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sual Attention

검색결과 761건 처리시간 0.023초

Visual Attention Detection By Adaptive Non-Local Filter

  • Anh, Dao Nam
    • IEIE Transactions on Smart Processing and Computing
    • /
    • 제5권1호
    • /
    • pp.49-54
    • /
    • 2016
  • Regarding global and local factors of a set of features, a given single image or multiple images is a common approach in image processing. This paper introduces an application of an adaptive version of non-local filter whose original version searches non-local similarity for removing noise. Since most images involve texture partner in both foreground and background, extraction of signified regions with texture is a challenging task. Aiming to the detection of visual attention regions for images with texture, we present the contrast analysis of image patches located in a whole image but not nearby with assistance of the adaptive filter for estimation of non-local divergence. The method allows extraction of signified regions with texture of images of wild life. Experimental results for a benchmark demonstrate the a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o deal with the mentioned challenge.

발달 신경심리학 (NEUROPSYCHOLOGY IN NEURODEVELOPMENT)

  • 신민섭;김현미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16권1호
    • /
    • pp.33-46
    • /
    • 2005
  • 본고에서는 인간의 뇌 발달과 주의력, 지각, 기억, 언어 등 다양한 인지기능의 발달과의 관계를 살펴본 후, Luria의 발달 신경심리 이론 및 그에 입각하여 개발된 아동용 Luria-Nebraska신경심리검사를 간략하게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국내, 외에서 널리 사용되는 주의력 검사, 시-지각 검사, 시각-운동 협응 능력 검사, 그리고 전두엽의 집행기능검사 등을 포함한 아동용 신경심리 평가도구에 대해 고찰해보았다.

  • PDF

인체의 상향식 선택적 주의 집중 시각 기능을 모방한 능동 스테레오 감시 시스템의 개발 (Development of Active Stereo Surveillance System with the Human-like Visual Selective Attention)

  • 정범수;이민호
    • 센서학회지
    • /
    • 제13권2호
    • /
    • pp.144-151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n active stereo surveillance system with human-like convergence function. The proposed system uses a bottom-up saliency map model with the human-like selective attention visual function to select an interesting region in each camera. and this system compares the landmarks whether the selective region in each camera finds a same region. If the left and right cameras successfully find a same landmarks, the implemented vision system focuses on the landmark. Using the motor encoder information, we can automatically obtain the depth information and resultantly construct a depth map using the depth information. Computer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convergence method is very effective to implement the active stereo surveillance system.

현대 패션에 나타난 레드 이미지 (Red Image in the Modern Fashion)

  • 김윤경;이경희
    • 한국의류산업학회지
    • /
    • 제3권3호
    • /
    • pp.204-210
    • /
    • 2001
  •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red image in the modem fashion. 40 kinds of costume samples being visual power in red have been selected from photographs in fashion magazines and divided into tones: pale (Vp, Lgr, L), bright (P, B), vivid (S, B, Dp), dark (Gr, Dl, Dgr, Dk). The study was measured by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The subjects were 50 students majoring in clothing and textile. The data were analyzed by factor analysis, ANOVA, discrimminant analysis, MDS and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analysis are as follow; 1. Factor analysis has extracted 5 factors of red image in the fashion. These factor are Attractiveness, Hardness and Softness, Emotion, Attention, Simplicity.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in visual evaluation of red tones. 3. The discrimination among 4 red tones was related to attention and weight of red. 4. Evaluative dimensions of red was classified as Soft-Hard, Lively-Decent. 5. The image effect on Preference, Buying needs, Pleasant and Riches was consist of complicated sensibility.

