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rtual-straight line model

검색결과 6건 처리시간 0.022초

가상 직선 모델을 사용한 일반적 VLSI 배선의 신호의 무결성 검증 ((Signal Integrity Verification of a General VLSI Interconnects using Virtual-Straight Line Model))

  • 진우진;어영선;심종인
    • 전자공학회논문지SC
    • /
    • 제39권2호
    • /
    • pp.146-156
    • /
    • 2002
  • 이 논문에서는 불규칙한 배선 구조에 대한 가상직선(virtual-straight line) 파라미터 추출 방법과 이를 이용한 새롭고 빠른 시간 영역에서의 시뮬레이션 방법론을 보이고 검증한다. 비선형인 트랜지스터의 특성을 고려한 인터컨넥트 회로의 시간영역에서의 신호응답은 모델차수감소법(model order reduction method)을 사용하여 수행된다. 모델차수감소법은 인터컨넥트 회로의 단위길이당 파라미터를 이용하므로 인터컨넥트의 길이가 서로 다르고 불규칙한 형태를 갖는 인터컨넥트에 대해서 직접적으로 모델차수감소법을 적용하기 위해 가상직선 모델을 사용하여 인터컨넥트의 파라미터를 추출한다. 또한 모델차수감소법은 일반적인 Berkeley SPICE의 모듈로 구성하여 인터컨넥트 회로의 시간영역 시간응답을 구하였으며 일반적인 회로 시뮬레이터인 HSPICE의 시뮬레이션 결과와 비교하여 잘 일치한다는 것을 보인다. 제안된 방법은 복잡한 다층 배선 구조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시간영역 신호응답을 제공함으로써 고성능 VLSI 회로 설계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다.

가상 AGV를 이용한 물류자동화 시뮬레이션 개발 (Development of a material handling automation simulation using a virtual AGV)

  • 노영식;강희준;서영수
    • 대한전기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대한전기학회 2006년 학술대회 논문집 정보 및 제어부문
    • /
    • pp.563-566
    • /
    • 2006
  • In this paper, we studied about AGVs modeling and material handling automation simulation using a virtual AGV. The proposed virtual AGV model that operates independently each other is based on a real AGV. Continuous straight-line and workstation model using vector drawing method that could easily, rapidly work system modeling are suggested. Centralized traffic control, which could collision avoidance in intersection and should not stop AGV as possible, and algorithm for detour routing which performs when another AGV is working in pre-routed path are proposed. The traffic control and the algorithm have been proved efficiently by simulation.

  • PDF

Mathematical Modeling and Control for A Single Winding Bearingless Flywheel Motor in Electric/Suspension Mode

  • Yuan, Ye;Huang, Yonghong;Xiang, Qianwen;Sun, Yukun
    • Journal of Electrical Engineering and Technology
    • /
    • 제13권5호
    • /
    • pp.1935-1944
    • /
    • 2018
  • With the increase of the production of energy from renewable, it becomes important to look at techniques to store this energy. Therefore, a single winding bearingless flywheel motor (SWBFM) specially for flywheel energy storage system is introduced. For the control system of SWBFM, coupling between the torque and the suspension subsystems exists inevitably. It is necessary to build a reasonable radial force mathematical model to precisely control SWBFM. However, SWBFM has twelve independently controlled windings which leads to high-order matrix transformation and complex differential calculation in the process of mathematical modeling based on virtual displacement method. In this frame, a Maxwell tensor modeling method which is no need the detailed derivation and complex theoretical computation is present. Moreover, it possesses advantages of universality, accuracy, and directness. The fringing magnetic path is improved from straight and circular lines to elliptical line and the rationality of elliptical line is verified by virtual displacement theory according to electromagnetic torque characteristics. A correction function is taken to increase the model accuracy based on finite element analysis. Simulation and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control system of SWBFM with radial force mathematical model based on Maxwell tensor method is feasible and has high precision.

