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sability improvement

검색결과 348건 처리시간 0.023초

모바일 앱의 사용자 의견으로부터 소프트웨어 및 시스템 요구사항을 추출하기 위한 프로세스와 방법 (Processes and Methods for Eliciting Software and System Requirements from Users' Opinions in Mobile App)

  • 오동석;김선빈;류성열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13권4호
    • /
    • pp.397-410
    • /
    • 2014
  • For mobile service organizations,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s to reflect users' opinions rapidly and accurately. In this study, the process is defined to elicit requirements of software/system improvement for mobile application by extracting and refining from users' opinion in mobile app, and detailed activities procession method in this processing are also proposed. The process consists of 3 activities to get requirements of software/system improvement for mobile app. First activity is to transform mobile app to software structure and define term dictionary. Second activity is to elicit simple sentences based on software from users' opinion and refine them. The last activity is to integrate and adjust refined requirements. To verify the usability and validity of the proposed process and the methods, the outputs of manual processing and semi-automated processing were compared. As a result, efficiency and improvement possibility of the process were confirmed through extraction ratio of requirements, comparison of execution time, and analysis of agreement ratio.

국내 사이버대학교 웹사이트 평가 및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Website Evaluation and Improvement of Korean Cyber University Websites)

  • 문태은;문형남
    • 지능정보연구
    • /
    • 제14권2호
    • /
    • pp.137-156
    • /
    • 2008
  •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 사이버대학의 웹사이트 평가를 실시하여 웹 사용성(Web Usability)과 웹 접근성(Web Accessibility)을 분석하고, 사이버대가 웹사이트 상에서 이용자들에게 얼마만큼의 다양한 개인화 서비스와 양질의 콘텐츠들을 제공하는가를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웹사이트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고 원격교육의 신뢰성에 기여 하고자 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문형남(2001)의 SM-ABCDE 평가모델을 적용하여 원격대학에 알맞은 44항목의 체크리스트를 개발하고, 17개 사이버대학교 웹사이트에 대하여 고객흡인력(Attraction : A), 비즈니스(Business : B), 콘텐츠(Content : C), 디자인 및 사이트구성(Design : D), 기술평가(Engineering : E)의 다섯 분야에 대하여 웹사이트 평가를 실시하였다. 평가결과 Attraction 부분에서는 부산디지털대학, Business 부분에서는 공동으로 경희사이버대학과 사이버외국어대학이 가장 우수하게 평가 되었으며, Content 부분에서는 경희사이버대학, 디자인부분에서는 한양사이버대학이 가장 우수하게 평가 되었다. 종합적으로 경희사이버대학교, 부산사이버대학교, 한양사이버대학교 순으로 우수하게 평가 되었다. 그러나 Engineering 부분에서는 모든 사이트가 웹 접근성 준수 수칙을 제대로 지키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를 토대로 하여 국내 사이버대학들이 장기적인 안목으로 웹 접근성을 잘 준수해 나간다면 웹 사용성이 높아지므로 비장애인뿐만 아니라 장애인 등 기타 다양한 계층의 이용 고객을 확보하게 됨으로써 사이버대학의 발전과 나아가서는 지식정보사회에서 앞선 교육 방식을 지향하는 명실상부한 교육기관으로 자리 잡을 수 있을 것이다.

  • PDF

가정용 스틱형 통합리모콘의 UI 디자인 연구 (A Study on the UI Design of Stick-type Intergrated Remote Controller for Domestic Use)

  • 강미령;유연식
    • 디자인학연구
    • /
    • 제20권3호
    • /
    • pp.235-246
    • /
    • 2007
  • 이 연구는 가정에서 그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통합리모콘을 좀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방법으로 대중성 있는 기존 제품의 UI체계를 통합리모콘의 UI체계로 적용하여 학습이 용이하고 사용성이 향상된 가정용 통합리모콘 UI디자인 대안을 개발하고 그 사용 용이성을 평가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기존의 대중성 있는 제품으로는 UI디자인 개발 대상인 스틱형 통합리모콘과 사용방법이 유사한 휴대폰을 선정하였다. 선정한 휴대폰 UI의 공통적 특성을 도출하여 그 내용을 최대한 적용한 가정용 스틱형 통합리모콘의 디자인 안을 제작하였다. 플래시로 제작한 이 디자인 대안의 프로토타입으로 2회의 파일럿 테스트를 실시하여 최종 실험연구용 프로토타입 제작과 관련된 개선내용을 추출 하였다. 그리고 물리적인 조작, 피드백 측면에서의 사용 실제감을 보완한 버튼 프로토타입을 제작하여, 20대 대학생 41명을 대상으로 개발된 가정용 스틱형 통합리모콘의 새로운 UI디자인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대중성 있는 기존 제품의 UI를 활용한 가정용 스틱형 통합리모콘은 사용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 연구내용은 향후 가정용 스틱형 통합리모콘의 새로운 UI디자인 개발 연구의 좋은 모델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 PDF

