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ine growth

검색결과 108건 처리시간 0.025초

수변 경계종인 쥐방울덩굴의 유전적 다양성 분석 (An analysis of the genetic diversity of a riparian marginal species, Aristolochia contorta)

  • 남보은;박현준;손가연;김재근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2권2호
    • /
    • pp.100-105
    • /
    • 2020
  • 수변 및 육상 식생의 경계에 서식하는 쥐방울덩굴(Aristolochia contorta)은 국내 취약종인 꼬리명주나비(Sericinus montela) 유충의 유일한 기주식물이라는 점에서 높은 보전가치를 지닌다. 개체군의 장기적인 유지에 있어서 유전적 다양성은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며, 이를 위하여 기존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을 파악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쥐방울덩굴 개체군이 장기적으로 유지되고 있는 네 서식처의 개체군을 대상으로 개체들의 잎을 채집하여 DNA를 추출하였으며, 5개의 무작위 프라이머를 이용한 RAPD-PCR을 수행하여 각 개체군의 유전적 다양성을 비교하고 개체군 간의 유연관계를 파악하였다. 개체군 내 유전적 다양성은 4개 개체군 중 가평 개체군(GP)이 가장 높았으나, 전반적인 유전적 다양성은 다른 종에 비해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h: 0.0607 ~ 0.1491; I: 0.0819 ~ 0.1759). 또한 가평 개체군의 경우 지리적 거리와 무관하게 다른 개체군들과의 유전적 거리가 큰 편으로 나타났다. 이는 파편화된 서식지와 더불어 낮은 유성생식 비율에서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쥐방울덩굴 개체군의 보전을 위해서는 개체군 혼합 식재와 적절한 차광이나 물리적 지지와 같이 쥐방울덩굴의 유성생식 을 촉진하는 환경이 적극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거봉의 뿌리혹병 방제를 위한 저항성 대목 선발 및 월동법 (Selection of Resistant Rootstock and Development of Overwintering Methods for Control of Crown Gall Disease on Grapevine)

  • 강성수;박상헌;박문균;박태진;강희완;최재을
    • 식물병연구
    • /
    • 제13권2호
    • /
    • pp.98-103
    • /
    • 2007
  • 포도나무의 추위피해는 여러 형태로 나타난다. 월동피해 중에는 기계적 피해, 동해 또는 수세의 약화 원인이 된다. 본 연구는 '거봉'의 뿌리혹병의 피해를 억제하기 위하여 저항성 대목의 선발과 월동법 개선을 통한 방제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SO4, 5BB, 3306대목에 $10^4cfu/ml$의 뿌리혹병균(YK2823, YK3312, LMG259, HKA234)을 접종했을 때는 혹이 발병하지 않았으나 $10^6cfu/ml$의 높은 농도에서는 모든 대목에서 혹이 형성된다. 그러나 혹의 크기는 거봉에서보다 매우 작았다. 인공접종에 의하여 3품종의 뿌리혹병 저항성 대목을 선발하였다. 볏짚과 보온덮개로 줄기와 가지에 피복하는 월동법은 뿌리 혹병을 예방하는데 가장 효과적이었다. 이러한 처리방법은 포도나무가 월동하는 동안 수체의 온도 차이가 $9.6^{\circ}C$로 온도변화가 최소화되었고 동해발생이 없어 정상적으로 생육하였다.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협력 모델 개발 I.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관한 연구 (Conservation of an endangered Corylopsis corona Uyeki in and ex situ and Development of cooperative model within local community I. Study for a Characteristic of Distribution Pattern in Corylopsis coreana $U_{YEKI}$)

