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rtical flow wetland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27초

포장도로 강우유출수 처리목적의 수직흐름형 우드칩 충진 습지에서 입자상 물질분석 (Analysis of the particulate matters in the vertical-flow woodchip wetland treating stormwater from paved road)

  • 원경과;김영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2호
    • /
    • pp.145-15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포장도로에서 발생되는 강우유출수 처리를 위하여 파일럿 규모의 우드칩 충진 수직흐름형 습지를 이용하여 처리시험을 수행하였다. 각 습지는 전처리 목적의 침강지와 우드칩이 전체용적의 25%, 50%, 75%가 충진된 습지로 구성되어 있다. 입도분석 결과 강우유출수에 함유된 입자의 크기는 0.52-30um 크기가 주종을 이루고 있으며 24시간 침강 후에 20um 이상의 입자는 대부분 제거되었다. 또한 20um 보다 작은 크기의 입자는 건기시 수행되는 내부순환에 의해 여과 및 부착 등의 기작에 의해 상당부분 제거되었으나 전체적인 입자의 양은 우드칩의 연화과정에서 탈리되는 입자들에 의해 증가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우드칩으로 부터 입자탈리는 초기 75일 동안에 걸쳐 발생하였으며 발생된 우드칩 입자의 농도(밀도)는 충진율이 증가할수록 증가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우드칩 탈리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1차 반응속도 모델을 제안하였으며 우드칩 탈리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수질인자 및 운전조건과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수질인자 중에는 수온, 용존산소, pH 등이 주요 영향인자로 파악되었으며 운전조건으로는 습지내부 운전수위 및 선행건기일수도 탈리속도를 결정하는 주요 변수로 분석되었다.

친환경형 식물 정화조 시스템 개발 (The Development of An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ed Wetland System)

  • 이은희;이인숙;정동선
    •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61-68
    • /
    • 2004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tructed wetland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environment. This system was constructed with two constructed wetlands andone pond. The size of the first and second wetland was 2.5m in length, 2.5m in width and 0.7m in depth for the first wetland and 0.6m in depth for the second wetland. Those were filled with pebbles with about 16~32mm in diameter from bottom to 20cm depth and onto the pebbles with about 0.5 mm in diameter sand in depth 40cm. The first constructed Wetland was planted with pragmites communis. The second was planted with Iris pseudoacorus and Acorus calamus var. aneustatus.A vertical flow system was used in the first constructed wetland and a horizontal flow system in the second. The water of outflow from the second wetland flowed into the pond. This system was installed in Yangpyeong, Kyunggi Province. The Quality of inflow and outflow were analyzed at the first time from May 20 to May 30, 2002 and at second time from June 10 to July 18, 2002. At the second period wetland was implanted with microbes in order to improve the efficiency of constructed wetlands. Following standard methods for wastewater, BOD, COD, SS, T-N and T-P were analyzed. This system was effective in reducing COD, BOD, SS, T-N and T-P level. The result shows that wastewater was purified through constructed wetland system with plants and highly purified with microbes especially in T-P. The Average total phosphorous concentration of influent and effluent in constructed wetland with microbes was 2.8mg/${\ell}$ L and 0.21mg/${\ell}$ respectively. This system can be used in rural community because this is not only effective on purification of sewage but also is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nature.

Preparation, Characterization of activated carbon fiber (ACF) from loofah and its application in composite 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s for Tetracycline removal from water

  • Ahmed, Sanjrani Manzoor;Zhou, Boxun;Wang, Yue;Yang, Hang;Zheng, You P.;ShiBin, Xia
    • Membrane and Water Treatment
    • /
    • 제11권4호
    • /
    • pp.313-321
    • /
    • 2020
  • ACF preparation from different materials and its application in constructed wetlands for wastewater treatment has been focused in environmental field. Different materials have been used to prepare ACF around the world. This study aims to prepare, characterize and use of ACF from loofah for removal of Tetracycline from water through composite 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s. ACF was prepared and it was tested for characterization, later it was used for removal of Tetracycline from water through composite 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s. In composite 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s, three HRTs were set according to the experiment, 1D, 2D, and 3D is individually. Samples were transported immediately from collection point to laboratory for analyzing. Samples were measured for Tetracycline (TC), Total Phosphorus (TP), and Total nitrogen and COD. Tetracycline absorbance with respective 356nm was obtained good and HRT is important factor. Results show that composite 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s with ACF from luffa is best option and it is recommended to study further deep analysis.

