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y early education

검색결과 236건 처리시간 0.026초

초등학교 언어창작영재의 적성과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 연구 (The Study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Aptitude, Career Tendency & Career Maturity of Verbal Writing Gifted Student)

  • 김유선
    • 영재교육연구
    • /
    • 제21권1호
    • /
    • pp.141-161
    • /
    • 2011
  • 본 연구는 교육청 글쓰기 대회에서 수상하여 언어영재캠프에 참여한 초등학교 4, 5학년 학생들(60명)을 대상으로 언어창작영재들의 적성과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 프로파일은 언어적성, 음악적성이 강점지능으로, 논리 수학적성이 약점지능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수적성은 음악적성과 언어적성으로 나타난 학생의 수가 많았고, 논리 수학적성이 가장 적었다. 논리 수학흥미와 논리 수학성취가 유의수준 p<.01.에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진로성향은 언어성향과 인간친화성향의 학생이 가장 많았고, 음악적성, 자연친화적성, 인간친화적성은 우수적성과 진로성향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넷째, 과반수 이상(41명, 68%)의 학생이 조기 진로성숙의 특성을 보였다. 언어창작영재들의 성공적인 진로선택을 위해 우수적성에 어울리는 직업의 안내와 진로성향에 맞는 적성을 강화시키는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부산지역 일부 고등학교 학생들의 비만도와 흡연에 따른 구강보건관리에 대한 조사 (Investigation of oral health according to obesity and smoking in high-school in Busan)

  • 김민영;정의정
    • 한국치위생학회지
    • /
    • 제7권3호
    • /
    • pp.273-284
    • /
    • 2007
  • Oral health in youth is very important because this period influences life for adult remarkably. Therefore, more effective oral health education and recognition of early treatment for oral disease are required sincerely. For more effectual education for high-school students,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ir circumstance like obesity and smoking. This study will analyze the correlation oral health behavior with obesity and subjective oral health concerns. In addition to, the actual condition of smoking for high-school girls and oral health condition will be verified. A survey was progressed for high-school girls in Busan city and BMI(body mass index) was used for classification of weight.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analyzed using SPSS 13.3 for Windows. Results of this study is following. 1. The frequence of daily toothbrushing was significantly different with obesity although difference of oral health knowledge was not significant. The frequency of toothbrushing of overweight students were lesser than the others. This results may be caused by low-level for oral health concerns and by passive life style of fat person. This habit has possibility of causing serious periodontal disease like periodontitis and tooth caries. 2. The correlation of obesity and time of brush change, using for supplement, and recent dental institution was insignificant. However, concerns of oral health were show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obesity. Under-weight and standard-weight students were more concerned about oral health than over-weight. This results can be related to frequence of toothbrushing for fat subject. This relevance of two factors was confirmed b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3. Approximately 70% students have smoking experience responded to uncomfortableness of periodontal conditions. On the other hand, non-smoking students felt uncomfortable in 50%. This results indicated that smoking have an effect on oral health condition. Further study which identify periodontal conditions practically has to go on for verification of direct correlation smoking and oral health.

  • PDF

기혼여성의 취업여부에 따른 시간압박감과 관련요인의 차이 : 아내의 시간, 남편의 시간, 그리고 가사노동 사회화의 효과 (Differential in Married Women's Perceived Time Pressure by Employment : Testing the Effects of Couple Time Use and Housework Outsourcing)

  • 차승은
    • 가정과삶의질연구
    • /
    • 제33권5호
    • /
    • pp.37-53
    • /
    • 2015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perceived time pressure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married women in Korea. The sample of married couple from the Korean Time Use Survey 2009 (n = 6,948 couple diaries) was used to examined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perceived time pressure over the life cycle of two group. This study also investigated the married women's time use, husband's time use as well as hour of domestic outsourcing and whether such factors are associated with lowering perceived time pressure of married women. Results showed employed wives felt almost 3 times more time pressed than non-employed wives, and the gap mostly remained over different life cycles. Total work hours were associated with increasing the time pressure of both groups of women, while regenerating time was associated with ameliorating time pressure. The result suggests that the time pressure gap between employed and non-employed wives can be partly due to the relative length of total labor hours and regenerating time among the two groups. Ordered logit analysis revealed that husband's paid work hours were not associated with wive's feeling rushed, but husband' unpaid work hours were positively linked with time pressure of their wives. Results indicated if employed or non-employed wives are feeling very busy, there is a high chance that husband might give them some help. We found employed wives spend more hours on housework outsourcing, and purchasing goods for housework was not associated with lowering the feeling of pressure of employed wives. There were both similarity and difference in factors associated with women's feeling pressed among employed and non-employed wives. It implies that social process and it's strategies to alleviate the time pressure can be different by women's employment status.

