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design

검색결과 4,222건 처리시간 0.026초

체형에 적합한 시각효과를 위한 중년남성 정장디자인(제2보) (The Formal Suit Design for Visual Effect of Mid-Aged Men's Shape (Part II))

  • 박순천;이순홍
    • 한국의류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60-1269
    • /
    • 2003
  • This paper endeavors to examine the most suitable formal dress design for mid-aged men who lives in Kwangju, the Republic of Korea. Visual effect in associate design is considered with adjustment, figured and the body type. There are partly similarity differences in associate design visual effect by one's shape and clothes design. Firstly, in thin type, striped figured suit is the most attractive. Single adjustment suit with striped figured tend to be attractive, young and modernistic. Single adjustment without figured is felt the mellowest. Secondly, in standard type, the suit without figured is perceived the most attractive and masculine. The suit with striped figured is looked more young. Single adjustment suit without figured is the most attractive and mellow also single adjustment with figured is felt the youngest. Double adjustment without figured is felt mellow and with striped figured is felt the most modernistic and familiar. Also double adjustment suit with check figured is felt more modernistic. Thirdly, in pyknic type, the solid figured and striped figured of the suits are felt more masculine and single without figured is thought attractive. Single adjustment with check figured is common image. Also, double adjustment with stripe figured is perceived attractive. In conclusion, the adjustment, number of button and figure are very important facts for the clothes for giving whole visual effect of men's suit.

도시공원 벤치색상의 시각적 선호 결정 모형 (A Model to Determine the Visual Preference for the Color of Benches Located in Urban Parks)

  • 유상완
    • 디자인학연구
    • /
    • 제14권2호
    • /
    • pp.137-146
    • /
    • 2001
  • In this paper it is investigated that the visual elements of preference which influence the visual preference for bench. "What color of bench is preferred when the location is the same\ulcorner" Started from those questions, the elements of preference which influence the visual preference for bench is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a equal standard mark system is applied for the evaluation of visual elements of preference and the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isual preference and the elements of preference are examined by the method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 of primary factor analysis from the visual evaluation in this paper will affect visual preference of the bench in urban park. Thu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development of urban parks for the maximum satisfaction of park visitors supplying necessary information for a resting place planning and design. It will provide a useful management guide of urban park facilities to prepare a strategic management plan of the benches from the users point of view. Especially, to know the correct preference of people, which will be provided by the evaluation of visual preference to bench will be the key to rest place planning.

  • PDF

A Study on the Shopping Life through Mobile Visual Search

  • Tungyun Liu;Sijun Sung;Heeju Chae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5권1호
    • /
    • pp.45-69
    • /
    • 2024
  • Purpose - To examine the influence of mobile visual search as a strategic technology service on consumer perceived economic value and customer commitments, which in turn affect consumer's usage intention of mobile visual search. This study also explores the moderating effect of different levels of consumer online shopping orientation. Design/methodology/approach - One-by-one open-ended in-depth interview was first undertaken to 15 Korean consumers to figure the features of mobile visual search. Then a conceptual model was built to verify the hypotheses that indicate the impact of mobile visual search on consumer perceived economic value and customer commitment, which further influence consumer's usage intention. Findings - The results show Convenience, Information quality, Personalization, Text-free search interface design and Visual communication of mobile visual search positively influence consumer perceived economic value and customer commitment and in turn positively affect consumer's usage intention. Moreover, the different levels of consumer online shopping orientation also found to have different effects on consumers' perception and behavior of using mobile visual search in online fashion shopping. Research implications or Originality - The present study verified that mobile visual search is a service tool that consumers want to use in the online fashion shopping journey since it provides economic benefits.

시각적 언어를 사용한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에 관한 연구 - 건축 통합 솔루션 소프트웨어 개발을 중심으로 (A Study of Software Development Method with Visual Presentation Language - Case Study Architecture Total Solutional Software)

  • 김성곤
    • 디자인학연구
    • /
    • 제15권3호
    • /
    • pp.103-114
    • /
    • 2002
  • 최근 사용자 중심의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 디자이너가 많은 역할을 하고 있다. 그들은 개발 요원 사이에서 서로 의사 소통의 도구로 사용되어질 시각적 문서를 제작하고 그리고 사용자 요구 사항을 분석하기 위한 시나리오에 기초를 둔 다이아그램을 제작한다. 본 논문에서는 건축 분산 실감형 서비스의 사례 연구 통하여 실질적인 예를 제시한다. 개발 영역의 설정, 주요 컨셉 개발 그리고 개발 시스템 설정의 개발 프로세스에서는 주요 진행과정과 개발원의 통일된 의견을 반영하기 위한 다양한 시각적 문서 제작의 예를 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 및 사용 환경 자료 수집과 시나리오 분석에 따른 요소 분석 과정에서는 소프트웨어 인터페이스를 제작하기 이전의 사용자 요구 사항 반영을 위한 디자이너의 시각적 언어를 사용한 문서화 제작의 예를 보여준다. 인터페이스 개발과 프로토타입 개발 과정에서는 개발원 사이에서 원활한 개발을 진행 위하여 다양한 시각적 문서의 필요 예를 제시한다. 이러한 시각적 언어를 사용한 문서들은 참여와 역할분배, 사용자 중심의 컨셉 개발, 책임 소재의 명료함, 다양한 인터페이스 개발 제안 등에 어떠한 중요한 역할을 하는가를 논한다.

