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erences
- 강병직 (2010). 미술영재의 다중지능 특성에 관한 연구. 미술교육논총, 24(2), 1-44.
- 강승희, 조석희 (2004). 언어 영재교육의 필요성과 방향 탐색. 영재교육연구, 14(1), 91-144.
- 강승희 (2006). 언어 영재성 결정요인의 구조적 관계 분석 및 발달요인 탐색. 아동교육, 15(4), 21-36.
- 권성근 (2007). 5, 6학년 수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특성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김나래, 김진경 (2009). 유아의 국악능력과 다중지능간의 관계. 아동학회지, 30(2), 195-209.
- 김명선 (2009). 과학영재의 강점지능에 따른 자기조절학습 능력 연구. 석사학위논문. 충남대학교.
- 김수진 (2004). 과학고등학교 학생들의 진학경로와 진로결정. 석사학위논문. 경북대학교.
- 김종운, 김지현 (2008). 아동의 자아개념 및 학습동기와 진로성숙과의 관계. 진로교육연구, 21(2), 127-143.
- 김주현, 문용린 (2005).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청소년기 진로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교육심리연구. 19(2), 393-412.
- 김충기 (1983). 진로정보자료센터의 기능과 역할. 직업교육연구, 2, 23-37.
- 김현옥 (1989). 청소년의 진로성숙과 관련변인간의 상관관계. 박사학위논문. 건국대학교.
- 김현정, 유준희 (2006). 과학 영재 학생들의 진로 선택 과정에 영향을 주는 과학 영재 캠프의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2), 268-278.
- 김현진 (1999). 다중지능 측정도구(K-MIDAS)의 타당화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남미숙 (1998). 초등학생의 진로 자아 효능감과 관련 변인과의 관계 연구. 진로교육연구, 9, 199-222.
- 류상아 (2003). 중학생들의 진로유형 및 진로성숙 수준과 다중지능과의 상관관계.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 류성림 (2010). 초등 수학영재와 학부모의 다중지능에 관한 비교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24(3), 807-830.
- 류숙희 (1996). 지각된 다중지능의 집단차와 IQ 및 성적과의 관계 분석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
- 류지영 (2004). 다중지능이론의 영재교육에의 적용. 교육과정연구, 22(1), 147-169.
- 문용린, 김주현 (2004). 다중지능이론에 기초한 진로교육 가능성 탐색. 진로교육연구, 17(1), 1-19.
- 문용린, 유경재 (2009). 한국형 다중지능 진단도구의 타당화. 교육심리연구, 23(3), 645-663.
- 박소영 (2008). 문학 창작 영재의 판별과 선발 과정 연구. 석사학위논문. 부산대학교.
- 박수자, 최인자, 김정섭, 강승희 (2004). 언어 영재를 위한 창의적 작문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국어교육학연구, 21, 256-297.
- 박인기 (2009). 언어.문학 영재교육의 정책 방향 모색. 한국초등국어교육, 39, 187-229.
- 서혜애, 손정우 (2007). 과학고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과학교사 및 학생의 인식. 교육과정연구, 25(2), 197-219.
- 심재영, 박은영 (2003). 과학 영재의 진로의식 변화 연구(1996년-2003년). 영재교육연구, 13(2), 95-112.
- 양옥승, 신화식, 이경옥 (2004). 교사가 평가한 유아 다중지능 평가도구(MIDAS-MYC)의 구조에 관한 연구. 아동학회지, 25(4), 115-128.
- 양태현, 한기순 (2010). 대학생 과학영재의 진로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간의 관계. 영재교육연구, 20(3), 921-946.
- 유형근 (2010). 초등 영재의 진로성숙도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0(20), 241-266.
- 윤경미, 유순화 (2008). 과학영재, 인문사회영재, 일반 중학생의 다중지능 특성 비교. 청소년학연구. 15(5), 287-313.
- 윤진, 박승재 (2003). 과학 관련 진로 선택 과정의 구조 방정식 모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5), 517-530.
- 이미경 (2005). 언어 영재 교육 심화프로그램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이석주 (2009). 정보영재와 수학영재의 특성 및 통합운영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공주대학교.
- 이순영 (1999). 언어 영재의 개념과 언어 영재 교육프로그램 구성에 관한 문헌연구. 석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 이승국 (2000). 중등학생의 진로성숙수준과 개인의 내․외적 변인과의 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이의란 (2004). 언어 영재 판별 도구 개발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교육대학교.
- 이현림, 김순미 (2004). 초등학생의 진로의식성숙과 다중지능과의 관계분석. 청소년학연구, 11(2), 83-99.
- 장창영 (2009). 언어-문학영재와 시적 언어능력. 한국언어문학, 68, 309-338.
- 조현철 (2009). 정보영재의 정체성 확립을 위한 과학영재의 다중지능 비교 분석.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 최지현, 이충우, 이정숙 (2006). 언어영재성 판별을 위한 평가도구 개발(1). 국어교육, 121, 163-194.
- 한국교육개발원 (1992). 진로성숙도검사 표준화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한석실, 윤초희, 강승희, 조석희 (2004). 언어창작영재의 심리적 특성 및 발달에 관한 기초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 DeHann, R. F., & Kough, J. (1956). Identifying students with special needs. Chicago: Science Research Associates.
-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 Gardner, H. (2007).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문용린, 유경재, 역]. 다중지능. 서울: 웅진씽크빅(원본출간년도; 2006).
- Kerr, B. A. (1991). A handbook for counseling and gifted and talented. Alaxandria, VA: American Association for counseling and development.
- Kerr, B. A. (1995). Smart girls too: A new psychology of girls, women and giftedness. Scottsdle, AZ: Gifted Psychology Press.
- Kerr, B. A. & Sodano. S. (2003). Career assessment with intellectually gifted students. Journal of Career Assessment, 11(2), 168-186. https://doi.org/10.1177/1069072703011002004
- Kolb, G. R. (1996). Read with a beat. The Reading Teacher, 50(1), 76-77.
- Hollinger, C. L. (1991). Facilitating the career development of gifted young women. Roeper Review, 13(3), 135-139. https://doi.org/10.1080/02783199109553338
- Lamb, S., & Gregory, A. (1993). The relationship between music and reading in beginning readers. Education Psychology, 13(1), 19-27. https://doi.org/10.1080/0144341930130103
- Lloyd, M. J. (1978). Teach music to aid beginning readers. The Reading Teacher, 32, 323-327.
- Michael, L. S. (1958). Secondary-school programs. In N. B. Henry (Ed.), Education for the gifted. 57th yearbook. Part II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 Renzulli, J. S., & Reis, S. M. (2000). The schoolwide enrichment model: A how-to guide for educational excellence. Mansfield Center, CT: Creative Learning Press.
- Schuler, P. (2002). Perfectionism in gifted children and adolescents. In M. Neihart, & M. Reis, N. M. Robinson, & S. M. Moon (Eds.), The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 of gifted children, (pp. 71-79). Waco, TX: Prufrock Press, Inc.
- Schwartz, L. L. (1991). Guiding gifted girls. In R. Milgram (Ed.), Counseling gifted and talented children: A guide for teachers, counselors, and parents, (pp. 143-160). Norwood, NJ: Ablex.
- Shearer, C. B. (1997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ultiple intelligences assesment scale for children. presented at the 105th APA meeting. ED. 415476.
- Super, D. E. (1955). The dimensions and measurements of vocational maturity. Teachers College Record, 57, 151-1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