  • 임동옥;황인천;정흥락;유윤미
    • 한국환경생태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환경생태학회 2005년도 정기총회 및 학술대회
    • /
    • pp.85-101
    • /
    • 2005
  • 우리나라 특산수종인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대해 현지조사와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히어리 분포는 전라남도 지역의 보성군, 광양시, 순천시일대, 고흥군 점암면, 구례군 간전면, 장흥군 천관산, 지리산 노고단 전라북도 남원시 천황산, 지리산 뱀사골과 반야봉, 경상남도 산청군, 하동군, 남해군, 경기도 포천시 백운산에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히어리 분포역에서 식물상은 70과 159속 216종 22변종 4품종 총 242종류가 확인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물이 $5.8\%$, 나자식물이 $3.7\%$, 단자엽식물이 $18.6\%$, 쌍자엽식물이 $71.9\%$로 분석 되었으며, 생활형별 분류에서 1년생이 $1.7\%$, 다년생이 $98.3\%$로 분석되었다. 생장형별 비교에서는 초본성이 $44.2\%$, 덩굴성이 $12.4\%$, 관목성이 $17.8\%$, 교목성이 $25.6\%$로 나타났다. 히어리 군락 분포 유형은 전형적으로 북사면, 북동사면, 또는 북서사면이었으며, 전라남도 승주읍 신전리 자생지는 교목상 숲으로 인해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다.

  • PDF

보호종인 히어리의 자생지내외 보전과 지역사회 헙력 모델 개발 I.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관한 연구 (Conservation of an Endangered Corylopsis coreana $U_{yeki}$ in and Ex Situ and Development of Cooperative Model within Local Community I. Study for a Characteristic of Distribution Pattern in Corylopsis coreana $U_{yeki}$)

  • 임동옥;황인천;정흥락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9권2호
    • /
    • pp.162-176
    • /
    • 2005
  • 우리나라 특산수종인 히어리 분포지 특성에 대해 현지 조사와 문헌조사를 실시하였다. 히 어리 분포는 전라남도 지역의 보성군, 광양시, 순천시 일대, 고흥군 점암면, 구례군 간전면, 장흥군 천관산, 지리산 노고단 전라북도 남원시 천황산, 지리산 뱀사골과 반야봉, 경상남도 산청군, 하동군, 남해군, 경기도 포천시 백운산에 출현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히어리 분포역에서 식물상은 70과 159속 216종 22변종 4품종 총 242종류가 확인되었다 분류군별로는 양치식 물이 $5.8\%$, 나자식물이 $3.7\%$, 단자엽식물이 $18.6\%$, 쌍자엽식물이 $71.9\%$로 분석되었으며, 생활형별 분류에서 1년생이 $1.7\%$, 다년생이 $98.3\%$로 분석 되었다. 생장형 별 비교에서는 초본성이 $44.2\%$, 덩굴성이 $12.4\%$, 관목성이 $17.8\%$, 교목성이 $25.6\%$로 나타났다. 히어리 군락 분포 유형은 전형적으로 북사면, 북동사면, 또는 북서사면이었으며, 전라남도 승주읍 신전리 자생지는 교목상 숲으로 인해 쇠퇴하는 경향을 보였다.

제주도 목본식물자원의 분포특성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Woody Plants Resources in Jeiu, Korea)

  • 김찬수;손석규;도재화;김지은;황석인;정진현
    • 한국자원식물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424-436
    • /
    • 2007
  • 여기에서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임목유전자원에 대하여 앞으로의 개발과 보존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목본식물은 62과 136속 279종 28변종 13품종으로 계 320 분류군이었다. 그 중 침엽수인 나자식물은 3과 5속 7종으로 전체의 2.2%였으며, 나머지인 59과 131속 272종 28변종 13품종 계 313 분류군이 활엽수였다. 활엽수 중 상록수는 31과 45속 72종 7변종 5품종으로 84 분류군으로 활엽수종의 26.8%이며, 낙엽수는 42과 93속 200종 21변종 8품종 계 229 분류군으로 73.2%였다. 이들은 교목 122 분류군(38.1%), 관목 177 분류군(55.1%), 만경 21 분류군(6.8%)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휴면형, 번식형, 산포기관형 및 생육형에 의한 스펙트럼이 분석되었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목본식물 320 분류군 중 17과 21속 14종 16변종 30 분류군이 한국특산이었으며, 그 중 22 분류군은 제주특산이었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목본식물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종은 V 등급 10 분류군, IV 등급 24 분류군, III 등급 53 분류군이었다. 이 결과는 V 등급은 전국의 12%, IV 등급은 7.6%, III 등급은 17.2%에 해당하는 것이다.