간헐식 흐름방식을 활용한 수직·수평 습지의 정화효율 평가 (Evaluation of the Reducing Efficiency of Vertical and Horizontal Wetland Using Intermittent Flow System)

  • 주광진;이동민;김기중;조용철;장광현;최이송;오종민
    • Ecology and Resilient Infrastructure
    • /
    • 제4권3호
    • /
    • pp.142-148
    • /
    • 2017
  • 본 연구에서는 부영양화의 원인이 되는 질소와 인의 제거 효율을 향상시킬 목적으로 광물질을 활용한 여재를 이용하여 호기, 혐기의 흐름조건을 만들어주기 위한 수직 수평 흐름 인공습지를 고안하여 아크릴 반응조로 제작한 후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수직 수평 흐름형 인공습지의 경우 호기 및 혐기조건을 평가하기 위해서 반응조 내 용존산소(DO) 농도를 측정해본 결과 호기상태에서는 2.7 mg/L, 혐기상태에서는 N.D로 확인되어 목적에 부합된 결과가 확인되었다. 실험결과에서는 SS 저감효과가 140 min, 80 min, 60 min의 운전시간에서 각각 94%, 91%, 61%의 효율을 보였고, T-P의 경우 각각의 운전시간에 따라 84%, 71%, 63%의 저감효율을 보였다. 또한 T-N의 경우 각각의 운전시간에 따라 63%, 49%, 42%의 저감효율을 보여 기존의 습지가 12~24 hr 체류시간을 가지는 것에 비하여 짧은 운전시간에도 높은 처리효율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수직 수평 흐름 방식을 복합 적용하여 기존 인공습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기술개발을 진행한 것으로 어떠한 기능적 효과를 갖는지 확인하였고, 향후 이에 대한 현장적용을 위한 운영 및 관리적 차원의 메커니즘 연구가 추가로 진행 될 필요가 있다.

도시 초기 강우유출수 처리를 위한 수직흐름습지에서 여재별 폐색 잠재성 분석 (Clogging Potential in Constructed Vertical Flow Wetlands Employing Different Filter Materials for First-flush Urban Stormwater Runoff Treatment)

  • 진요평;게라 하이디;김영철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20권3호
    • /
    • pp.235-242
    • /
    • 2018
  • 운전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공극폐색 문제로 인하여 수직 흐름형 습지의 기능은 저하되는데 이와 같은 문제는 폰딩(ponding)이나 월류 현상에 의하여 쉽게 관측할 수 있다. 공극폐색 잠재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도로주변에 설치된 파일럿 규모의 습지 운전자료를 분석하였다. 습지에는 각각 우드칩과 마사(부석), 그리고 화산석을 충진하였다. 약 7개월 동안 도로 강우유출수 처리시험을 수행한 후 충진된 여재를 비운 후 여재 층별로 분류하여 여재에 의해 포획된 고형물 입자의 양과 특성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부분의 포획물질은 외부기인 부유물질 이었으며 다음으로 여재표면에 증식한 생물막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다른 여재와 비교하여 유기성 여재인 우드칩에서 생물막의 증식이 왕성하였다. 또한 전체 포획량 중 30% 이상이 상부 20cm 이내에 집중되어 있어 폐색으로 인한 폰딩 발생시 이 부분의 여재를 우선적으로 교체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모델계산 결과 우드칩 충진 습지에서 폐색에 도달하는데 약 2달 정도가 소요될 것으로 산출되었으나 실제로는 전혀 폐색 기미는 발생하지 않았는데 이는 강우시에만 운영되는 특성상 강우활동이 없는 무강우 기간 동안 포획된 유기물질이나 생물막이 자연적으로 분해되어 일정기간이 경과되면 공극이 회복되었다.

