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ntilation threshold

검색결과 34건 처리시간 0.026초

부산지역 페인트제조시설의 VOC/HAPs 배출특성 및 흡착능 평가 (VOC/HAPs Emission Characteristics & Adsorption Evaluation for Paint Products in Busan Area)

  • 송복주;이승민;조갑제;조정구;유평종;김기곤
    • 대한환경공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316-325
    • /
    • 2012
  • 페인트제조시설에서 다량 발생하는 VOC/HAPs은 물질별 독성, 발암성 등의 특징으로 미량으로도 인체에 유해할 뿐만 아니라, 하절기 오존 생성과 악취 민원의 원인물질로 작용하고 있어 이들 시설에 대한 배출특성과 제어방안에 대한 연구가 시급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부산지역에 소재한 페인트제조시설 4개소를 선정하여 VOC/HAPs 주 배출공정 및 주요 오염물질을 도출하고 적절한 제어방안을 제시 하였으며, 천연소재인 Kapok fiber의 흡착 시험을 통하여 상용 흡착제로서의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발생되는 VOC/HAPs의 60% 이상이 방지시설로 유입되지 않고 공장내부로 자연 휘발되어 외기로 확산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주요 물질로는 Toluene, Ethylbenzene, Xylene이 70% 이상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주요 악취 원인물질은 A, B, C사는 Toluene, D사는 m/p-Xylene으로 나타났으며, 악취방지시설인 활성탄 흡착시설의 평균 제거효율은 66.2%로 평가되었다. 이 결과를 토대로 오염물질의 외부확산을 최소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중앙제어식 환기장치의 설치 등 다양한 제어방안과 함께 실제 운영시설의 규모를 고려한 흡착시설의 규격, 흡착제량, 교체주기 등을 산출 제시하여 현장에 적용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출된 원인물질을 표준시료로 활용하여 유통 활성탄과 천연소재인 Kapok fiber의 Toluene 흡착시험을 실시한 결과, 활성탄의 제거율은 대부분 99% 이상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Kapok fiber는 Space Velocity의 차이에 따라 91.9%, 66.7%의 제거효율을 나타내어 Kapok fiber의 흡착능은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저렴한 소재 가격, 친환경성 등을 감안한다면 기초 흡착제로서의 적용은 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향후 상용화에 필요한 추가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노동생산성 향상을 위한 유해작업환경관리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management of harmful working environments for Increase of Labor productivity.)

  • 조태웅;유익현;박성애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27-44
    • /
    • 1976
  •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evaluate the harmful factors in working environments and to investigate the labor productivity after improvement of environments, surveying 93 industrial establishments of 10 industries located in Youngdeungpo industrial area in Seoul.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1) The highest noise level of 125dB(A) was indicated at the rolling process of transpor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2) The best illumination level was shown in precise machinery industry and the worst was indicated in rubber products, metallic products and transpor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ies. 3) Thermal conditions were above threshold limit value (TLV) at more than two processes of all industries except printing industry. 4) The highest dust concentration was determined in textile and wearing manufacturing industry. 5) Organic solvents were detected at 52 processes in 93 industrial establishments and 33 processes of them showed higher than TLV. The results about harmful chemicals were as follows: a) sulfur dioxide ($SO_2$)was determined higher than TLV on welding process of metallic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and heat treatment process of transpor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b) Carbon monoxide (CO) concentration was 700ppm at heat treatment process of transpor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indicating 14 times of TLV. c) vinylchloride concentration in the air of PVC raw material mixing process and PVC preparation process of chemical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was determined higher than TLV. d) Hydrochloride (HCl) concentration in the air of wire expanding process of transport equipment manufacturing industry was determined higher than TLV. 7) Higher values of lead concentration than TLV were determined at lead welding metallic product manufacturing industry and type planting process of process of printing industry, $1.8mg/m^3$ and $0.3mg/m^3$ respectively. 9) 22, 968 of 52, 855 workers (i.e. 43.5%) in 93 industries were exposed to various harmful agents. 10) It was found that the improvement of illumination in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ing industry (from 20~40 lux to 420 lux) resulted in an increase in productivity of 6.5% per capita and a decrease in faulty products of 19%. 11) Improvement of environments using local exhaust ventilation system resulted in a decrease of harmful substances lower than TLV and an increase in productivity of 11.4%. 12) Improvement of shovelling tools based on ergonomics resulted in a reduction in energy expenditure of 25.3% and an increase in productivity of 32.2% per capita.

