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vegetable extracts

검색결과 136건 처리시간 0.02초

흑마늘 추출물이 인체위암세포의 tight junction 투과성 조절과 세포 침윤성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Aged Black Garlic Extracts on the Tight Junction Permeability and Cell Invasion in Human Gastric Cancer Cells)

  • 신동역;윤무경;최영환;권오천;김정인;최태현;최영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528-534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흑마늘 열수 추출물(ABG)의 암세포 전이억제 효능을 검정하였다. AGS AGS 인체위암세포의 이동성과 침윤성을 억제하였으며, 이는 TER의 증가와 연관성이 있었다. 또한 ABG에 의한 AGS 위암세포의 침윤성 억제는 TIMPs 발현 증가에 의한 MMPs의 발현 및 활성 저하에 의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AGS 위암세포에서 과발현을 나타내는 TJ 단백질인 claudins의 발현 저하 등이 ABG의 항전이 효과에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는 흑마늘 열수 추출물이 단순한 암세포의 증식억제를 통한 암예방 및 항암활성 뿐만 아니라 암세포의 전이 또한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주며, 이와 연관된 보다 구체적인 분자세포생물학적 접근 및 in vivo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됨을 의미한다.

참외 추출물의 라디칼소거활성과 항산화 성분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and Antioxidant Constituents of Oriental Melon Extract)

  • 김혜숙;홍미정;강인영;정지윤;김혜경;신용습;전하준;서전규;강영화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18권4호
    • /
    • pp.442-447
    • /
    • 2009
  • 참외의 기능성을 규명하기 위해 참외의 부위별 추출물의 라디칼 소거활성 및 항산화 물질 함량을 측정하였다. 참외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은 2mg/mL 농도에서 껍질 부위가 74.7%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ABTS 라디칼 소거능에서도 DPPH 라디칼 소거능과 마찬가지로 껍질 부위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였다.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껍질 부위에서 생체 중 100g 당 각각 134.5mg, 159.1m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고, 다음은 태좌, 과육 순이었다. 비타민 C 함량의 경우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는 다르게 태좌 부위에서 40.7m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라디칼 소거활성과 항산화 물질 간의 상관관계를 조사해 본 결과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과 항산화 활성 간에 고도의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비타민 C의 함량과는 다소 낮은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면 참외껍질 부위에서 라디칼 소거활성과 항산화 성분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참외의 항산화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성분은 페놀성물질일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라디칼 소거활성과 항산화 성분 함량에서 가장 높게 나타난 껍질 부위의 활성성분 규명 등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Protective Effects of Angelica keiskei Extracts Against D-Galactosamine (GalN)-induced Hepatotoxicity in Rats

  • Choi, Sang-Hoon;Park, Kwan-Ha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26권3호
    • /
    • pp.235-241
    • /
    • 2011
  • 아직 분명히 규명되지 않은 부분이 많지만, 신선초가 다양한 측면에서 건강증진 효과가 있다고 믿어져 왔고 따라서 일반인들이 지금까지 사용해 오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신선초의 메타놀 추출물을 투여한 후, 전형적인 간독성 유발물질인 갈락토사민과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랫드에서 일반적 간독성지표와 지질대사능 지표를 측정함으로써 간장 보호작용이 있는지 시험하였다. 신선초를 독성유발전 7일간 매일 1회씩 200 및 500mg/kg의 용량으로 경구투여 하고, 간독성물질을 복강내로 투여 한 후 독성유발 24시간에 혈장과 간장조직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시험한 두 용량(200 및 500 mg/kg)은 갈락토사민에 의해 유발된 지질과 산화물 증가, 혈장 AST 및 ALT 활성의 증가를 감소시켰다. 또한 신선초 500mg/kg은 갈락토사민이 유발한 혈장 중성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저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의 농도 증가현상을 감소시켰다. 갈락토사민에 의해 유발된 독성에 대한 효과와는 달리, 사염화탄소로 유발된 AST, ALT 및 과산화지질의 증가현상이 신선초 전투여에 의해 더욱 증가하였다. 이 결과는 갈락토사민에 의한 독성을 신선초 전투여가 감소시킬 수 있지만, 반대로 사염화탄소 유발 독성은 더 악화시킴을 의미한다. 신선초의 사염화탄소 유발 간독성 증강효과에 대한 기전을 이해하기 위해 신선초를 투여한 랫드의 간장내 aninline hydroxyiase의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사염화탄소가 간독성을 발휘하는 데에 필요한 조건인 대사체로의 변환을 매개하는 이 효소의 간장내 활성이 증가함을 관찰하였다. 종합적으로 신선초가 간장보호효과를 발휘하지만 간독성이 어떤 독소에 의해 유발되었느냐에 따라 향상 보호효과가 있지는 않음을 의미한다.