  • PDF

디지털미디어 시대의 시각디자인 교육시스템 연구

  • 정봉금
    • 디자인학연구
    • /
    • 제16권3호
    • /
    • pp.341-350
    • /
    • 2003
  • 21세기의 문화라는 화두를 보면 디지털미디어의 등장이다. 이는 산업혁명에 버금가는 새로운 전환을 이루었으며 이제 우리사회는 디지털 미디어 매체가 지배하는 사회가 되었다. 변화와 발전을 거듭하는 디자인 학문으로서 시각디자인의 정체성이 디지털매체가 들어오면서 어떻게 진화하고 있는지를 조사ㆍ분석하여 현재 시각디자인 교육의 방향을 가늠하기 위한 것이 본 연구의 주된 목표이다. 또한 디지털 매체는 젊은 계층이 주 타깃이 되기에 시각언어의 표현기법이 달라지는 것도 필연적이라고 볼 수 있는데, 실제 디지털 매체의 등장으로 시각커뮤니케이션이 창조되고 분배되어 온 방법들이 많은 변화를 거쳐 온 것이 사실이다. 과거 대부분의 디자인 교육기관들은 서로 비슷한 교육목표와 커리큘럼, 교수법으로 학생들이 실무현장에 대비할 수 있는 교육을 제공해왔다. 그러나 지금과 같은 디지털 미디어시대에 시각디자인의 적용과 활용은 비할 수 없이 다각화되었으며 그것은 상호자강(Interaction)으로 대별된다. 본 연구에서는 디지털 시대 시각디자인 분야의 전문 인재 양성 방안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이를 위해 기존의 전통교육과 디지털 교육의 융합으로 현실 사회의 요구에 부응하는 새로운 교육시스템을 도출하고, 사회의 요구를 앞서가는 디자인 교육기관으로서의 위상을 제시하고자 한다.

  • PDF

중년 남성 수트 디자인 요소에 따른 이미지의 시각적 효과에 관한 연구 (The Study of Image Visual Effect by Mid-Aged Men's Suit Design)

  • 박순천
    • 복식문화연구
    • /
    • 제10권6호
    • /
    • pp.697-708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deals with the profitable suit image design of middle-aged men by examining visual effects in physical design. The sample of this study is people who live in Kwangju, Korea and 20∼50age's men and women. And it is very variety in each population statistics factors the differences of physical design visual effect which considering the difference of sex and age, numbers of button, a figure and material pattern. The method of this study is experimentation. Accordingly, I used convenience sampling by considering sex and age distribution with the SPSS program for the data analysis. The difference of body design visual effect brought follow conclusion by demographics variability. The distinction of body design by sex and numbers of button, shoulders have similar differences only in men's group. The length has it both in man and woman's group. The dissimilarity of body design by age and the number of button, the shoulders have similar differences in 30 between 40 aged group and the abdomen has it in 30 aged group. The length has it in 20 between 40 and 50 aged group. In the three factors of body design by sex and shape either sex and pattern, both man and woman have similar differences by the pattern. Totally, number of button and pattern are very important clothes due to give an effect on whole visual effect man's suit. Also, these dues were felt differently by each types of body.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the type of body is important that fluent to make people perceive.

  • PDF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가 MZ세대의 구매에 미치는 영향 연구 (A Study on Effect of Visual Elements of Cosmetic Package Design on Purchasing of MZ Generation)

  • 이주연;김승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20권2호
    • /
    • pp.383-388
    • /
    • 2022
  • 본 연구는 MZ세대가 선호하는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와 그것이 구매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행연구를 통해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시각 요소를 네이밍, 브랜드 로고, 색채, 타이포그래피, 레이아웃, 일러스트레이션, 소재와 후가공, 의미성, 총 8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1:1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MZ세대가 선호하는 구체적인 시각 요소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MZ세대는 화려하고 장식적인 스타일보다 깔끔한 구성을 선호하고, 8가지 시각 요소 중 브랜드 로고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했다. 또한, 브랜드가 추구하는 가치는 구매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소이지만, 가성비와 같은 선상에서 비교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가 향후 MZ세대를 위한 화장품 패키지디자인의 방향성 제시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