  • PDF

비활동성 여성의 고강도 인터벌 운동과, 중강도 지속적 운동이 감정적 반응과 신경전달물질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High-intensity Interval Exercise and Moderate-intensity Continuous Exercise on Emotional Response and Neurotransmitters in Low-active Women)

  • 최재일
    • 한국체육학회지인문사회과학편
    • /
    • 제58권4호
    • /
    • pp.447-459
    • /
    • 2019
  • 이 연구는 비활동 여성 30명을 대상으로 중강도 지속 운동(moderate-intensity continuous exercise; MICE)과 고강도 인터벌 운동(high-intensity interval exercise; HIIE) 시 감정적 반응과 신경전달물질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두 집단 모두 설계된 일회성 트레드밀 운동을 실시하였고, 동일한 운동을 1주일 간격으로 총 3회 반복 실시하였다. MICE는 환기역치(VT) 50% 수준에서 5분간 준비운동 후 90%VT 수준에서 25분간 지속운동을 실시하였고 다시 50%VT 수준에서 5분간 정리운동을 실시하였다. HIIE는 115%VT 수준에서 2분간 6회 반복하였고, 중간의 운동성 회복은 85%VT 수준에서 2분간 4회 반복하였다. 통계분석결과 MICE는 첫 번째 실험에서 운동 중 감정반응과 운동 후 즐거움에 대해 긍정적으로 나타났지만 세 번째 실험에서는 부정적으로 나타났다. 반대로 HIIE는 첫 번째 실험에서 운동 중 감정반응과 운동후 즐거움에 대해 부정적으로 나타났지만 세 번째 실험에서는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신경전달물질의 경우 3번의 실험에서 두 집단 모두 운동전에 비해 운동 10분 후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해볼 때 비활동 여성에게 HIIE 운동이 운동순응을 높이는 전략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항생제 사용 중 발생한 기계 호흡기 관련 폐렴에서 기관지 세포 세척술의 진단적 의미 (Implication of Quantitative Culture of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in the Diagnosis of Ventilator Associated Pneumonia in Patients with Antimicrobial Therapy)

  • 장윤수;안철민;정병천;김형중;김성규;이원영;신증수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제49권1호
    • /
    • pp.72-81
    • /
    • 2000
  • 연구배경 : 본 연구에서는 기계 호흡 관련 폐렴 환자에서 항생제의 사용이 기관지 폐포 세척술에 미치는 영향과 원인 균주의 특성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방법 : 1999년 4월부터 9월까지 영동 세브란스 병원에서 기계 호흡과 항생제 치료를 함께 받던 환자 25명을 대상으로 전향적 연구를 하였다. 대상 환자들은 대조군과 인공 호흡기 관련 폐렴군으로 나누었다.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세균의 정량 배양이 진단 역치는 $10^4$ cfu/ml로 잡았다. 결과 : 1)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그랑 염색에서 대조군 중 1명에서 VAP 환자군에서는 4명에서 양성의 결과를 나타내었다. 정량 배양에서 대조군에서는 모두 진단 역치 이하 였으나 VAP 군에서는 9명에서 양성의 결과를 보여 전체적으로 진단의 민감도는 43.8%였다. 2) 배양된 균주들의 빈도는 E. cloacae, S. aureus, K. pneumoniae, A. baumani 등의 순이었다. S. aureus 와 Staphylococcus coagulase(-)는 모두 oxacillin에 저항성을 보였으며 그람 음성 균주들 중 10례 중 3례를 제외한 나머지 모두가 cefotaxime과 ceftazidime에 저항성을 보여 extended spectrum $\beta$-lactamase(ESBL)를 생산하는 균주로 추정되었다. 3) 기관 흡인 검체와 기관지 세포 세척액의 그람 염색 결과는 1례에서만 일치하였다고 배양된 균주들도 3예에서만 일치하였다. 결 론 : 항생제 사용 중 발생한 기계 관련 폐렴에서는 기관지 폐포 세척액의 그람 염색과 정량 배양의 정확도는 높은 편이나 민감도는 낮은 편이었고, 통상적인 기관 흡입 검체를 이용한 검사 결과와의 일치율도 낮으므로 해석에 주의를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나아가 약제 내성 균주의 빈도도 외국의 경우와 큰 차이가 없이 높으므로 항생제의 선택과 사용에도 신중을 기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