3D 프린터 활용 유아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이 유아의 창의성 및 유용성 증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using 3D printer on creativity improvement)

  • 정지현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0권6호
    • /
    • pp.119-127
    • /
    • 2020
  • 본 연구의 목적은 3D프린터를 활용한 유아디자인교육 프로그램을 유치원 현장에 적용하여 유아의 창의성과 유용성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고, 그 결과를 통해 3D프린터라는 매체의 유아교실 내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현실적인 방안을 마련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광역시에 소재한 G유치원 만5세 유아 38명을 각 각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2017년 8월부터 2018년 1월까지 약 6개월간 총15회에 걸친 실험처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도구로서는 Torrance의 창의성검사 한국어판중 유아용 도형검사와 유용성검사척도가 사용되었으며 자료의 처리 및 분석은 기술통계방법과 공분산분석을 통해 이루어졌다. 연구의 결과, 3D프린터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유아의 창의성과 유용성 증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으며, 특히 창의성 구성과 정교성에 두드러진 효과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주요 목표로 삼고 있는 기존의 누리과정과 3D프린터를 더욱 폭넓게 연계 할 수 있는 가능성 및 유아교육 현장에서 활용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사용성 향상을 위한 국가R&D정보 내비게이션 서비스의 사용자 니즈 분석과 정보 시각화 (User Needs Analysis and Information Visualization of National R&D Information Navigation Service for Improving Usability)

  • 이병희;손강렬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3권2호
    • /
    • pp.512-521
    • /
    • 2013
  • 본 논문에서는 정보 서비스 기획 단계에서 시맨틱 기반으로 NDSL+NTIS 데이터베이스를 융 복합하여 국가R&D정보 내비게이션 서비스를 개발하기 위한 사용자 니즈 분석과 정보 시각화에 대해 알아본다. 사용자 니즈를 조사 분석하기 위해 산 학 연 연구자 중심으로 30명의 설문과 12명의 현장 인터뷰를 통해 여러 R&D 정보 서비스로부터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또한 새로운 정보 시각화 서비스를 설계하기 위해 대화형 내비게이션 타입의 국가R&D 정보 시각화 서비스를 제안하고 사용자 니즈 분석에 따라 페르소나와 화면 프로토타입을 작성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345,411건의 학술 논문과 620,55건의 공저자, 49,958건의 연구보고서를 NDSL에서 가져오고 187,466건의 국가R&D 과제를 NTIS에서 가져와서 융합하는 국가 R&D정보 융 복합 아키텍처를 설계하였다. 향후 본 논문에서 제안한 국가R&D정보 융 복합 아키텍처가 R&D 정보 융 복합의 선도 모델 및 표준이 되고 대화형 내비게이션 타입의 정보시각화 서비스가 사용성을 크게 향상시키기를 기대한다.

ECDIS의 사용성 평가 및 개선사항 분석 (Usability Test and Investigation of Improvements of the ECDIS)