무즙의 돌연변이 억제 효과 및 그 특성 (Inhibitory Effect of Radish Juice on the Mutagenicity and Its Characteristics)

  • 김석중;진재순;김동만;김길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3호
    • /
    • pp.193-198
    • /
    • 1992
  • Salmonella typhimurium TA 98 균주를 사용한 Ames법을 실시하여 무즙의 돌연변이 억제효과 및 특성에 대해 조사하였다. 무즙은 간접 돌연변이원인 것으로 조사된 담배연기응축물(CSC), 태운 삼치의 메탄올 추출물(MECS) 2종에 대해서는 각각 100% 정도의 억제효과를 보였고, 발암물질인 2-aminofluorene(2-AF)에 대해서는 87% 정도의 억제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무즙은 양배추, 부추 등과 더불어 CSC에 대해서 조사된 다른 과 채류에 비해 높은 억제효과를 나타냈다. 무즙에서 CSC에 대해 억제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은 분자량이 50,000 이상으로 $100^{\circ}C$의 열처리시 5분 이내에 효과가 50% 이하로 감소하였으나 중 저온에서는 약 2주간 효과가 유지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ammonium sulfate $30{\sim}80%$로 포화시켜 얻은 무즙 침전물이 돌연변이 억제 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를 native-PAGE를 실시하였던바 3종류의 band 추출물이 CSC에 대해 돌연변이 억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PDF

몇가지 물질(物質)이 Agaricus campestris균사생장(菌絲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 (제(第) II 보(報)) (Effects of the special media on the mycelium growth in Agaricus campestris(II))

  • 조소남;황규찬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10권2호
    • /
    • pp.189-193
    • /
    • 1978
  • 상기(上記) 실험(實驗)에서는 Agaricus campestris의 basal medium에 몇종(種)의 생즙(生汁)을 첨가(添加)하여 균사생장(菌絲生長)에 미치는 영향(影響)을 조사(調査)하였다. 이때 실험실(實驗室) 온도(溫度)는 $23{\pm}1^{\circ}C$, 습도(濕度)는 $70{\pm}5%$, medium pH $5.4{\sim}5.5$로 하였다. 위 환경(環境) 조건(條件)에서 자란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다. (이상(以上)은 144hrs후(後) 성적(成積)이다) 1. Carrot basal medium에서는 100ml의 basal medium에 4ml 의 carrot extract를 첨가(添加)할때가 control에 비(比)해 가장 좋은 유의적(有意的)인 성적(成積)을 나타냈고 Cucumber basal medium에서는 100ml basal medium에 3ml의 cucumber extract를 첨가(添加)했을 때가 우세(優勢)하였으며 radish basal medium에서는 100ml의 basal medium에 radish extract 3ml 첨가시(添加時) 성적(成積)이 양호(良好)하게 나타남으로써 유의적(有意的)인 차이(差異)를 보였다. 2. cabbage basal medium에서는 100ml의 basal medium에 2ml의 cabbage extract를 첨가(添加)했을 경우(境遇)에 control에 비(比)해 약간(若干) 우위(優位)였으나 대차(大差)없었고 Lettuce basal medium 역시(亦是) 100ml의 basal medium에 2ml의 lettuce extract를 첨가(添加)했을 경우(境遇)만 조금 성적(成積)이 좋았을 뿐이다.

  • PDF

조리 과정 중 시래기의 항산화 활성 및 항균 활성 비교 (Comparison of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Activities in Siraegi (Dried Radish Greens) according to Cooking Process)