  • PDF

선택적 주의 기법 기반의 영상의 기대효과 자동생성 (Perception based video anticipation generation)

  • 윤종철;이인권
    • 한국컴퓨터그래픽스학회논문지
    • /
    • 제13권3호
    • /
    • pp.1-6
    • /
    • 2007
  • 기대효과란 행동이 시작하기 전에 반대반향으로 일어나는 행동을 위한 준비단계로 주로 이차원 애니메이션에서 행동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어 왔다. 본 논문은 영상을 매개로 하여 인식 기반의 기대효과를 자동 생성함으로써 시청자의 주의를 임의의 정보에 집중시키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미지 기반의 집중점을 찾는 문제와 영상속의 움직임을 찾는 방법을 바탕으로 집중성 강화 알고리즘을 역으로 풀어 기대효과를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주요점에 정보를 반대로 약화시키는 기대효과를 통해 주요점을 더욱 역동적으로 강조 할 수 있다. 본 논문의 알고리즘을 통해 광고 등의 전보전달을 위한 영상 또는 역동적 표현이 필요한 영상의 보정이 가능해진다.

  • PDF

뉴로피드백 훈련이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아동의 실행기능에 미치는 영향 (The Treatment Effect of Neurofeedback Training on Executive Function in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 윤석민;곽영숙
    •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 /
    • 제26권1호
    • /
    • pp.45-51
    • /
    • 2015
  • Objectives : Children with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DHD) have been shown to display more inhibitory deficits and executive function defici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treatment effects of neurofeedback (NF) training on executive function by comparing the results of neuropsychological tests of the trained children at pre- and post-training. Methods : Fifteen children with ADHD, aged 6 to 14 years, participated in the study. The NF treatment consisted of slow cortical potential (SCP) training and these sessions took place once a week. The ADHD children performed 20 sessions of NF training within 6 months. Pre-training and post-training assessments encompassed Continuous Performance Test (CPT), Stroop Test, Children's Color Trails Test I&II (CCTT) and Wisconsin Card Sorting Test (WCST). Results : Patients receiving NF training show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visual commission error and standard deviation of auditory response time on CPT ; and total errors on WCST.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troop test and CCTT. Conclusion : SCP training using NF improves the self-regulatory capacities and impulsivity in ADHD patient, especially impulsivity in visual stimulation tasks. This study showed evidence of clinical efficacy of NF on executive function in ADHD.

신경망 근사에 의한 다중 레이어의 클래스 활성화 맵을 이용한 블랙박스 모델의 시각적 설명 기법 (Visual Explanation of Black-box Models Using Layer-wise Class Activation Maps from Approximating Neural Networks)

  • 강준규;전민경;이현석;김성찬
    • 대한임베디드공학회논문지
    • /
    • 제16권4호
    • /
    • pp.145-151
    • /
    • 2021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ovel visualization technique to explain the predictions of deep neural networks. We use knowledge distillation (KD) to identify the interior of a black-box model for which we know only inputs and outputs. The information of the black box model will be transferred to a white box model that we aim to create through the KD. The white box model will learn the representation of the black-box model. Second, the white-box model generates attention maps for each of its layers using Grad-CAM. Then we combine the attention maps of different layers using the pixel-wise summation to generate a final saliency map that contains information from all layers of the model. The experiments show that the proposed technique found important layers and explained which part of the input is important. Saliency maps generated by the proposed technique performed better than those of Grad-CAM in deletion game.

신호등 인식 성능 향상을 위한 쿠버네티스 기반의 프레임워크: YOLOv5와 Visual Attention을 적용한 C-RNN의 융합 Vision AI 시스템 (Kubernetes-based Framework for Improving Traffic Light Recognition Performance: Convergence Vision AI System based on YOLOv5 and C-RNN with Visual Attention)

  • 조형서;이민정;한연지
    • 한국정보처리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2년도 추계학술발표대회
    • /
    • pp.851-853
    • /
    • 2022
  • 고령화로 인해 65세 이상 운전자가 급증하며 고령운전자의 교통사고 비율이 증가함에 따라 시급한 사회 문제로 떠오르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객체 검출, 인식 모델을 결합하고 신호등을 인식하여 Text-To-Speech(TTS)로 알리는 쿠버네티스 기반의 프레임워크를 제안한다. 객체 검출 단계에서는 YOLOv5 모델들의 성능을 비교하여 활용하였으며 객체 인식 단계에서는 C-RNN 기반의 attention-OCR 모델을 활용하였다. 이는 신호등의 내부 LED 영역이 아닌 이미지 전체를 인식하는 방식으로 오탐지 요소를 낮춰 인식률을 높였다. 결과적으로 1,628장의 테스트 데이터에서 accuracy 0.997, F1-score 0.991의 성능 평가를 얻어 제안한 프레임워크의 타당성을 입증하였다. 본 연구는 후속 연구에서 특정 도메인에 딥러닝 모델을 한정하지 않고 다양한 분야의 모델을 접목할 수 있도록 하며 고령 운전자 및 신호 위반으로 인한 교통사고 문제를 예방할 수 있다.

