although it shows the tendency of increasing and decreasing repeatedly, it decreases overall. Type3 is the group, which show only one peak at a certain time during the measuring period. As the method like this was verified to have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Ethylbenzene was selected as the representative compound of type1, and Styrene was selected as that of type2. Moreover, if considering transition of the VOC from the point of similarity, the research method of making the classification and the selection of the representative compound in this study are said to be significant method.

  • PDF

저온농축열탈착 시스템을 연계한 유기지방산의 분석법 평가 및 검토 (A study of analytical method for volatile fatty acids (VFA) by cryogenic trapping-thermal desorption (CT-TD) technique)

  • 안지원;김기현;임문순;주도원
    • 분석과학
    • /
    • 제24권3호
    • /
    • pp.200-211
    • /
    • 2011
  • 본 연구에서는 저온농축열탈착법을 이용하여, 4가지 유기지방산 및 9가지 휘발성유기화합물을 포함하는 13가지 성분의 분석기법을 비교연구하였다. 저온농축열탈착법을 이용한 유기지방산의 분석기법을 평가하기 위해, 5가지 흡착소재 각각에 대해 5점 검량에 기초한 비교를 시도하였다. 그 결과, 유기지방산 및 휘발성 유기화합물에서 Carbopack X를 충진한 고체흡착관의 response factor (RF)가 가장 높은수준을 유지하면서, 유기지방산과 휘발성유기화합물의 동시분석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Tenax TA 단일소재를 제외하면, 조사에 이용한 대부분의 흡착제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저온농축열 탈착법의 검정을 위한 임의의 방안으로 기체상 표준시료를 저온농축열탈착법과 알칼리흡수법으로 동시에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기지방산에서 저온농축열탈착법 대비 알칼리흡수법의 비율 (T/S비)이 0.46 (valeric acid)~0.71 (isovaleric acid)으로 나타나 저온농축열탈착법의 결과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보다 안정적인 분석조건을 찾기 위한 연구를 추가적으로 지속한다면, 유기지방산의 분석법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된다.

냄새성분 측정을 위한 기체 크로마토그래피/불꽃이온화 검출/후각 검출법의 개발 (Method Development for the Odor-Active Compound Determination by Gas Chromatography/Flame Ionization Detection/Olfactometry)

  • 김만구;정영림;서영민;양희화
    • 분석과학
    • /
    • 제14권2호
    • /
    • pp.180-190
    • /
    • 2001
  • 화합물에 포함된 냄새를 유발하는 물질은 다양한 성분으로 되어 있다. 냄새를 유발하는 휘발성 화합물의 분석에는 GC 또는 GC/MSD 등이 많이 사용된다. 그러나, 이들 분석기기는 전체 휘발성 성분의 profile이나 특정성분의 함량을 정량적으로 분석할 수는 있으나, 냄새를 유발하는 지배적인 성분이 무엇인지 파악하기가 어렵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방법에는 GC-Sniffing 또는 GC-Olfactometry법 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복합적인 냄새성분을 검출하기 위해 사람의 후각을 이용하는 olfactometry를 기존 GC에 결합시켜 분리컬럼에서 분리된 시료가 동시에 검출되는 GC/FID/Olfactometry를 개발하였다. FID와 ODP 신호간의 시간차이는 물질의 종류와 농도, 그리고 패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일반적으로 휘발성과 냄새강도는 큰 물질일수록, 패널의 호흡주기가 짧을수록 두 신호간의 시간차이가 적었다. 그러므로, 정확한 냄새 원인물질의 규명에는 이들 신호의 관계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 PDF

흡착제에 의한 매립가스 중 휘발성 유기규소화합물(실록산) 제거특성 (Removal of Volatile Organic Silicon Compounds (Siloxanes) from Landfill Gas by Adsorbents)