연천 은대리 물거미 서식지의 지형적 특성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Water Spider Habitat in Yeoncheon)

  • 양재혁
    • 한국지형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77-88
    • /
    • 2018
  • Wetlandsis developing on the lava plateau in Eundae-ri, even though there are no majorstreams into this area. As a result of drilling, 1~2m clay layer is founded under the superficial formations of the wetland, which are the main reasons for formation of the wetlands by limiting vertical drainage. The clay layer's Granulometry/XRD show very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in situ weathering of basalt, and since 2~3cm of sand layer exist within the profile, the clay layer seems to be supplied and deposited from outside through surface/sheet flows. To keep the wetlands sustainably, the supply of water into the wetlands has to be increased by restoring the surface/sheet flow which is limited or deformed by pavement road.

A Review of Constructed Wetlands for Water Quality Management in India

  • Farheen, Shaista;Geronimo, Franz Kevin;Guerra, Heidi;Reyes, Nash Jett;Choi, Hyseon;Jeon, Minsu;Kim, Lee-Hyung
    • 한국수자원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수자원학회 2021년도 학술발표회
    • /
    • pp.129-129
    • /
    • 2021
  • Constructed wetlands (CW) are artificially developed wetlands that are used to control water pollution. In central India, the field application of CW started on the late 1990s but are mostly focused on wastewater treatment. In this paper, different existing and experimental studies on constructed wetlands were reviewed to be able to determine the current status of wetlands in India to identify the type of CW that is more suitable in managing a specific target pollutant and type of wastewater. Wetland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vertical flow, horizontal flow, and hybrid while the wastewater were classified as domestic and industrial. Based on the review, 80% of constructed wetlands are used for treating domestic wastewater while 20% are treating industrial wastewater. Inflow analysis showed that industrial wastewater in hybrid constructed wetland produced the highest average concentration for parameters like COD (2851 mg/L) and BOD (5715 mg/L) while the lowest concentration was TN (13.97 mg/L) found in municipal wastewater. In terms of removing nonpoint source pollutants, it was revealed that vertical flow constructed wetlands (VFCW) are more effective at removing TSS and BOD as compared to horizontal flow constructed wetlands (HFCW) and hybrid constructed wetlands (HCW). HCW were found to be capable of efficiently removing COD and TN. Meanwhile, HFCW showed the highest TP removal among all the types of wetlands. In addition, VFCW were more effective for domestic wastewater while HCW are more effective for treating industrial wastewater. Lastly, there is currently a need to conduct further research on constructed wetlands for industrial wastewater as well as stormwater treatment to be able to gather more data and improve wetland design, performance, and maintenance.

  • PDF

간헐 주입 2단(수직 및 수평 흐름) 모래 갈대 인공습지에 의한 생활하수 처리 (Evaluation of Combined Vertical and Horizontal Flow Sand-Filled Reed Constructed Wetland with Intermittent Feeding for Sewage Treatment)

  • 서정윤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261-268
    • /
    • 2014
  • 본 연구의 목적은 직렬연결 2단 수직 및 수평 모래 갈대 인공습지에 생활하수를 간헐적으로 주입하였을 때 각 수질항목별 처리효율을 평가하는 것이다. 하수는 수리학적 부하량 $314L/m^2{\cdot}day$(수직 흐름 인공습지 기준)를 하루 4(10분 동안 주입후 5시간 50분 동안 중단)회 균등하게 간헐적으로 주입하였다. 평가 결과 pH는 유입수(7.27)보다 수직 흐름 인공습지 유출수(5.81)에서 감소하였다가 수평 흐름 인공습지 유출수(6.40)에서 다시 증가하였다. DO의 농도는 유입수에 비하여 유출수에서 높았으며 겨울로 갈수록 증가하였다. 수직 흐름 인공습지의 산소 전달율 (oxygen transfer rate: OTR)은 $58.72gO_2/m^2{\cdot}day$ 그리고 수평 흐름 인공습지의 OTR은 $7.72gO_2/m^2{\cdot}day$이었다. 각 항목별 평균 처리효율은 SS 94.80%, BOD 90.77%, $COD_{Cr}$ 85.87%, $COD_{Mn}$ 87.72%, T-N 64.74%, $NH_4{^+}$-N 86.44%, T-P 87.70%이었다. 유출수중 T-N의 반 정도는 $NO_3{^-}$-N(7.21 mg/L)이었으며 $NO_2{^-}$-N은 평균 0.64 mg/L이었다.