백하수오(白何首烏) 파종기(播種期)가 생육(生育) 및 수량(收量)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Seeding Date on the Growth and Yield of Cynanchum wilfordii Hemsley)

  • 최인식;손석룡;조진태;박재성;한동호;정인명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4권2호
    • /
    • pp.114-118
    • /
    • 1996
  • 중부(中部) 내륙지방(內陸地方)에서 백하수오(白何首烏)의 파종적기(播種適期)를 구명(究明)하고자 충북지방재래종(忠北地方在來種)을 공시(供試)하여 10a당(當) 퇴비(堆肥) 1,000kg, N - P - K=8 - 4 - 4kg을 전량(全量) 기비(基肥)로 시용(施用)하고 파종기(播種期)는 3월(月) 20일(日)부터 10일(日) 간격으로 4월(月) 30일(日)까지 5회(回)에 걸쳐 파종(播種)하여 시험(試驗)을 하였던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출아(出芽)는 3월(月) 20일(日) 파종시(播種時) 5월(月) 16일(日)로 57일(日)이 소요(所要)되었으나 4월(月) 30일(日) 파종(播種)은 6월(月) 35일(日) 소요(所要)되어 파종(播種)이 늦어질수록 출아(出芽) 일수(日數)가 단축(短縮)되었다. 2. 만장(蔓長)은 3월(月) 20일(日) 파종(播種) 236cm에 비(比)하여 3월(月) 30일(日) 파종(播種)은 5cm 길었으나 엽수(葉數)는 3월(月) 20일(日)의 79매(枚)보다 파종(播種)이 늦어질수록 $5{\sim}16$매(枚)가 적었다. 3. 근장(根長)은 3월(月) 20일(日)은 파종(播種) 21. 8cm보다 3월(月) 30일(日) 파종(播種)은 1. 8cm, 4월(月) 10일(日) 파종(播種)은 1. 4cm, 4월(月) 20일(日)은 0. 9cm가 각각(各各) 길었으나 분근수(分根數)는 파종기간(播種期間)에 큰 차이가 없었다. 4. 제형질간(諸形質間)의 상관(相關)은 출아기(出芽期)와 출아소요일수(出芽所要日數)(r=0.99), 만장(蔓長)(r=0.99), 엽수(葉數)(r=0.96), 출현소요일수(出現所要日數)와 엽수(葉數)(r=0.95), 근장(根長)과 분근수(分根數)(r=0.96), 절수(節數)와 근중(根重)(r=0.89) 등(等)에서 유의성(有意性)이 인정되었다. 5. 10a당(當) 근중(根重)은 3월(月) 20일(日) 파종(播種) 207kg/10a에 비하여 3월(月) 30일(日) 파종(播種)은 18%, 4월(月) 10일(日), 4월(月) 20일(日) 파종(播種)은 10%가 각각(各各) 증수(增收)되었고 4월(月) 30일(日) 파종(播種)은 14%가 감수(減收)되어 중부(中部) 내륙(內陸) 평야지(平野地)에서 백하수오(白何首烏)의 파종적기(播種適期)는 4월(月) 상순(上旬)이 유리(有利)하였다.

  • PDF

여주 무가온 하우스내 입체재배시 재식밀도가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lanting Density on the Growth and Yield in Staking Cultivation of Bitter Gourd (Momordica charantia L.) under Non-heated Greenhouse)

