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er-oriented thinking

검색결과 12건 처리시간 0.022초

사용자 니즈 기반의 챗봇 개발 프로세스: 디자인 사고방법론을 중심으로 (Development Process for User Needs-based Chatbot: Focusing on Design Thinking Methodology)

  • 김무성;서봉군;박도형
    • 지능정보연구
    • /
    • 제25권3호
    • /
    • pp.221-238
    • /
    • 2019
  • 최근, 기업 및 공공기관에서는 고객 상담과 응대 분야에 챗봇(Chatbot)서비스를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챗봇 서비스의 도입은 기업이나 기관에게 있어서 인건비 절감 효과를 가져올 뿐만 아니라 고객과의 빠른 커뮤니케이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 기술의 발전과 인공지능 기술의 고도화는 이런 챗봇 서비스의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하지만 기술중심으로 개발된 챗봇은 사용자가 내재적으로 원하는 바와 괴리가 있을 수 있으므로, 챗봇이 단순히 기술의 영역이 아닌 사용자 경험의 영역에서 다루어질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사용자 경험 분야의 대표적 방법론인 디자인 사고 접근법을 챗봇 개발에 적용하여, 사용자 니즈 기반의 챗봇 개발 프로세스를 제안하고자 한다. 사용자 관찰을 통해 팩트(Fact) 수집을 시작으로, 인사이트(Insight)를 도출하고 기회영역(Opportunity)을 발굴하는 추상화의 과정을 수행한다. 이어서 사용자의 멘탈모델에 맞는 기능을 제공하고 원하는 정보를 구조화하는 구체화의 과정을 통해, 사용자의 니즈에 부합하는 챗봇을 개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는 제안한 프로세스의 실효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국내 화장품 시장을 대상으로 실제 구축 사례를 함께 제시한다. 본 연구는 챗봇 개발 프로세스에 사용자 경험을 접목한 점에서 이론적 시사점을 가지며, 기업이나 기관이 바로 적용 가능한 현실적인 방법을 제안한다는 면에서 실무적 시사점을 가진다.

스마트시티의 User Centered Design 개념 설계 및 활용 (Design and Application of User-Centered Design Concept in Smart City)

  • 안세윤;김소연;주한나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440-451
    • /
    • 2019
  • 미래사회는 점차 도시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자원 및 인프라 부족, 교통 혼잡, 에너지 부족 등 각종 도시문제가 점차 심화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도시에 신기술을 접목하여 각종 도시문제를 해결하고 삶의 질을 개선할 수 있는 도시모델, 도시 인프라 활용을 통한 저비용으로 도시 문제를 해결하는 스마트시티 접근 방식이 주목받고 있다. 스마트시티는 정보통신기술(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s)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다양한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미래 첨단 도시를 뜻한다. 이용자가 원하는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개념이 기반되어야 한다. 디자인 및 개발 프로세스를 위해서는 이와 관련된 모든 사람의 의견과 요구를 바탕으로 이루어져야하며, 모든 단계에서 사용자, 설계자 및 이해 관계자를 포함한 모든 사용자 정보와 피드백을 이상적으로 반영할 필요가 있다. 참여적 설계 접근법은 실제 사용자를 더 잘 이해하고 참여시키려는 시도로 볼 수 있으며, 보다 적절하고 사용자 친화적인 스마트시티 서비스를 만드는 데 필수적이며 중요하다. 본 연구는 사용자 중심 디자인 관점의 스마트시티 서비스 개발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스마트시티 서비스 개발을 위한 디자인씽킹과 서비스디자인 프로세스에 관한 방법론을 고찰하였다. 스마트시티 서비스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중심 디자인 개념을 설계하고, 이를 기반으로 개발된 서비스 디자인 사례를 통해 활용성을 검증하였다.

