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Multiple Intelligence Aptitude, Career Tendency & Career Maturity of Verbal Writing Gifted Student

초등학교 언어창작영재의 적성과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 연구

  • Received : 2011.02.08
  • Accepted : 2011.03.22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his study have an intention of identifying multiple intelligence aptitude, career tendency and career maturity of verbal writing gifted students. 60 verbal writing gifted students who have achieved success in the writing contest were collected for this study. The data was selected through survey MI instruments from the studen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 First, verbal writing gifted students' MI profiles were revealed that linguistic intelligence, musical intelligence were strong, and logicalmathematical intelligence was weak. Second, many verbal writing gifted students showed strong musical career aptitude and strong linguistic career aptitude but few writing gifted students showed strong logical-mathematical aptitude. It was revealed that logical-mathematical interest had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ogical-mathematical achievement in the p-value<.01. Third, there were many linguistic career tendency students & interpersonal career tendency students. But there was no naturalist career tendency student. Musical career tendency, naturalist career tendency showed big differences between strong career aptitude and career tendency. Fourth, career maturity of verbal writing gifted student was very high. The finding can be explained that most of them have characteristics of early career maturity. Parents, teachers, specialists have to provide career information matching strong aptitude and aptitude improving education matching career tendency to the verbal writing gifted students to choose their career successfully.