  • 서동천;송수성;원종철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1권9호
    • /
    • pp.793-802
    • /
    • 2009
  • 매립가스의 자원화를 저해하는 전처리 대상물질 중 하나인 유기규소화합물(실록산)에 대한 흡착제의 제거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실제 매립가스를 대상으로 야자계 활성탄, 석탄계 활성탄, 실리카겔, 탈황제, 슬러지탄화물, molecular sieve 13X의 여섯 가지 상용 흡착제 등을 사용한 흡착실험을 수행하였다. 흡착제별 실록산 제거특성을 확인한 결과, 야자계 활성탄은 흡착된 L2성분의 급격한 유출이 확인되었으나 전체적인 실록산 제거효율과 흡착특성을 고려할 때 가장 우수한 흡착제로 나타났다. 그러나 실록산의 제거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실리카겔의 경우에는 매립가스 중 D4와 D5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하였으나 L2성분은 흡착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나 일부 실록산 성분의 제거효과만이 확인되었다. 한편, 야자계 활성탄을 직렬배열하였을 때, 처리된 매립가스의 실록산 함유정도와 농도변동의 주요인자인 L2성분을 비롯한 실록산 성분의 안정적인 제거가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실제 매립가스를 구성하고 있는 매우 다양한 성분들의 특성과 상호작용으로 흡착제의 실록산 제거특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효율적인 매립가스 자원화를 위해서는 흡착제와 대상물질 사이의 흡착특성과 함께 매립가스에 포함된 처리대상물질의 배출특성에 따른 전처리가 이루어져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수질분야 총유기탄소 분석방법에 따른 장비별 특성 비교 (Comparison of Instrument Characteristics on the Total Organic Carbon Analysis Method in Water Samples)

  • 김혜성;황은태;이찬근;조영철
    • 환경영향평가
    • /
    • 제32권5호
    • /
    • pp.353-362
    • /
    • 2023
  • TOC는 수중에 있는 유기물질의 90% 이상을 측정할 수 있으며 신속하고 용이하게 측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된 유기오염물질의 지표인 BOD와 COD를 대체하고 있다.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에 따라 TOC를 측정할 때, 시료의 총탄소 중 무기탄소 비율이 50% 이상일 경우 NPOC법으로 분석하고,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수 mg/L 이상일 경우 가감(TC-IC)법으로 분석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이러한 분석조건의 제한성을 검증하기 위해 정제수에 총유기탄소와 무기성 탄소의 비율이 다르게 하여 시험용액에서 총유기 탄소 농도결과를 확인하였는데 가감법과 NPOC법에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휘발성유기화합물 표준 용액을 첨가한 시료를 측정한 결과, NPOC법으로 분석할 때에 퍼징으로 인해 유실되는 탄소량은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시료에 휘발성유기화합물이 존재 시 분석방법에 따른 차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수질오염공정시험기준과 환경측정기기의 형식승인·정도검사 등에 관한 고시의 기준에 의한 판정 결과가 달라지는 경우를 판단하기 위해 국내에서 널리 사용하고 있는 2종류의 총유기탄소분석기의 현장시료 농도값 차를 비교한 결과, 제조사에 따라 NPOC법과 가감법에서 0.02~0.83 mg/L 차이가 있었으며, 이에 따라 기기 선정시 주의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연잎의 처리방법에 따른 약주의 품질특성 (Characteristics of the Yakju Fermented with Differently-processed Lotus Leaves)

  • 공문희;여수환;최지호;최한석;정석태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911-917
    • /
    • 2011
  •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the Yakju fermented with differently-processed lotus leaves such as blanching, steaming, roasting, and drying, and fresh one for control. The total acid content was high (0.82~1.22%) in the lotus leaf Yakju, and lactic acid was the main compound among organic acids. Volatile acid content was high (200~500 mg/L) compared to the results of organic acid composition, and the main volatile acid in lotus leaf Yakju was acetic acid. Though the polyphenol content (616.5~693.1 mg/L) was similar among the Yakju, the Hunter's color value of those were quite different and also had a big impact on the sensory evaluation of color. Therefore, it seems that the enzyme activity of polyphenol oxidase in differently-processed lotus leaves may have an influence on the color of lotus leaf Yakju. In a sensory evaluation of color and aroma, lotus leaf Yakju fermentaed with fresh leaves and roasted ones were preferred to the others, and steamed leaves and roasted ones were the best in taste and overall acceptability.

상업용 공기정화기 사용 차량 내 휘발성 유기물질 수준 (Volatile Organic Compound Levels inside Vehicles using Commercial Air Cleaning Devices)

  • Wan-Kuen Jo;Kun-Ho Park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6권6호
    • /
    • pp.659-670
    • /
    • 1997
  • 차량 내부의 높은 휘발성 유기물질 농도와 이들 휘발성 유기물질의 독성 때문에 휘발성 유기물 질에 대한 차량 내부에서의 노출이 주요한 관심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115회의 도시 지역 (대구 광역시) 출퇴근과 9회의 정차 실험을 통해 상업용 공기정화기의 6 종류 휘발성 유기물질에 대한 제거 효율이 평가되었다. 네 종류의 운전 조건에서 수행된 정차 및 출퇴근 연구 결과, 본 연구에서 이용된 두 개의 시중 시판 차량용 공기정화기는 휘발성 유기물질에 대해 제거 효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벤젠을 제외한 다섯 종류의 휘발성 유기물질의 농도는 최근 차량보다 오래된 차량 내부에서 높게 나타났다 (p<0.05). 본 연구에서 측정된 벤젠과 톨루엔의 평균 농도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측정된 값과 유사하게 나타났고, 그 이외의 미국내 비교지역의 측정 값보다는 높게 나타났다. 휘발성 유기물질에 대한 노출 및 해당 발암 위해성은 차량 내부에서 실외 공기의 약 8배 정도 높게, 그리고 실내 공기의 약 절반 정도로 산정 되었다.