소비자 중심의 현대 패션제품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 (The Customized Modern Fashion Product Design)

  • 고현진
    • 복식
    • /
    • 제58권3호
    • /
    • pp.93-104
    • /
    • 2008
  •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concept of customized fashion product design as a new industrial paradigm reflecting individual customers' needs in modern society, and to grasp its sociocultural meaning. It is thought that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investigate the cultural thinking of contemporaries represented through the consumption. For this, the documentary study and practical case study have been executed. As modern fashion business becomes more consumer-oriented due to the industrial paradigm shift, there appeared the prosumer as both consumer and producer. The type of customized fashion product design can be classified as 1) the traditional custom-made design in haute couture and classic tailoring 2) the tailor-made design in the prestige line of ready to wear 3) DIY custom design 4) mass customized design of customer involvement. The traditional custom-made design in haute couture and classic tailoring and the tailor-made design in the prestige line of ready to wear is to provide the distinguished product which has the best quality as well as the excellent beauty for VIP consumer. The DIY custom design is for creative consumer searching for the fun of craftsmanship to take part in producing personally. The mass customized design of customer involvement is to personalize product by selecting design module in mass production. Ultimately the sociocultural meaning of the customized fashion product design can be interpreted as (1)endowing special meaning to personal identity (2)distinguishing the privilege by rarefied authenticity (3)returning to analog sensibility 4)pursuing creative fun 5)thinking in a user-centered way.

맞춤형 홈 케어 뷰티 디바이스 개발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Customized Home Care Beauty Device)

  • 김태원;김현웅;이천희;민혜진;김다두;김동훈;박상용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22권1호
    • /
    • pp.23-34
    • /
    • 2022
  • COVID-19 발병과 장기화로 장시간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 트러블 발생으로 셀프 스킨케어에 관심이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시장의 변화에 대응하고자 맞춤형 홈 뷰티 케어 디바이스의 제품디자인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자는 디자인씽킹 프로세스 중 더블다이아몬드 모델을 적용하여 발견, 정의, 발전, 전달 단계 순으로 디자인 개발을 진행하였다. 1단계 발견에서는 사전 조사를 통해 도출된 3가지 제품 컨셉 평가와 함께 소비자의 니즈를 파악하기 위해 집단심층면접을 진행하였다. 2단계 정의에서는 제품 컨셉과 디자인 방향성을 설정하였고, 적정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3단계 발전에서는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피부 상태 측정 간소화 및 케어 솔루션을 제시하여 제품 컨셉을 정교화 하였다. 그리고, 유니버설 스케일 적용을 위해 한국인 인체측정데이터를 분석하여 추출된 대표 치수를 적용하여 디자인 시안을 제시하였다. 4단계 전달에서는 시안들에 대해 소비자 평가를 시행하여 문제점을 보완하여 최종 시안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스타일링 중심의 디자인 프로세스가 아닌 디자인씽킹 프로세스를 융합해 사용자 중심의 디자인 개발에 중점을 두었고, 측정 데이터 기반으로 한 정보들을 활용한 디자인 개발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지니고 있다.

메이커 역량 모델 개발 및 초·중등 교육 현장에서의 메이커 교육 방안 탐색 (Developing Maker Competency Model and Exploring Maker Education Plan in the Field of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 윤지현;김경;강성주
    •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
    • 제38권5호
    • /
    • pp.649-665
    • /
    • 2018
  • 이 연구에서는 메이커 교육의 본질 및 속성을 탐색하기 위하여 중요사건기법 분석과 행동사건면접 분석을 통해 메이커들이 지니고 있는 핵심 역량을 추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메이커 역량 모델을 개발하였다. 연구 결과, 6개의 역량군과 23개의 하위 역량을 추출할 수 있었다. 즉, '분석적 사고', '직관적 사고', '시각적 사고', '경험적 사고'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통합적 사고 역량군, '공유', '의사소통', '갈등관리', '주도성'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협업 역량군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다양한 영역에 대한 관심', '도전 의식', '실패 관리', '메이킹 과정의 즐거움'의 4개 역량으로 구성된 메이킹 마인드 역량군, '인류애', '사용자 지향'의 2개 역량으로 구성된 인간중심 역량군, '관찰', '일상 속 불편함의 인식'의 2개 역량으로 구성된 문제 발견 역량군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제작 도구에 대한 이해', '전기에 대한 이해', '프로그래밍에 대한 이해', '계획수립', '손 지식', '정보 탐색', '직접적인 실행'의 7개 역량으로 구성된 메이킹 수행 역량군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이용자 행태 특성에 의한 공용공간의 디자인 프로세스 연구 (A study on design process for public space by users behavioral characteristics)