융·복합 창업교육 교과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Convergence Entrepreneurship Curriculum Development)

  • 김흥수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3권5호
    • /
    • pp.79-88
    • /
    • 2015
  • 창조경제는 아이디어가 대중화되고 사업화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아이디어의 사업화는 창조경제를 발전시키는 선순환 도구이며 이를 위한 기업가정신과 창업은 창조경제의 핵심동인으로 작용한다. 창조경제에서는 경제주체들의 창의성이나 지적재산권 등이 소득과 고용창출을 이끄는 비즈니스가 발전하고, 융 복합 사고와 창의적 기획력으로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기회가 많이 제공된다. 융 복합 사고와 창의적 기획력은 항상 20대의 젊은 청년들로부터 많이 나왔다. 그렇기에 젊은 시절의 기업가정신과 창업교육, 그리고 쉽게 창업할 수 있는 풍토는 좀 더 많은 우수한 인재들을 창업의 길로 이끌고 바로 그들에 의해 새롭게 만들어진 제품과 서비스는 국가 경제를 한층 젊고 활기차게 만든다. 이와 같은 다양한 시스템 구축과 함께 창조경제 생태계를 완성시키는 교육과정 개발 역시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그 중 창조경제시대에 융 복합 사고와 창의적 기획력을 증진시키는 체계적인 창업교육 교육과정의 개발은 최우선 순위인 것이다. 융 복합 창업프로그램의 초기 단계임을 고려해 본 연구는 기초통계연구를 통해 프로세스 중심의 융 복합 창업교육을 위한 교과과정을 제시한다.

전문 음악교육을 위한 실용음악 정교사 자격증의 필요성에 대한 고찰 (For professional music education A Study on the Need for Practical Music Teacher Certification)

  • 조지훈;조태선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180-187
    • /
    • 2021
  • TV 오디션 프로그램과 K-POP 열풍에 가장 큰 영향을 받는 많은 청소년들은 자신들의 진로를 음악으로 정하기 시작하였다. 그들은 학원이나 개인레슨을 통해 음악수업을 받았고, 이후 대학의 실용음악과에 진학하게 된다. 지원생들이 많아지면서 대학교 실용음악과의 경쟁률이 기형적으로 높아지는 현상도 발생하였다. 그에 따라 많은 학생들은 어린 나이부터 음악을 시작하였고, 학원 등 사교육 기관을 통해 음악을 배우게 되었다. 이후 실용음악 관련 고등학교가 생기기 시작하면서 고등학교를 실용음악 전문학교에 입학하는 학생들이 늘어나게 되었다. 하지만 실용음악 고등학교에도 큰 문제가 있었다. 바로 해당 음악을 전공한 전문교사를 찾기 힘들다는 점이었다. 이는 실용음악 전공자가 정교사 자격증을 취득하기가 매우 어려운 구조에서 비롯되었다. 교원 자격증을 취득 할 수 있는 방법은 여러 가지 방법이 있지만, 실용음악 전공자가 선택 가능한 방법은 교육대학원을 졸업하는 방법뿐이다. 그런데 교육대학원은 클래식과 국악에 한정되어 있어 입학 자체도 어려운 상황이다. 입학을 하여도 교육대학원 교과목의 대부분이 클래식과 국악교육에 관련된 수업으로 구성되어 실용음악전공자들에겐 매우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실용음악 고등학교의 현재 상황과 정교사 2급 자격증이 왜 필요한지,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연구하였다.

초, 중, 고등학교 학생의 놀이·여가 실태에 대한 연구 -연령별, 지역별, 성별 차이를 중심으로- (Play and leisure status of children in Korea)

  • 황옥경;한유미;김정화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5호
    • /
    • pp.296-302
    • /
    • 2018
  • 본 연구는 우리나라 아동의 놀이 여가 실태를 파악하고자 서울 4개 지역과 경기 농촌 1개 지역의 초, 중, 고등학교 학급의 아동 총 564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아동의 놀이 여가 대상, 놀이 여가 시간, 놀이 여가 장소, 놀이 여가 비용 등의 일반적 경향을 파악하고, 놀이 여가의 연령별, 지역별, 성별 차이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놀이 여가 활성화를 위한 방안을 논의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요약,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여가의 대상은 가족보다는 친구의 비중이 높았고 연령이 증가할수록 부모 중 아버지의 비중이 감소하였다. 둘째, 아동의 놀이 여가시간은 미디어를 하면서 보내는 시간이 가장 많았다. 셋째, 아동이 이용하는 놀이 여가 장소도 매우 다양하고 과거와 달리 카페나 노래방 등 성인용 혹은 상업적인 장소가 상당수 있었으므로 놀이 여가의 비형식적이고 비상업적인 본질에 대한 재고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놀이 여가에 비용이 들어가고 있으며 흥미롭게도 놀이 여가 비용이 아동의 연령이나 성에 다라서는 차이가 없는 반면 지역별로 차이가 있었다.

