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tion units

검색결과 141건 처리시간 0.03초

도시 내 고립된 임지의 경시적 식생특성 변화: 부산광역시 황령산을 사례로 (Changes in Vegetation Characteristics Over Time in the Isolated Forests of the Urban Areas: A Case Study on the Mt. Hwangyeong, Busan Metropolitan City)

  • 조재형;박찬열;오정학;김준수;조현제
    • 한국산림과학회지
    • /
    • 제105권3호
    • /
    • pp.284-293
    • /
    • 2016
  • 도시화에 의해 고립된 임지의 식생특성 변화를 파악하기 위하여, 부산광역시 황령산을 대상으로 1996년과 2015년에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식생유형(종조성기준)은 군락군수준에서는 거의 변화가 없었으나 군락수준이하에서는 다소 변화가 나타났다. 단위면적당($/100m^2$) 총피도와 평균종수는 각각 1996년 175%, 17종에서 2015년 191%, 19종으로 다소 증가하였다. 구성종의 상대중요치는 아교목층 이하에서 한반도 잠재자연식생인 신갈나무, 졸참나무 등 참나무류는 감소한 반면, 난대 및 상록성 식물인 비목나무, 때죽나무, 구골나무 등과 생태적 적응 범위가 넓은 국수나무가 크게 증가하였다. 생활형 조성은 전체적으로 1996년과 2015년 모두 $MM-R_5-D_4-e$로 변화가 없었으나, 휴면형의 경우 반지중식물(H)과 일년생 식물(Th)이 감소한 반면 관목성인 미소지상식물(N)은 상대적으로 높은 증가율을 나타내었고, 종자 산포형의 경우 풍수산포형($D_1$)은 다소 감소한 반면, 동물산포형($D_2$)은 70%이상의 증가율을 나타내었다. 상관식생 유형의 공간적 분포 특성의 변화를 대축척(1/5,000) 정밀상관식생도를 작성하여 비교하였다.

의성 금봉산일대 산림식생의 조성 및 구조 (Vegetation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Mt. - Kumbong, Uiseong-Gun, Korea)

  • 배관호;이중효;김동근
    • 한국농림기상학회지
    • /
    • 제7권4호
    • /
    • pp.303-310
    • /
    • 2005
  • 의성군 금봉산일대 산림식생의 조성 및 구조적 특성에 대하여 정성적 및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조사구 70개소$(10m{\times}10m)$를 설정하여 식생유형과 그에 대한 특성(상재도, 상대피도, 종다양도, 종간유사도)이 분석되었다. 식생유형은 큰기름새 등이 특징짓는 산지식생형과 고로쇠나무, 고추나무, 고광나무 등이 특징짓는 저지$\cdot$계곡식생형 등 2개의 식생형으로 대별되었다. 식생단위는 4개 군락(신갈나무군락, 굴참나무군락, 떡갈나무군락, 고로쇠나무군락)으로 구분되어 총 1때 식생그룹으로 나타났다. 상재도와 상대피도는 그룹별로 다소차이는 있지만, 상대피도는 평균적으로 교목성이 $50\~65\%$를 나타내었고, 종다양성은 저지$\cdot$계곡식생유형에서 $2.06\pm0.25\~2.31\pm0.26$으로 산지식생유형보다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층위별 주요 구성종의 종간유사성을 보면, 교목층과 아교목층에서 신갈나무와 소나무, 떡갈나무, 피나무 등이, 고로쇠나무와 층층나무, 당느릅나무 등이 유사성이 높았으며, 관목층과 초본층에서는 신갈나무와 생강나무, 쇠물푸레나무, 산거울, 대사초 등과 고로쇠나무와 고광나무, 등칡 등이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울릉도 산림식생의 공간분포 및 환경과의 상관관계 분석 (Spatial Distribution and Vegetation-Environment Relationship of Forest Vegetation in Ulleung Island, Korea)