AGV 시스템의 모델링 및 교통제어를 위한 Simulation Tool 개발 (Development of the Simulation Tool for The Modeling and Traffic Control of a AGV System)

  • 홍현주;노영식;강희준;서영수;김태후
    • 한국지능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4권4호
    • /
    • pp.499-505
    • /
    • 2004
  • 본 논문에서는 가상 AGV를 이용한 AGVS의 시스템 모델링과 교통제어 대해 연구하였다. 실제 AGV에 기초한 가상의 AGV의 모델을 제안하고 각각의 가상 AGV가 독립적으로 명령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또한 공장 환경을 모델링하기 위해 연속된 직선경로정보와 AGV가 작업할 작업장소를 Vector Drawing방식으로 모델링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그리고, 서로 다른 AGV가 경로 합류점에서의 충돌을 방지하면서 정지하지 않고 AGV를 통과시킬 수 있도록 합류구역의 교통제어방식과 경로가 정체될 때 이를 우회할 수 있도록 하는 알고리즘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제안된 모델과 교통제어방식에 대하여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여 유효성을 검증하였다.

편미분 파동장을 이용한 탄성파 주시 곡선의 평가 (Kinematic Approximation of Partial Derivative Seismogram with respect to Velocity and Density)

  • 신창수;신성렬
    • 지구물리와물리탐사
    • /
    • 제1권1호
    • /
    • pp.8-18
    • /
    • 1998
  • 키르히호프 주시 쌍곡선은 탄성파 탐사에서 반사파 자료를 구조보정 하는데 널리 쓰여져 왔다. 그러나 이는 중합전 혹은 중합후 구조보정을 위한 적용에 있어 그 수학적인 기반이 그다지 명확하게 이해되어 오지 않아왔다. Exploding reflector 모델을 생각할 때 지하 산란체로부터 지표 수신기까지의 주시는 지하 산란체 위치에 송신원을 둔 경우 Green함수를 이용한 주시와 동일하다. 따라서 송신원에서 exploding reflector, 또 여기서 수신기까지의 주시의 합은 관측자료에 속도 및 밀도에 대한 편미분을 취함으로써 얻어지는 편미분 파동장의 주시와 개념적으로 일치한다. 키르히호프의 주시 쌍곡선을 따라 반사파 탄성파자료의 합은 편미분장과 관측된 자료의 내적과 동일한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또한 굴절 주시 직선을 이용한 굴절자료의 중합은 편미분장의 초동과 현장자료의 내적과 개념적으로 같음을 알 수 있다. 지하의 구조내의 속도나 밀도에 대한 편미분장의 관점에서 보면 굴절파자료에 대해서는 직선에 대한 중합, 반사파자료에 대해서는 키르히호프 쌍곡선으로 지하의 구조를 영상화 할 수 있는 연산자임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타당성 검증은 일반적인 키르히호프 구조보정에 대한 기본 이론을 구성할 수 있었고 또한굴절 주시 직선을 굴절파자료의 영상화에 있어서 연산자의 기본 지식을 확보할 수 있었다.

  • PDF

남성용 작업복 팬츠 3차원 가상착의 시뮬레이션 평가 (The Computerized 3-D Clothing Simulation for the Evaluation of Men's Working Pants)

  • 박진아
    • 복식
    • /
    • 제63권8호
    • /
    • pp.27-42
    • /
    • 2013
  • The study was aimed to develop men's working pants patterns through the computerized 3-D virtual clothing simulation system and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3-D simulated outfit by comparing it to the images of the actual outfits. The average body measurements of South Korean men aged between 30 and 39 used for the simulation in order to generate a 3-D virtual model and to realize outfits of men's working pants for the workers in the heavy industry in South Korea. And also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on certain aspects of the working pants such as type, detailed design preference and discomforting part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Both the simulated and real images of the developed working pants were compared in terms of the ease amount according to parts of the working pants, the position of seam lines, the appearance of darts and pleats, and the effects of the fabric surface according to expertise panels' subjective 5-point scale evaluation. The results throughout the study were (1) the basic working pants item worn by subject workers were the straight one pleated pants. The most discomforting parts of the working pants were in the order of body rise, thigh, hip, waist, pants hems and knee girth. (2) the drafting factors of pants patterns differed by the men's body features, which was related to the allocation of suppression amounts between waist and hip girths into darts and hip curve amounts on the waist line level of the pants. (3) the similarity of the virtually simulated and real images of men's working pants resulted in an average of 4.5 to the ease of appearance, 4.6 to the seam lines, 4.1 to the fabric surface effects in a 5-point scale, which means that the two were highly alik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