한국인 영아초기 수유시 모아상호작용 행동형태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A Phenomenological Study on Mother-Infant Interacting Behavior Patterns Related to Newborn Infant Feeding in Korea)

  • 한경자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89-116
    • /
    • 1991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scribe mother -infant interacting behavior patterns related to newborn infant feeding and to explore the mother's cultural belief about their infant.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by observation and interview. Twenty-five mothers and their newborn infants who were normally delivered and were also planned to breast feed were comprised a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ll subjects were interviewed and observed individuaily at 1 to 5 days after the delivery at the hospital, mid -wife's clinic, Maternal Child Health Center and their home throughout the country from remote area to big city, The observation data were recorded with symbolic letter on a recording sheet newly developed as a result of preliminary study. The interview data were taperecorded and then recorded in narrative form. Mother - infant interaction behaviors in early feeding period were analyzed based on 19 analytic sub-categories and their composing elements. Unit of analysis were mother, infant and mother -infant dyad. 8 analytic categories draw from the data. Each were preparation, instrument, interaction inducing, evaluation referred to mother's behavior, preparation, instrument, interaction inducing referred to infant's behavior and synchronic behaviors referred to mother - infant dyad. Frequencies of behavior items based on the categories were converted to percent. The result showed that in mother's preparation behavior, the breast condition of Korean mother can be an affecting factor for mother - infant interaction during feeding, and vocalization behavior was observed most frequently in interaction inducing behavior while the least frequent behavior observed was contacting. Subcultural characteristics of mother - infant interaction behaviors were analyzed for their relationships between groups of mothers who have lived in remote area vs urban area, and who were multipara vs primipara. Using a chi -square test,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s in the activity of psychological readiness in preparation behavior and the movement of extremities for the position of instrumental behavior in both groups. However, interaction inducing behaviors were not related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in any set of groups. Accomplishment of marriage, bonding and emotional mediation of family members were the categories related to mother's cultural belief about the infant in aspect of functional values. Infant at birth is considered little more than a biological organism without social capabilities. Although the newborn infant is still be attached to his mother, he makes his mother extend her territoriality. The mother's interacting behavior toward her infant based on those beliefs appeared task oriented, separative behavioral series. On the other hand, it was seen that infant reacted independently to his mother's behavior by the in-nate perceptual abilities. Those independent behavioral series of mother and infant on the feeding situation were synchronized at any moment. Nurses are In a unique position to teach mothers about their infant's capabilities and help reducing some of uncertainty about infant's behaviors. Study results indicated that the informations infant's social capabilities and breast feeding should be given to the moth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have several implications for nursing. First, the study results will be used as fundamental resources for the development of the assessment tool about the early mother - infant interaction. Second, the results could be a relevant information in the fied. I of maternal child nursing education as real and useful data. Third, the behavioral patterns of early mother - infant interaction which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qualitative analysis could be used for nursing theory development as very fundamental data.

  • PDF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 발달과 환경요인 변화와의 상관 관계 (Relationships Between the Development of Cyanobacterial Bloom and the Changes of Environmental Factors in Lake Daechung)

  • 이정준;박종근;이정호
    • 생태와환경
    • /
    • 제36권3호통권104호
    • /
    • pp.269-276
    • /
    • 2003
  •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를 초기와 중기, 후기로 구분하여 각 단계별로 수화 발달에 대한 주요 제한 인자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고, 주요 영양염의 중회귀모형을 개발하였다. 조사지점은 댐으로부터 약 13km상류에 위치하고 본류 중 수화가 가장 심한 회남대교 지점을 대상으로 하였으며,시료의 채집은 수화발생 기간인 2001견 6월에서 10월까지 매주 1회 실시하였다. 수화 발달의 초기 동안 chl-a 농도와의 T-P와 $PO_4$-P의 상관계수 r값이 각각 0.986과 0.894로 매우 높은 양의 상관도를 나타내어 인이 수화발달에 가장 중요한 환경요인으로 확인되었으며, Zeu/Zm의 비와 chl-a와의 상관도도 r=-0.995의 매우 높은 음의 상관도를 보였다. 수화의 절정기에 해당하는 중기에는 chl-a와 $PO_4$-P가 r = 0.958로 가장 높은 상관도를 가졌으며, T-P와 수온도 각각 r = 0.857과 r = 0.813으로 높은 상관도를 보였다. 후기에는 $NH_3$-N만이 높은 상관도를 가지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회귀모형 개발을 위한 회귀분석 결과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 발생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영양염은 $PO_4$-P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청호의 남조류 수화는 Zeu/Zm의 비가감소하고 인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급속히 발달되며, $NH_3$-N 농도의 감소와 비례하여 소멸 과정이 진행되는 양상을 보였다. 수화 소멸기에 $NH_3$-N 농도의 면밀한 관찰은 수화 소멸의 모니터링과 예측에 있어 매우 유용한 인자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노년기 조기퇴직과 경력마감 형태 : 남성노인을 중심으로 (Old Age Early Retirement and Careering Ending Patterns : Centering around the US Older Men)