  • 이중효;조현제;허태철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29권6호
    • /
    • pp.521-529
    • /
    • 2006
  • 본 연구는 Z-M학파의 식물사회학적 방법으로 울릉도 산림식생의 유형을 분류하고 그 공간적 분포 양상을 지도화하는데 있다. 이 지역 산림식생은 크게 우산고로쇠나무군락군의 산지 식생형과 해국군락군의 해안 저지식생형으로 양분되었으며, 군락 수준에서의 식생단위는 6개 군락, 16개 군,그리고7개 소군 등 3개 범주역에서 모두 22개 유형으로 구분되었다. 식생도 작성 면적은 5,544.9 ha이며, 이 중 너도밤나무군락이 35.2%인 1,951 ha로 가장 넓은 분포역을 나타내었으며 다음으로 송악군락 1,196 ha (21.6%), 동백나무군락 1,104 ha (19.9%), 말오줌나무군락 612.0 ha (11.0%), 해국군락 506 ha (9.1%), 솔송나무-섬 잣나무군락 174.0 ha (3.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CCA 분석에 의한 식생단위와 토양인자와의 상관관계를 보면, 해안식생형에서는 $Mg^{2+}$, pH, $Ca^{2+}$등이 양의 관계, 그리고 산지식생유형에서는 전질소, 탄소, C/N율의 유기물 함량과 양이온 치환 용량 등은 높은 상관을 나타내었다. 입지환경과 종 다양성의 상관관계를 보면 해발과 사면 방향은 일정한 경향을 보이지 않지만 지형과 경사도 그리고 우점하고 있는 식생에 따라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KOMPSAT-2 영상 및 고해상도 항공영상을 이용한 도심지역 식생분류 (Vegetation Classification using KOMPSAT-2 Imagery and High-resolution airborne imagery in Urban Area)

  • 박정기;고신영;조기성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21-27
    • /
    • 2013
  • 최근 탄소 흡수원으로 산림자원의 체계적인 관리의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도심지역에서의 산림자원은 탄소 흡수원 뿐만 아니라 도시자연의 환경개선 기능은 물론 사회적 정서적 측면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해상도 항공영상과 KOMPSAT-2 위성영상의 이용하여 도심지역내 산림 영역의 수종 분류를 수행하기 위하여 고해상도의 항공영상과 위성영상의 NIR밴드의 영상재배열을 수행하였으며 NDVI 등 9개의 다양한 식생지수를 분산분석을 통해 임상단위로 수종을 구분하였다. 또한 산림청에서 제공하는 임상도를 이용하여 본 연구에서 구분된 수종과 비교 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와 같은 식생분류 결과를 바탕으로 도시지역 내 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지구온난화를 고려한 지리산 국립공원 내 사찰림의 식생구조 연구 (Study of Vegetation Structure about Shrine Forest in Jirisan National Park with Regard to Global Warming)

  • 이성제;안영희
    • 한국환경과학회지
    • /
    • 제23권11호
    • /
    • pp.1863-1879
    • /
    • 2014
  • This study aims at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on the shrine forest vegetation located in Jirisan national park affiliated to an ecotone in southern part of Korea, foreseeing a vegetation change based on composition species and dominant species on canopy, and proposing the direction of vegetation management. The shrine forests were classified into the 7 community units as Chamaecyparis obtusa-Cryptomeria japonica afforestation,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rigida afforestation, Quercus variabilis-Quercus serrata community, Zelkova serrata-Kerria japonica for. japonica community, Phyllostachys bambusoides forest, Camellia japonica community. This research is also expatiated on the analogous results of ordination analysis with phytosociological analysis. The constituents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 temperate zone were appeared in the most vegetations. It emerged less that the constituent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temperate zone and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cold-temperature zone. The life form analyses were made use with the two ways: appearance species in total communities and each community. The species diversity of shrine forests is declined because the high dominances of Sasa borealis and Pseudosasa japonica emerged in the shrub and herb layers. These shrine forests will be succession to Q. variabilis-Q. serrata community as the representative vegetation of deciduous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temperate zone, owing to the temperature rise by global warming, and a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will be able to be also formed if a temperate rise will be continued. The one of the artificial management of shrine forests is to consider the introduction of the constituents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the warm-temperate zone.