  • 박초희;김경희;육홍선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609-618
    • /
    • 2014
  • 본 실험에서는 조리과정(non-blanched, blanched, seasoned) 중 시래기의 항산화 관련 물질 함량과 항산화 활성 및 항균활성의 변화를 측정하여 한식 고유의 조리법인 나물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80% ethanol에 추출한 시래기의 수율은 무친 후가 7.55%로 가장 높았으며, 데치기 전이 4.91%를 나타내었고, 데친 후가 0.33%로 가장 낮은 수율을 보였다. 총 폴리페놀 함량은 3.57~129.85 mg GAE/100 g FW 범위로 무친 후 시래기가 $129.85{\pm}0.62mg$ GAE/100 g FW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에서도 무친 후가 $35.56{\pm}1.19mg$ CHE/100 g FW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냈다. 4가지의 항산화 실험(DPPH assay, ABTS assay, FRAP assay, Reducing power) 결과, 무친 후 > 데치기 전 > 데친 후 순으로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항균 활성 측정 결과, 데치기 전 시래기에서만 활성이 나타났는데, B. cereus와 E. cloacae 두 균에 대해서 농도 의존적으로 항균 활성을 나타냈고, E. coli와 P. aeruginosa 두 균에 대해서는 10 mg/disc의 농도에서만 각각 9.25 mm, 9 mm의 clear zone을 생성하였다. 상관관계 분석 결과, 총 폴리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증가할수록 radical 소거 활성 및 환원력의 활성이 증가하여 시래기에 함유된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항산화 활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항균 활성 측면에서는 시래기를 조리하지 않고 섭취하는 것이 좋으나, 건조 나물을 섭취하기 위해서는 특성상 반드시 불린 후 조리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또한 무치거나 조리하는 과정에서 갖은 양념이 첨가되어 항산화 효능이 증가하므로 시래기를 섭취할 경우, 가능하면 장시간 물에 삶는 조리법은 피하고, 무치는 조리법을 사용하는 것이 건강에 이로울 것으로 사료된다.

Kimchi attenuates fatty streak formation in the aorta of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knockout mice via inhibition of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and apoptosis

  • Woo, Minji;Kim, Mijeong;Noh, Jeong Sook;Park, Chan Hum;Song, Yeong O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11권6호
    • /
    • pp.445-451
    • /
    • 2017
  • BACKGROUND/OBJECTIVES: Endoplasmic reticulum (ER) stress is positively associated with atherosclerosis via elevating macrophage cell death and plaque formation, in which oxidative stress plays a pivotal role. Antioxidative, lipid-lowering, and anti-atherogenic effects of kimchi, a Korean fermented vegetable, have been established, wherein capsaicin, ascorbic acid, quercetin, 3-(4'-hydroxyl-3',5'-dimethoxyphenyl)propionic acid, and lactic acids were identified. In this study, mechanisms of action of kimchi methanol extracts (KME) on fatty streak formation via suppression of ER stress and apoptosis in aorta were examined in low-density lipoprotein receptor knockout mice. MATERIALS AND METHODS: Mice fed a high cholesterol diet with an oral administration of KME (KME group, $200 mg{\cdot}kg-bw^{-1}{\cdot}day^{-1}$) or distilled water (control group) for 8 weeks (n = 20 for group). Plasma lipid and oxidative stress levels were evaluated. Protein expression was measured by western blot assay. Fatty streak lesion size and the degree of apoptosis were examined in the aorta. RESULT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KME group, plasma lipids levels were decreased and oxidative stress was alleviated (P < 0.05). Protein expression levels of nuclear factor (erythroid-derived 2)-like 2-mediated antioxidants in aorta were increased whereas those for ER stress markers, glucose regulated protein 78, phospho-protein kinase RNA-like ER kinase, phospho-eukaryotic initiation factor 2 subunit ${\alpha}$, X-box binding protein 1, and C/EBP homologous protein were decreased in the KME group (P < 0.05). Moreover, apoptosis was suppressed via downregulation of phospho-c-Jun N-terminal kinase, bcl-2-associated X protein, caspases-9, and -3 with a concomitant upregulation of anti-apoptotic protein, B-cell lymphoma 2 (P < 0.05). Fatty streak lesion size was reduced and the degree of apoptosis was less severe in the KME group (P < 0.05). CONCLUSIONS: In conclusion, antioxidant activity of KME might prevent fatty streak formation through, in part, inhibition of ER stress and apoptosis in aortic sinus where macrophages are harbored.