  • 성기철;김천환;위승환;임찬규;손다니엘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73-177
    • /
    • 2015
  • 본 시험은 여주의 봄 무가온 하우스내 입체재배시 적정 재식밀도를 구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재식밀도는 $235plants{\cdot}10a^{-1}$, $305plants{\cdot}10a^{-1}$, $380plants{\cdot}10a^{-1}$의 3처리로 하였으며 '에라부' 품종을 이용하여 3월 26일 정식하였다. 유인방법은 어미 줄기를 적심하고 아들 줄기를 6개로 유인하였다. 시설 내 광도는 재식밀도가 높을수록 낮아졌으며 순 광합성율도 41-71% 정도로 유의하게 낮았다. 재식밀도에 따른 과일 특성에서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재식밀도가 낮을수록 주당 근중과 수확 과수는 증가하였다. 평균 과중은 $305plants{\cdot}10a^{-1}$ 처리구에서 338.7g으로 가장 무거웠으며 $235plants{\cdot}10a^{-1}$ 처리구에서 285.2g으로 가장 가벼웠다. 총 수량은 $305plants{\cdot}10a^{-1}$ 처리구에서 $5,393kg{\cdot}10a^{-1}$로 가장 많았으며 $235plants{\cdot}10a^{-1}$ 처리구에 $4,068kg{\cdot}10a^{-1}$로 가장 적었다. 상품과의 수량도 $305plants{\cdot}10a^{-1}$ 처리구에서 $4,767kg{\cdot}10a^{-1}$으로 재식밀도 $235plants{\cdot}10a^{-1}$에 비하여 24%, $380plants{\cdot}10a^{-1}$에 비하여 13% 정도가 증가되었다. 따라서 무가온 하우스내 입체 재배시 적정 재식밀도는 $305plants{\cdot}10a^{-1}$ 정도가 적당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소(窒素) 시용량(施用量)이 호프(Humulus lupulus L.)의 수량(收量) 및 품질(品質)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Nitrogen Application on the Yield and Quality of Hop(Humulus lupus L.))

  • 이용환;조병옥;허범량;호교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5권1호
    • /
    • pp.38-43
    • /
    • 1992
  • 호프에 대한 재배년수별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을 밝히고 품질(品質)을 구명(究明)하고자, Hallertau 품종(品種)을 공시(供試)하여 질소(窒素)를 성분량(成分量)으로 각각(各各) 0, 12, 18, 24, 30, 36kg/10a을 처리(處理)하여 재배(栽培)한바, 그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호프의 모화기(毛花期), 구화형성기(毬花形成期), 구화성숙기(逑花成熟期)는 질소시용량(窒素施用量)이 많을수록 다소 지연(遲延)되는 양상(樣相)을 보였고, 마디수와 만장(蔓長)은 질소(窒素) 24㎏/10a 까지는 길어지고 그 이상(以上)의 수준(水準)에서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였다. 2. 수량(收量)은 질소(窒素) 24kg/10a에서 가장 증수(增收) (1,023kg/10a)되었으며, 주당구화수(株當毬花數) 및 구화중(毬花重)은 년생(年生)에 관계없이 수량(收量)과 유의성(有意性)을 보였고, 착화측지당(着花側枝當) 구화수(毬花數)및 100구화중(毬花重)은 4년생(年生)과 5년생(年生)에서 수량(收量)과 유의한 정(正)의 상관(相關)을 보였다. 3. 식물체(植物體)의 양분함유율(養分含有率)은 CaO, T-N, $K_2O$, MgO, $P_2O_5$ 순(順)으로 많이 흡수(吸收)되였고, T-N, CaO, MgO는 경엽(莖葉)에, $P_2O_5$, $K_2O$는 구화(毬花)에 많이 함유(含有)되였고, 질소시비량(窒素施肥量)이 증가(增加)함에 따라 T-N, $P_2O_5$, MgO는 증가(增加)하나 $K_2O$, CaO는 감소(減少)하는 경향(傾向)이었다. 4. 구화형성기(毬花形成期)에 부위별(部位別) 양분함량(養分含量)을 보면, $SiO_2$는 상위부(上位部)보다는 하위부(下位部)에, $P_2O_5$는 하위부(下位部)보다는 상위부(上位部)에, T-N과 $K_2O$는 상(上), 하위부(下位部)보다는 중위부(中位部)에 무기성분(無期成分) 함량(含量)이 많이 분포(分布)하는 경향(傾向)이었다. 5. 회귀곡선식(回歸曲線式)에 의한 질소(窒素) 적정시비량(適正施肥量)은 2년생(年生) 19.3, 3년생(年生) 24.3, 4년생(年生) 27.9, 5년생(年生) 31.8kg/10a이였다. 6. 구화중(毬花重) 질소흡수량(窒素吸收量)과 ${\alpha}$-acid 및 ${\beta}$-acid 함량과는 정(正)의 상관(相關)관계를 보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