CFD를 이용한 Hybrid 인공습지의 초기침강지 저류판 구조 모의 (Simulation of Various Baffle Types in a Constructed Wetland Sedimentation Tank using CFD)

  • 노태균;전제찬;김이형
    • 한국습지학회지
    • /
    • 제18권3호
    • /
    • pp.324-329
    • /
    • 2016
  • 인공습지는 오염물질 저감기능을 포함하는 여러 가지 생태서비스 기능 때문에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인공습지에 많은 입자상 물질이 유입하게 되면 유지관리의 어려움과 기능의 저하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인공습지 내입자상 물질의 제거효율 향상을 위한 침강지내 최적 baffle 설치방안을 도출하고자 수행되었다. 최적 저류판 설치방안은 침강지내 유체와 입자의 흐름을 해석함으로써 도출가능하며, 이를 위해 전산유체역학(Computational Fluid Dynamics, CFD) 이론을 활용하였다. 연구결과는 baffle이 유속을 저하시키고 입자상 물질의 침강효율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사각을 가진 저류판보다는 수직 저류판이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활용하여 공공지역 비점오염저감시설로 설치된 소규모 하이브리드 인공습지의 침강지 효율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수직각을 이용한 저류판을 설치할 경우 침강효율이 1.2~1.3배 정도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침강지 내 저류판의 설치에 따른 결과는 인공습지의 전반적인 저감 효율을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유지관리 빈도를 줄임으로써 비용효율적 인공습지 설계에 기여할 것으로 평가된다.

생물반응 인공습지 내 DOM 변동 및 저감효과 평가 (Evaluation of DOM Variations and Reduction Effects in Bioreation Artificial Wetland)

  • 주광진;이종준;김태경;최이송;장광현;주진철;오종민
    • 환경영향평가
    • /
    • 제27권6호
    • /
    • pp.582-594
    • /
    • 2018
  • 본 연구에서는 생물반응 인공습지 내 용존유기물질의 변동 및 저감특성을 모니터링할 목적으로 수직 수평 흐름 습지를 직렬로 복합 적용하여 호기, 혐기상태의 흐름조건을 만들어 주었고 기능성 여재를 충진한 인공습지를 고안하여 아크릴 반응조로 제작 후 성능평가를 진행하였다. 수직 수평의 인공습지의 경우 호기 및 혐기조건을 평가하기 위해 반응조 내 용존산소(DO) 농도를 측정해본 결과 호기상태의 수직흐름인공습지에서는 2.7 mg/L, 혐기상태의 수평 흐름인공습지에서는 N.D.로 측정되어 운전조건에 부합하였다. 운전시간은 140 min, 80 min, 60 min으로 변경하며 실험을 진행을 하였으며, 운전시간에 따른 자연폭기시간 20 min을 동일하게 설정해 주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운전시간 모두 미생물의 활동으로 인한 결과를 보였으며, 3D-EEM에서는 운전시간을 길게 가져갈수록 난분해성 휴믹계물질구역인 III, V구역의 유기물에서 높은 저감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향후 저감효과에 대한 메커니즘 분석에 대한 연구는 추가로 진행될 필요가 있을 것으로 사료되지만, 본 연구결과는 향후 인공습지를 활용한 난분해성 물질의 저감을 위한 기술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