  • 이현기
    • 한국사회복지학
    • /
    • 제52권
    • /
    • pp.33-61
    • /
    • 2003
  • 본 연구는 서구사회에서 대량으로 발생하는 중고령자의 조기퇴직과 그에 따른 경력의 마감형태에 대하여 개인수준의 자료를 갖고 노동시장 및 사회보장정책적인 시각에서 분석하였다. 오늘날 많은 중고령근로자들이 조기퇴직을 하고 있지만 그 이후에 어떤 형태로 경력을 종료하는지에 대한 연구는 이제 시작단계에 불과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55세 이후 직업에서 이탈한 후 61세까지의 개인의 노동시장 경험을 분석하여 노년기의 경력마감형태를 발견 구성해 보고 어떤 요인들이 복잡한 경력종료형태에 영향을 미치는지 미시적 모형과 거시적 모형을 설정, 그 영향력을 추정하였다. 본 연구의 개념적 틀은 대규모의 조기퇴직 현상은 종래의 사회심리적 결정모델과 미시경제적인 설명방법보다는 사회의 구조적 과정으로서 노동시장의 주체(기업, 경영자협회, 노조, 국가)등의 역할을 강조하는 고령화의 정치경제적 접근(political economy of aging)에 바탕을 둔 노동시장접근방법을 차용하였다. 본 목적을 위해 전미고령자종단연구 1966-1991(최종분석대상 n=2,784) 자료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보면 55세 현직에서 계속 근무하는 형태(27.3%), 55세 직업을 그만두고 전직하여 다른 직업에서 근무하는 형태(46.1%), 노동시장전출입을 반복한 형태(4.4%), 간헐적으로 경제활동에 종사하는 형태(15.9%), 영구 퇴직하여 노동시장에 복귀하지 않는 형태(6.3%)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났다. 설명모델을 추정한 결과 건강의 정도, 코호트 소속, 민족적 배경, 가치관 변수보다는 기업연금, 공적연금, 노동시장상태, 직업의 구조변수들이 고령자의 경력마감행동에 더 강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것은 노동시장접근관점이 조기퇴직을 설명하는데 더 강한 설명력이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 PDF

국가 특성이 창업활동에 미치는 영향 실증 분석 (Seeking for the Determinants of Entrepreneurship from National Level Data)

  • 김형준;민태기;왕정복;디아나쉴러;오근엽
    • 벤처창업연구
    • /
    • 제15권6호
    • /
    • pp.55-65
    • /
    • 2020
  • 본 연구는 국가 경제 성장과 관련된 창업 (start-up) 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국가 수준에서의 실증 연구이다. 창업 활동의 기반인 기업가정신에 대한 개인 수준에서 분석과 달리 GEM (Global Entrepreneur Monitor)에서 발행한 연간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한 실증 분석을 수행하였다. 나라별 초기창업활동 (TEA: total early-stage entrepreneurial activity) 지수를 이용하여 TEA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요인을 경제 요인과 비경제적 요인을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선행 연구를 기반으로 국민소득 수준, 실업률을 포함하여 국가의 문화적 특성 변수 등 9개 요인을 국가 창업 활동의 영향 요인으로 제시하였으며 경제발전 수준에 따라 요소주도형, 효율주도형, 혁신주도형으로 국가를 구분한 패널데이터를 회귀 분석 모형을 통하여 실증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 기존연구들에서 설명하고 있는 국민소득 수준과 창업 활동 사이의 U자 형태'를 명시적인 2차 함수 회귀분석을 통하여 추정하였으며 그에 따라 창업활동의 변곡점이 되는 소득수준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서 요소주도형 및 효율성주도형 경제에서는 생계형 창업활동이 활발한 반면 혁신주도형 경제에서는 기회추구형 창업활동이 활발하다는 기존의 주장들을 설명할 수 있음을 보였다. 특히, 창업활동 활성화를 위한 정부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실증분석해 본 결과, 요소주도형 및 효율성주도형 경제에서는 유의한 긍정적 효과를 미치고 있으나 혁신형 경제에서는 그 효과가 오히려 부정적이라는 결과를 발견하였다. 이는 창업지원 정책이 경제발전단계에 따라 달라져야 함을 보여주는 결과로서 많은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한다. 마지막으로 창업관련 교육의 정도와 새로운 비즈니스를 지원하는 사회문화적인 규범으로서의 창업 문화는 국가의 경제 수준과 상관없이 모두 창업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는 어느 단계의 경제이든 창업 문화 조성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함축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