Robust Face Detection Based on Knowledge-Directed Specification of Bottom-Up Saliency

  • Lee, Yu-Bu;Lee, Suk-Han
    • ETRI Journal
    • /
    • 제33권4호
    • /
    • pp.600-610
    • /
    • 2011
  • This paper presents a novel approach to face detection by localizing faces as the goal-specific saliencies in a scene, using the framework of selective visual attention of a human with a particular goal in mind. The proposed approach aims at achieving human-like robustness as well as efficiency in face detection under large scene variations. The key is to establish how the specific knowledge relevant to the goal interacts with the bottom-up process of external visual stimuli for saliency detection. We propose a direct incorporation of the goal-related knowledge into the specification and/or modification of the internal process of a general bottom-up saliency detection framework. More specifically, prior knowledge of the human face, such as its size, skin color, and shape, is directly set to the window size and color signature for computing the center of difference, as well as to modify the importance weight, as a means of transforming into a goal-specific saliency detection. The experimental evaluation shows that the proposed method reaches a detection rate of 93.4% with a false positive rate of 7.1%, indicating the robustness against a wide variation of scale and rotation.

시각 탐색에서의 기억: 탐색 효율성에 근거한 증거 (Memory in visual search: Evidence from search efficiency)

  • 백종수;김민식
    • 인지과학
    • /
    • 제16권1호
    • /
    • pp.1-15
    • /
    • 2005
  • 인간의 시각 체계는 제한된 용량으로 인해 매 순간 입력되는 정보들 중에 필요한 일부 정보만을 선택하는 주의 기제를 사용한다. 최근의 여러 연구들은 주의가 요구되는 시각 탐색 과제에서 탐색 자극에 대한 기억이 주의의 이동 과정에 사용될 수 있음을 보고해 왔다(Chun & Jiang, 1998, 1999; Klein, 1988; Klein 1998; Maclnnes, 1999). 하지만 다른 일련의 연구들은, 인간의 시각 정보 유지능력이 순간적으로 일어나는 시각적 변화를 잘 탐지하지 못할 뿐 아니라(Rensink, O'Regan, & Clark, 1997; Simons & Levin, 1997), 시각 탐색에서도 기억이 형성되지 못해, 이미 탐색한 대상에 대한 재탐색이 계속적으로 이루어짐을 주장하였다(Horowitz & Wolfe, 1998). 본 연구에서는 시각 탐색 과정에서 이미 탐색한 자극이나 그 위치에 대한 기억이 사용되어 탐색 효율성에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기 위해, 재탐색을 할 수 없도록 제한한 탐색조건(부분 노출 조건, 확장 노출 조건)을 새로 고안하여 이들 조건에서의 탐색 효율성이 기존의 탐색 방식을 제한하지 않는 탐색 조건(전체 노출 조건)에서의 탐색 효율성과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를 비교하였다. 만일 일반적인 탐색 환경인 전체 노출 조건에서 재탐색이 일어난다면, 재탐색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작한 다른 조건에 비해 탐색 효율성이 떨어질 것으로 예상하였다. 실험 결과, 탐색 효율성은 탐색 조건에 상관없이 비슷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실험 참가자들 이 전체 노출 조건에서도 탐색했던 대상에 대해서 재탐색을 거의 하지 않았음을 의미하는 것이며, 따라서 탐색 과정에서 기억이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 결과는 시각 탐색에 기억이 사용되지 않는다는 최근의 일부 연구 결과와 상반된 것으로서, 기존 연구 패러다임의 문제점과 가능한 해석들을 논의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