  • PDF

휘발성 유기화합물 측정을 위한 전도성고분자 센서의 감응기구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Sensing Mechanism of Conducting Polymer for Volatile Organic Compound Sensing)

  • 황하룡;백지흠;허증수;이덕동;임정옥;이준영
    • 한국재료학회지
    • /
    • 제11권7호
    • /
    • pp.599-602
    • /
    • 2001
  • 전도성 고분자인 poupyrrole과 polyaniline을 이용하여 센서를 제조하고 휘발성 유기화합물에 대한감응특성 및 감지막의 물성을 조사하여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감응 기구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Polypyrrole과 polyaniline은 두께가 얇은 경우가 두꺼운 경우보다 감도가 높았으며, 1분간 도펀트를 제거한 센서가 가장 높은 감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두 가지 센서 모두 극성이 강한 분자가 흡착될수록 감도가 증가하였는데, 이는 극성을 갖는 분자가 감지막 내부로 침투하여 polaron 및 자유 carrier를 고착시키거나 추가의 자유 carrier를 형성하여 전도도에 변화를 주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 PDF

불소계 폴리실록산이미드 공중합체막을 이용한 저농도 Dichloromethane 수용액의 투과증발 (Pervaporation Separation of Trace Dicholoromethane from Water Using Fluorinated Polysiloxaneimide do Membranes)

  • 김정훈;장봉준;이수복
    • 멤브레인
    • /
    • 제17권3호
    • /
    • pp.184-190
    • /
    • 2007
  • 본 연구는 불소계 폴리실록산이미드 공중합체 막을 이용하여 휘발성 유기 화합물(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의 일종인 dichloromethane(DCM)을 물로부터 투과증발 분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유연한 사슬을 갖는 diamine-terminated polydimethylsiloxane(SIDA)과 경직된 구조를 갖는 불소계 방향족 디아민 단량체(2-(perfluorohexyl)ethyl-3,5-diaminobenzene PFDAB)과 4,4'-(hexafluoroisopropylidene)diphthalic anhydride(6FDA)를 이용하여 일련의 소수성 불소계 폴리실록산이미드 공중합체 막을 제조하여 다이아민의 구성성분에 따른 분리능의 변화를 상온에서 관찰하였다. 공중합체 막 내의 다이아민 성분 중 SIDA의 함량은 0, 25, 50, 75, 100 mol%로 조절되었으며, 원액의 조성은 DCM 0.05 wt%를 사용하였다. 소수성이 높고 자유부피가 큰 SIDA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소수성 용매인 DCM의 수착도 및 수착선택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확산계수 및 확산선택도 또한 증가하여 궁극적으로는 투과플럭스와 투과선택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진주시 대기중 휘발성 유기화합물의 농도특성 기초조사 (Characteriza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s) Concentrations in Jinju)

  • 박정호;박현건;서정민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2권1호
    • /
    • pp.91-98
    • /
    • 2013
  • In order to study the seasonal patterns and possible origins of air concentrations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VOC), measurements were taken with GC-MS at 3 sampling sites in Jinju for 12 months from Mar. 2010 to Feb. 2011. Atmospheric VOC are sampled on tubes containing solid adsorbents(Tenax TA) with a time resolution of 2hrs. Composition and concentration of VOC are analysed with a GC system equipped with thermal desorption apparatus(ATD). The most abundant compound appeared to be Toluene, Ethylbenzene and m,p-Xylene. The mean concentrations of Benzene were 0.20 ppb at GN site, 0.18 ppb at DA site, and 0.25 ppb at SP site, respectively. VOC concentration showed a strong seasonal variation, with higher concentrations during the spring and lower concentrations during the summer. The results showed that monthly fluctuations in measured VOC concentrations depended on variations in the strength of sources, as well as on photochemical activity and meteorological conditions. In Jinju, the total VOC emissions for 2009 were estimated to be 4,407 ton/year by Clean Air Policy Support System(CAPSS). It is shown that solvent use 57.5%(2,534 ton/yr), waste treatment and disposal 23.3%(1,025 ton/yr), and mobil source-road traffic 12.2%(537 ton/yr) are the most significant anthropogenic 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