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stract
In this paper, it was discussed situations and necessities of conservation management strategy for the woody plants resources in Jeju Island. Out of 320 taxa of the woody plants distributed in Jeju, there were 62 families, 136 genus, 279 species, 28 varieties and 13 forma. Conifers, gymnosperms, were 3 families, 5 genus and 7 species as holding 2.2% of total woody plants. Broad leaves, angiosperms, were 59 families, 131 genus, 272 species, 28 varieties and 13 forma that were 313 taxa. Evergreens were 84 taxa consisting of 31 families, 45 genus, 72 species, 7 varieties and 5 forma that make up 26.8% out of total angiosperms. Deciduous were 229 taxa(73.2%) consisting of 42 families, 93 genus, 200 species, 21 varieties and 8 forma that were 122 trees(38.1%), 177 shrubs(55.1%) and 21 vine plants(6.8%). Life form spectra by dormancy, disseminule, radicoid and growth form were analysed. Thirty eight taxa including 17 families, 21 genus, 14 species and 16 varieties out of 320 taxa growing Jeju were endemic to Korea and 22 taxa of them were endemic to Jeju. The specific plant species among the woody plants in Jeju were 10 taxa in V grade, 24 taxa in IV grade and 53 taxa in III grade. These are correspondence to those of nations as 12% of V grade, 7.6% of IV grade and 17.2% of III grade.
여기에서는 제주도에 분포하는 임목유전자원에 대하여 앞으로의 개발과 보존전략 수립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목본식물은 62과 136속 279종 28변종 13품종으로 계 320 분류군이었다. 그 중 침엽수인 나자식물은 3과 5속 7종으로 전체의 2.2%였으며, 나머지인 59과 131속 272종 28변종 13품종 계 313 분류군이 활엽수였다. 활엽수 중 상록수는 31과 45속 72종 7변종 5품종으로 84 분류군으로 활엽수종의 26.8%이며, 낙엽수는 42과 93속 200종 21변종 8품종 계 229 분류군으로 73.2%였다. 이들은 교목 122 분류군(38.1%), 관목 177 분류군(55.1%), 만경 21 분류군(6.8%)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또한 휴면형, 번식형, 산포기관형 및 생육형에 의한 스펙트럼이 분석되었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목본식물 320 분류군 중 17과 21속 14종 16변종 30 분류군이 한국특산이었으며, 그 중 22 분류군은 제주특산이었다. 제주도에 분포하는 목본식물 중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종은 V 등급 10 분류군, IV 등급 24 분류군, III 등급 53 분류군이었다. 이 결과는 V 등급은 전국의 12%, IV 등급은 7.6%, III 등급은 17.2%에 해당하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