본 연구는 교육청 글쓰기 대회에서 수상하여 언어영재캠프에 참여한 초등학교 4, 5학년 학생들(60명)을 대상으로 언어창작영재들의 적성과 진로성향 및 진로성숙도를 알아보았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중지능 프로파일은 언어적성, 음악적성이 강점지능으로, 논리 수학적성이 약점지능으로 나타났다. 둘째, 우수적성은 음악적성과 언어적성으로 나타난 학생의 수가 많았고, 논리 수학적성이 가장 적었다. 논리 수학흥미와 논리 수학성취가 유의수준 p<.01.에서 상관이 있었다. 셋째, 진로성향은 언어성향과 인간친화성향의 학생이 가장 많았고, 음악적성, 자연친화적성, 인간친화적성은 우수적성과 진로성향에 있어 큰 차이를 보였다. 넷째, 과반수 이상(41명, 68%)의 학생이 조기 진로성숙의 특성을 보였다. 언어창작영재들의 성공적인 진로선택을 위해 우수적성에 어울리는 직업의 안내와 진로성향에 맞는 적성을 강화시키는 교육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병직 (2010). 미술영재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4(2), 1-44.
  2. 강승희, 조석희 (2004). 언어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탐색. 영재교육연구, 14(1), 91-144.
  3. 강승희 (2006). 언어 영재성 결정요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및 발달요인 탐색. 아동교육, 15(4), 21-36.
  4. 권성근 (2007). 5, 6학년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특성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5. 김나래, 김진경 (2009). 유아의 국악능력과 다중지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0(2), 195-209.
  6. 김명선 (2009). 과학영재의 강점지능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능력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7. 김수진 (2004).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진학경로와 진로결정.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8. 김종운, 김지현 (2008). 아동의 자아개념 및 학습동기와 진로성숙과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1(2), 127-143.
  9. 김주현, 문용린 (2005).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청소년기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9(2), 393-412.
  10. 김충기 (1983). 진로정보자료센터의 기능과 역할. 직업교육연구, 2, 23-37.
  11. 김현옥 (1989).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간의 상관관계.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12. 김현정, 유준희 (2006).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 영향을 주는 과학 영재 캠프의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68-278.
  13. 김현진 (1999). 다중지능 측정도구(K-MIDAS)의 타당화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4. 남미숙 (1998). 초등학생의 진로 자아 효능감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연구. 진로교육연구, 9, 199-222.
  15. 류상아 (2003). 중학생들의 진로유형 및 진로성숙 수준과 다중지능과의 상관관계.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16. 류성림 (2010). 초등 수학영재와 학부모의 다중지능에 관한 비교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24(3), 807-830.
  17. 류숙희 (1996). 지각된 다중지능의 집단차와 IQ 및 성적과의 관계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18. 류지영 (2004). 다중지능이론의 영재교육에의 적용. 교육과정연구, 22(1), 147-169.
  19. 문용린, 김주현 (2004).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교육 가능성 탐색. 진로교육연구, 17(1), 1-19.
  20. 문용린, 유경재 (2009). 한국형 다중지능 진단도구의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3(3), 645-663.
  21. 박소영 (2008). 문학 창작 영재의 판별과 선발 과정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22. 박수자, 최인자, 김정섭, 강승희 (2004). 언어 영재를 위한 창의적 작문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21, 256-297.
  23. 박인기 (2009). 언어.문학 영재교육의 정책 방향 모색. 한국초등국어교육, 39, 187-229.
  24. 서혜애, 손정우 (2007). 과학고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과학교사 및 학생의 인식. 교육과정연구, 25(2), 197-219.
  25. 심재영, 박은영 (2003). 과학 영재의 진로의식 변화 연구(1996년-2003년). 영재교육연구, 13(2), 95-112.
  26. 양옥승, 신화식, 이경옥 (2004). 교사가 평가한 유아 다중지능 평가도구(MIDAS-MYC)의 구조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5(4), 115-128.
  27. 양태현, 한기순 (2010).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0(3), 921-946.
  28. 유형근 (2010). 초등 영재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20), 241-266.
  29. 윤경미, 유순화 (2008). 과학영재, 인문사회영재, 일반 중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청소년학연구. 15(5), 287-313.
  30. 윤진, 박승재 (2003). 과학 관련 진로 선택 과정의 구조 방정식 모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17-530.
  31. 이미경 (2005). 언어 영재 교육 심화프로그램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2. 이석주 (2009). 정보영재와 수학영재의 특성 및 통합운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33. 이순영 (1999). 언어 영재의 개념과 언어 영재 교육프로그램 구성에 관한 문헌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34. 이승국 (2000). 중등학생의 진로성숙수준과 개인의 내․외적 변인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5. 이의란 (2004). 언어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36. 이현림, 김순미 (2004).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과의 관계분석. 청소년학연구, 11(2), 83-99.
  37. 장창영 (2009). 언어-문학영재와 시적 언어능력. 한국언어문학, 68, 309-338.
  38. 조현철 (2009). 정보영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과학영재의 다중지능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9. 최지현, 이충우, 이정숙 (2006). 언어영재성 판별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1). 국어교육, 121, 163-194.
  40. 한국교육개발원 (1992). 진로성숙도검사 표준화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1. 한석실, 윤초희, 강승희, 조석희 (2004). 언어창작영재의 심리적 특성 및 발달에 관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42. DeHann, R. F., & Kough, J. (1956). Identify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Chicago: Science Research Associates.
  43.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44. Gardner, H. (2007).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문용린, 유경재, 역]. 다중지능. 서울: 웅진씽크빅(원본출간년도; 2006).
  45. Kerr, B. A. (1991). A handbook for counseling and gifted and talented. Alaxandria, VA: American Association for counseling and development.
  46. Kerr, B. A. (1995). Smart girls too: A new psychology of girls, women and giftedness. Scottsdle, AZ: Gifted Psychology Press.
  47. Kerr, B. A. & Sodano. S. (2003). Career assessment with intellectually gifted stud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1(2), 168-186. https://doi.org/10.1177/1069072703011002004
  48. Kolb, G. R. (1996). Read with a beat. The Reading Teacher, 50(1), 76-77.
  49. Hollinger, C. L. (1991). Facilitat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gifted young women. Roeper Review, 13(3), 135-139. https://doi.org/10.1080/02783199109553338
  50. Lamb, S., & Gregory, A.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reading in beginning readers. Education Psychology, 13(1), 19-27. https://doi.org/10.1080/0144341930130103
  51. Lloyd, M. J. (1978). Teach music to aid beginning readers. The Reading Teacher, 32, 323-327.
  52. Michael, L. S. (1958). Secondary-school programs. In N. B. Henry (Ed.), Education for the gifted. 57th yearbook. Part II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53. Renzulli, J. S., & Reis, S. M. (2000).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how-to guide for educational excellence.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54. Schuler, P. (2002). Perfectionism in gift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M. Neihart, & M. Reis, N. M. Robinson, & S. M. Moon (Eds.),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pp. 71-79). Waco, TX: Prufrock Press, Inc.
  55. Schwartz, L. L. (1991). Guiding gifted girls. In R. Milgram (Ed.), Counseling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A guide for teachers, counselors, and parents, (pp. 143-160). Norwood, NJ: Ablex.
  56. Shearer, C. B. (1997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ple intelligences assesment scale for children. presented at the 105th APA meeting. ED. 415476.
  57. Super, D. E. (1955). The dimensions and measurements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57, 151-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