추이대 2차림의 식생구조 분석과 온난화에 따른 식생의 변화 예측에 대한 연구 - 두륜산을 중심으로 - (Studies of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and Anticipation of Vegetation Change due to Global Warming on Secondary Forest in Ecotone)

  • 이성제;안영희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5권3호
    • /
    • pp.365-377
    • /
    • 2011
  • 본 연구는 식물사회학적 연구방법에 의해 추이대에 속하는 두륜산 일대의 삼림식생을 분류하고, 삼림식생단위와 환경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온난화에 따른 식생의 수평적 변화를 구성종과 상관식생의 우점종을 통해 예측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삼림식생은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 붉가시나무-황칠나무군락, 편백나무식재림 등 3개의 군락단위로 구분되었다. 각 삼림군락의 분포와 환경 요인들과의 상관 관계를 분석하였던 바, 모든 삼림군락에서 출현한 동백나무군강의 식별종, 구분종, 난온대성 낙엽활엽수림의 구성종 요소, 상관식생의 주요종을 통하여 낙엽활엽수림인 졸참나무-굴참나무군락은 굴참나무가 상대적으로 높은 출현율을 보이는 지역부터 점차 상록활엽수림으로 천이가 이루질 것으로 예측된다.

청량산 삼림식생의 군락분류 및 종간연관 분석 (Syntaxonomy and Analysis of Interspecific Association on the Forest Vegetation of Mt.Ch분ongnyang)

  • Lee, Ho-Joon;Heung-Lak Choung;Byung-Ho Bae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18권1호
    • /
    • pp.121-136
    • /
    • 1995
  • The forest vegetation on Mt. Ch’ongnyang was investigated for phytosociological analysis of the vegetation types and interspecific association. The forest was classified into seven vegetation units; A: Quercus Mongolica community, A-1: Group of Quercus variabilis, A-1-a: Subgroup of Pinus densiflora, A-1-b: Typical subgroup, A-2: Group of Aconitum trilobum, A-3: Group of Quercus dentata, B: Zelkova serrata communty. The group of Quercus variabilis was distributed on southeast- and southwest-facing slopes in 400~830 m above the sea level, and organic matter in the soil was 3.36~4.67%. The group of Aconitum trilobum was distributed on northeast- and northwest-facing slopes in 650~830 m above the sea level, and organic matter in the soil was 7.18%. The group of Quercus dentata was distributed on southwest-facing solpes in the vicinity of 810 m above the sea level, and organic matter in the soil was 9.7%. The Zelkova serrata community was distributed in the vicinity of ravines, and organic matter in the soil was 7.6%. The contents of Mg and Ca, and electric conductivity in the Zelkova serrata community were relatively high, 11.82 me/100mg, and 11.27 me/100mg, 102.2 μ mos/cm, respectively. In the results of polar ordination, environmental gradient of axis Ⅰ and axis Ⅱwere correlated with moisture, inclination and azimuth, respectively. Group of Quercus variabilis has occurred in xeric, group of Aconitum trilobum in submesic, and the Zelrova serrata community in mesic sites. In the meantime the interspecific association analysis based on chi-square yielded three species groupings with high positive affinity(p<0.01), i.e.group Ⅰ consisted of 18 species, including Acer pseudo-sieboldianum, Ansliaea acerifolia, Aconitum trilobum and group Ⅲ consisted of 19 species, in cluding Zelrova serrata, Oplismenus undulatifolius, Acer truncatum var. barbinerve, respectively.