  • 김개천;김범중
    • 디자인학연구
    • /
    • 제17권1호
    • /
    • pp.89-98
    • /
    • 2004
  • 행태 중심적 공간디자인은 인간의 심리를 기반으로 한 행동의 시스템적 접근을 필요로 한다. 또한 인간과 환경은 상보성(相補性)을 지닌 전체로서의 인식을 필요로 하며, 인간과 공간 역시 상호작용을 전제로 하는 총체적 현상으로 파악하여야 함을 의미한다. 또한 행태 지향적 공간을 디자인하는 것은 단지 물리적 실체를 형상화하고 조정하는 행위뿐만 아니라 심리적, 행위적 현상들을 이해하고 해석하여 반영하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인간개인에 대한 분석뿐만 아니라 인간집단의 상호작용에 관한 이해이다. 또한 공간인식에 있어서 물질의 이동이 아닌, 에너지의 순환과 변화요인에 대한 분석이 중요하다. 이것은 이용자의 행태와 심리에 대한 파악이 단순히 편리함을 위한 합리적 목적을 지향하는 것이 아님을 뜻한다. 즉, 인간과 공간에 대한 구조를 물리적 요소로 분해하고 정형화된 데이터에 근거하여 디자인하는 것과 달리, 공간과 인간 사이에 발생하는 행동패턴과 심리적 현상을 이해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따라서 행태가 일어나는 본질을 파악함으로써 보다 인간 중심적인 공간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다. 그리고 이용자 중심의 또 다른 관점의 디자인 프로세스를 창출할 수 있으며, 인간, 공간, 환경의 총체적 어메니티, 즉 보다 나은 환경 질을 만들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인간활동, 즉 행위체계에 대한 자각이 선행되어져야 하며, 디자인을 위한 접근이 예측적 관념이 아닌, 준 과학적 체계 속에서 프로세스로 구현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관점을 기초로 인간의 행태를 기본으로 한 디자인 언어로 도출되는 프로세스를 모색한다. 즉, 이용자의 관찰을 통해 공간 행태의 본질과 행위체계를 분석하고, 이를 공간디자인 프로그램에 반영하여 조형언어로 발전된다면 인간과 환경에 대한 새로운 디자인 프로세스가 나타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이용자의 행위와 심리를 디자인에 반영함으로써, 물리적 데이터에 근거한 기존의 공공공간 디자인과는 달리, 인간 삶의 질적 향상을 지향하고 보다 인간 중심적인 디자인이 창출될 수 있다.

  • PDF

미디어 표현공간에서 나타나는 빛의 비실체성 연구 (A Study on Non-substantiation of Light Displayed in Media Expression Space)

  • 김민영;윤서설;이찬
    •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 /
    • 제23권3호
    • /
    • pp.125-133
    • /
    • 2014
  • While shifting from modern society to post-industrial society, social structure is changing from the period which pursues material affluence to that which pursues psychological abundance. Formation of various values along with pursuit of psychological abundance has made the illusion of standardization, massification, and popularization meaningless. Different from functionality oriented approach in the past, today's design requires diversified, multiple and integrated thinking and way in fast-changing social phenomena and stream, and lets human loose from the restriction of time and space thanks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It appears as new and various attempts along with paradigm shift of the wholle society, however the existing physical and actual things gradually transit to non-physical and non-actual things. Tendency of dematerialization has spread as far as esthetic and environmental genre on the basis of social and philosophical base along with change of consumption culture, and has displayed complex and de-genre aspect. Paradigm shift has expanded the range of communication by changing to user's independent awareness and sensitive concept, among them, light displays various changes of space by taking the role of new medium. Particularly, the light as the media expression beyond the phenomenon of light of traditional concept acts as an essential element to stimulate sensitivity and for experience as an immaterial element which shows this change of space most dramatically. This research aimed at recognizing space in complex dimension, exploring the relation between the light and space through media expression displayed in the realization of immateriality, expanding the meaning of light, and recognizing it as the possibility of creative and future-oriented light space creation which responds to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social change.