젖산발효에 의한 혼합과채음료 제조의 최적화 (Optimization for the Lactic Acid Fermentation of Mixed Fruit and Vegetable Juices)

  • 김수연;최언호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2호
    • /
    • pp.303-310
    • /
    • 2002
  • 당근, 사과, 샐러리, 돌미나리, 대추, 구기자의 착즙액을 3 : 3 : 1 : 1/2 : 1 : 1/2의 비율로 혼합한 혼합과채즙에 동치미로부터 분리한 Leuconostoc mesenteroides subsp. mesenteroides, Lactococcus lactis subsp. lactis. Lactobacillus cellobiosus을 접종하고 당과 식염의 첨가와 배양온도의 최적조건을 발효 및 관능특성에 중점을 두고 조사하였다. 올리고당을 포함한 당은 25% 이하에서, 식염은 0.8% 이하에서 젖산균의 성장률이나 산 생선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배양온도가 높을수록 젖산균수와 산도가 증가하고 대장균수와 당도가 빠르게 감소하였다. $15^{\circ}C$에서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질물이 형성되어 발효쥬스의 선호도가 저하되었다. 따라서 혼합과채즙의 젖산발효는 관능특성면에서 fructooligosaccharide 15%, 식염 0.2%, 배양온도 $25^{\circ}C$가 최적이었고 최적 발효종점은 3일로서 이때의 pH는 3.62였다. 최적상태에서 발효쥬스는 1 mL당 젖산균수 8, 효모수 4의 지수를 보였으며 발효초기에 $5.6{\times}10^2\;cfu/mL$이던 대장균은 검출되지 않았다.

한국인 다소비 채소의 에탄올 추출물이 LPS 처리된 대식세포에서 NO, TNF-${\alpha}$와 MCP-1 분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Ethanol Extracts from Commonly Consumed Vegetables by Koreans on NO, TNF-${\alpha}$ and MCP-1 Production in LPS-stimulated RAW 264.7 Macrophages)

  • 안은미;강현주;박영희;김영;강민숙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24권6호
    • /
    • pp.776-784
    • /
    • 2014
  • Korean dishes, Hansik are characterized by healthful vegetable intak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hibitory effect of commonly consumed vegetables by Koreans on obesity/metabolic disease-related inflammation.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the KNHANES database ($1^{st}$ 1998, $5^{th}$ 2010, 2011) and a literature review, we selected vegetables for study. Among the vegetables, main or sub ingredients of Kimchi were excluded. Samples were prepared using only edible portions and freeze-dried. After grinding, samples were extracted with ethanol, evaporated and finally lyophilized. The cytotoxicity of samples was determined by 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MTT) assay, at various concentrations that do not affect cell viability. Raw 264.7 macrophages were treated with lipopolysaccharide (LPS) and 11 kinds of samples or positive control (troglitazone) dissolved in dimethyl sulfoxide (DMSO). After 24 hours, nitric oxide (NO), tumor necrosis factor ${\alpha}$ (TNF-${\alpha}$) and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MCP-1) production were determined. Excepts for young pumpkin and bracken, nine samples effectively reduced NO production compared with control treated with LPS and DMSO. NO levels of five samples (bean sprouts, leeks, eggplant, mugwort, and pumpkin) were similar to that of the positive control. These five samples showed significantly decreased TNF-${\alpha}$ or MCP-1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ur results suggest that consumption of commonly consumed vegetables contributes to partial prevention of obesity and related metabolic syndrome through reduction of NO, TNF-${\alpha}$, and MCP-1 production.

채소류 메탄올 추출물의 In Vitro와 Cell System에서의 항산화능 비교 (Comparison of Methanol Extracts from Vegetables on Antioxidative Effect under In Vitro and Cell System)

  • 이영아;김현영;조은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4권8호
    • /
    • pp.1151-1156
    • /
    • 2005
  • 채소류의 산화방지 지표로서 ORAC측정결과 산화방지 능력이 우수하다고 보고되어진 13가지 채소류를 선정하여 DPPH 라디칼 소거능을 관찰하고 이들의 phenol 함량을 분석한 결과, 비트, 가지, 케일의 DPPH 라디칼 소거능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은 총 phenol 함량 또한 높아 이들 사이의 양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반면, 알팔파 스프라우트(alfalfa sprout), 브로컬리, 시금치 등에서는 phenol 함량은 높은 것에 비해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그다지 우수하지 못했다. 또한 세포모델에서 LLC-$PK_{1}$ 세포에 radical generator인 AAPH 처리를 함으로써 채소류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개선효과 살펴본 결과, 가지와 컬리플라워가 높은 세포 생존율을 보여 가장 우수한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 효과를 가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비트,당근 등의 산화적 스트레스 개선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지는 총 phenol 함량도 높을 뿐 아니라, DPPH 라디칼 소거능과 세포모델에서의 산화적 스트레스에 대한 개선효과도 뛰어나 우수한 항산화기능성을 지닌 채소류로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