  • PDF

양산 신불산의 습원 식생 (Moor Vegetation of Mt. Shinbul in Yangsan)

  • 김종원;한승욱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8권2호
    • /
    • pp.85-92
    • /
    • 2005
  • 경남 양산시 신불산의 습원(면적 14,000 $m^2$)에 대한 식물군락의 유형화와 동태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었다. 습원 식물상은 감시대상이 되는 식물종 26종을 포함한42과 80속 105종이 기재되었다. Z.-M.학파의 연구방법으로 8개 식생유형이 분류되었다: 올챙이자리-바늘골군집(신칭), 이삭귀개-흰개수염군락, 진퍼리새-좀네모골군락(전형하위군락, 끈끈이주걱하위군락), 진퍼리새-하늘산제비난군집, 억새군락, 메역순나무군락, 떡갈나무-노린재나무군락, 신갈나무-노린재나무군락 주좌표분석(PCoA)은 습원 내 식물군락들이 초본층(지표면)의 직사광선 이용 경향성 및 건습환경 조건, 그리고 토양의 비옥성(중영양-빈영양)에 대응하여 식생 구조의 다변성과 분포 경향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반도 동남부 영남알프스 산악지역에서의 산지 중간습원을 대표하는 진퍼리새군강 발달의 주요 요인은 국지적인 지리지형 조건으로부터 보다 짧고 습한 생육기를 야기하는 보다 긴 운무기간에 의한 냉각효과와 같은 기후 조건이 강조되었다. 양산습원은 인간간섭에 의한 습원식생과 자연 습원식생으로부터 무제치습원과 비교되었다.

Biological soil crusts impress vegetation patches and fertile islands over an arid pediment, Iran

  • Sepehr, Adel;Hosseini, Asma;Naseri, Kamal;Gholamhosseinian, Atoosa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6권1호
    • /
    • pp.31-40
    • /
    • 2022
  • Background: Plant vegetation appears in heterogeneous and patchy forms in arid and semi-arid regions. In these regions, underneath the plant patches and the empty spaces between them are covered by biological soil crusts (moss, lichen, cyanobacteria, and fungi). Biological soil crusts lead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fertile islands in between vegetation patches via nitrogen and carbon fixation and the permeation of runoff water and nutrients in the soil. Results: The present study has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biological soil crusts, the development of fertile islands, and the formation of plant patches in part of the Takht-e Soltan protected area, located in Khorasan Razavi Province, Iran. Three sites were randomly selected as the working units and differentiated based on their geo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to the alluvial fan, hillslope, and fluvial terrace landforms. Two-step systematic random sampling was conducted along a 100-meter transect using a 5 m2 plot at a 0-5 cm depth in three repetitions. Fifteen samplings were carried out at each site with a total of 45 samples take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difference in altitude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species diversity and decreases with decreasing altitude. Results have revealed that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ite, with biocrust has had a considerable increase compared to the other sites, helping to form vegetation patterns and fertile islands. Conclusions: The findings indicated that biological crusts had impacted the allocation of soil parameters. They affect the formation of plant patches by increasing the soil's organic carbon, nitrogen, moisture and nutrient content provide a suitable space for plant growth by increasing the soil fertility in the inter-patch space.

야외학습을 위한 화순 너릿재 옛길의 식물상과 생활형에 관한 연구 (A Study for Field Trips on the Vegetation Types and Plant Growth Habits at the Old Road Naori's Hill Hwasun)

  • 이미경
    • 통합자연과학논문집
    • /
    • 제1권2호
    • /
    • pp.160-179
    • /
    • 2008
  • Field classes are necessary to grow the ability of and an attitude toward exploring nature and to shape the basic concept of natural science. I tried to develop a site for field classes and the old road Naori's hill is an ideal place with convenient traffic and established youth camps. As a result the vegetation was divided into five associations and communities. The vegetation units obtained in the present study were as follow: Quercus acutissim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Quercus acutissima community, Quercus acutissima-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Quercus mongolica community. In all survey areas 100 family 336 genus 587 species of palants was found. Furthermore, it provides lots of plants throughout the seasons. Not only the flora but also flowering phenology, variety of floral color and growth habits can be used as teaching items. Incorporation of diverse knowledge of plants at the old road Naori's hill into biology teaching will give students academic stimuli and teachers an opportunity of retraining. With a combination of use of visual instruments, the purpose of conceptual and exploring biology is more easily achieved.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