스마트 교육 커뮤니티 정보기반 도시재생 (Information-Based Urban Regeneration for Smart Education Community)

  • 김우영;서붕교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계획계
    • /
    • 제34권12호
    • /
    • pp.13-20
    • /
    • 2018
  •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public cases of information facilities in terms of central circulations in multi level volumes such as atrium or court which provide visual intervention between different spaces and physical connections such as bridges. Hunt Library design balances the understood pre-existing needs with the University's emerging needs to create a forward-thinking learning environment. While clearly a contemporary structure within a traditional context of the NCSU campus, the Hunt Library provides a positive platform for influencing its surroundings. Both technical and programmatic innovations are celebrated as part of the learning experience and provide a versatile and stimulating environment for students. Public library as open spaces connecting to an interactive social domain over communities can provide variety of learning environments, or technology based labs. There are many cases of the public information spaces with dynamic networks where participants can play their roles in physical space as well as in the intellectual stimulation. In the research, new public projects provide typologies of information spaces with user oriented media. The research is to address a creative transition between the reading space and the experimental links of the integration of state-of-the-art technology is highly visible in the building's design. The user-friendly browsing system that replaces the traditional browsing with the virtual shelves classified and archived by their form, is to reduce the storage space of the public library and it is to allow more space for collaborative learning. In addition to the intelligent robot of information storages, innovative features is the large-scale visualization space that supports team experiments to carry out collaborative online works and therefore the public library's various programs is to provide visitors with more efficient participatory environment.

디자인의 모델링 인터페이스 투시도법과 CAD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Modelling Interface in Design With an emphasis on linear perspective and CAD programs)

  • 박해천;임창영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1호
    • /
    • pp.203-218
    • /
    • 2007
  • CAD 테크놀로지는 새로운 디자인 사고나 조형 원리를 촉진시킬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본 논문은 이러한 의문에서 출발해, 모델링 인터페이스라는 개념을 분석의 수단으로 삼아 투시도법과 CAD 프로그램의 사회적 구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은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르네상스 이후 투시도법이 그리기 중심의 모델링 인터페이스로 자리잡는 과정, 그리고 투시도법의 기하학적 원리가 신재료의 등장으로 현실 공간으로 확산되고, 미적 담론의 차원에서 정당화되는 과정을 논의한다. 두 번째, 컴퓨터를 사용한 모델링 인터페이스가 등장하는 역사적 맥락을 살펴보고, CAD 프로그램이 새로운 모델링 알고리듬과 그래픽 유저 인터페이스의 개발을 거치면서 컴퓨터를 통한 디자인을 실현하는 과정을 검토한다. 특히 본 논문은 이 두 가지 모델링 인터페이스가 구성되는 역사적 경로를 추적하면서, 개별 모델링 인터페이스가 디자인 행위와 맺게 되는 관계, 그리고 그 관계 내부에서 구성되는 디자이너의 인지 양식과 조형 논리의 변모를 분석한다.

  • PDF

Q 방법론을 적용한 마이크로 블로깅 서비스의 이용 동기 유형 분석 : 미투데이 사례 (Profiling Usage Motivation in Micro-blogging Service by Q-methodology : The case of me2DAY)

  • 김경규;김효진;류성열
    • 한국전자거래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5-61
    • /
    • 2010
  • 본 연구는 마이크로 블로깅 서비스 이용자들의 이용 동기 유형을 분류하였다. 본 연구는 이용 동기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개인의 사고나 느낌과 같은 주관성 행위를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Q 방법론을 적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 의하면, 마이크로 블로깅 이용자들은 이용 동기에 따라 4개의 유형으로 분류되었다. 유형 1은 새로운 사람이나 다양한 사람과 만나기 위해 서비스를 이용하는 '관계지향형'이다. 유형 2는 현재 자신의 상태나 기분을 자유롭게 표현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보여주기 위한 '자기표현형'이다. 유형 3은 여가 시간이나 무료한 시간을 지루하지 않고 재미있게 보내기 위한 '시간보내기형'이다. 유형 4는 연구 등 특정한 목적과 함께 빠르게 정보를 접하고 사회적 문제에 대한 의견을 보기 위한 '정보추구형'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마이크로 블로깅 서비스 이용 유형은 향후 이용 유형별로 특화 된 서비스 개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해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