  • 이보경
    • 해양환경안전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146-156
    • /
    • 2018
  • 선박 해도시스템은 기존의 종이해도 사용에서 ECDIS을 이용한 전자해도의 사용으로 변화하였다. 선박 항해장비의 자동화, 통합화, 디지털화를 위해서 전자해도의 등장은 필수적이지만 새로운 시스템이 해상에 도입되는 과도기적인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면서 항해 안전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이 논문에서는 ECDIS가 새로운 항해 장비로서 본래의 목적에 따라 선박의 안전 항해에 기여하고 있는지를 분석하기 위해서 선박에서 ECDIS를 사용했던 항해사들을 대상으로 ECDIS 사용전과 후에 대한 사용성 평가를 실시하고 대응표본 t 검증하였다. 그 결과, 업무 간소화와 비용 감소에 대한 효율성이 ECDIS 사용 후 더욱 저하된 것으로 유의미하게 분석되었다. 사용자 지침인 IMO 'MSC.1/Circ.1503 ECDIS - Guidance for good practice'를 분석하여 S/W 유지보수, ECDIS 이상현상, RCDS와 ECDIS의 차이, ECDIS 상의 다양한 정보 중첩으로 인한 식별성 저하 등이 선박 안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였다. 또한 식별된 이상현상을 특성 별로 분류하고 그에 맞는 개선 방안에 대해 제안하였다. 사용성 평가에서 효율성 저하의 원인은 ECDIS의 문제를 시스템적으로 해결하지 않고 사용자에게 주의를 환기시키는 것으로만 해결하려고 했기 때문으로 분석되며, 우선적으로 ECDIS의 최신 S/W 유지, 전 세계 해역을 포함하는 신뢰성 있는 ENC 발행, S-mode 개발과 같은 정보 식별성 향상이 문제 해결에 필요하다.

KANO모델을 활용한 커피전문점의 품질분류와 고객만족개선지수 (Coffee Shops' Quality Classification and Customer Satisfaction Improvement Index by KANO Model)

  • 신봉섭;김기석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
    • 제12권7호
    • /
    • pp.346-357
    • /
    • 2012
  • 본 연구는 Kano모델을 활용하여 커피전문점의 다양한 품질요인들의 속성을 소비자의 관점에서 분류하였다. 또한, 각 품질요인들이 고객만족 또는 고객불만족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을 분석하기 위해 만족계수와 불만족계수를 산출하였다. 아울러, Kano모델의 한계점을 보완하고 품질요소들에 대한 커피전문점의 품질개선 여지를 파악하기 위해 잠재적 고객만족개선지수(PCSI Index)를 제시하였다. 분석결과, 매력적 품질요소에는 저렴한 가격, 실내인테리어의 고급스러움, 테이블과 의자의 편안함, 무선인터넷 사용의 편리성이 포함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원적 품질요소로는 매장의 청결 및 위생, 가격 대비 품질인 것으로 나타났다. 잠재적 고객만족개선지수(PCSI Index)를 산출하기 위해 카페베네와 스타벅스의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 저렴한 가격, 가격 대비 품질 등에서 고객만족 개선 여지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커피전문점 경영에 있어서 고객만족과 향후 경쟁력 확보를 위해 우선적으로 관심을 두고 개선해야 할 품질요소가 무엇인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해 준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버스정류장 시설 개선의 정량적 효과 분석: 이용자 만족도 조사 기반 CVM을 중심으로 (A Quantitative Analysis of Effects on Enhancing Bus Shelter Infrastructure: Focusing on Contingent Valuation Method by an User's Satisfaction Survey)

  • 김규혁;김명규;김나연;김희수;송태진
    • 한국ITS학회 논문지
    • /
    • 제23권2호
    • /
    • pp.89-105
    • /
    • 2024
  • 버스 이용자의 편의성 제고를 위해 정류장 시설을 개선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며, 기 시행된 정류장 개선 사업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사업의 지속적 확대를 위해 필수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버스정류장 인프라 개선의 정량적 효과를 추정하는 연구가 전무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정류장 개선에 대한 이용자 만족도에 기반한 조건부 가치측정법을 통해 버스정류장 인프라 개선에 대한 지불의사액과 편익-비용비를 추정했다. 결론적으로 거점지역에 위치한 정류장의 개선은 비용 대비 높은 편익을 달성할 수 있으며, 비거점지역에 위치한 정류장의 개선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버스정류장 시설 개선 사업 확장 시 근거자료로 활용될 것이라 판단된다.

정신모형과 감성 요소를 이용한 소프트웨어 사용성 평가 모델 개발 (An Evaluation Model for Software Usability using Mental Model and Emotional factors)

  • 김한샘;김효영;한혁수
    • 한국정보과학회논문지:소프트웨어및응용
    • /
    • 제30권1_2호
    • /
    • pp.117-128
    • /
    • 2003
  • 소프트웨어의 사용성은 소프트웨어 제품 평가시, 사용하기 쉬운 정도, 효율성의 정도, 만족도의 정도 등으로 판단되는 소프트웨어의 특성이다. 이러한 사용성은 소프트웨어 제품의 품질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소프트웨어 제품들은 그 자체의 사용성에 대해 평가를 받고 개선지침을 추출하여 이를 기반으로 지속적인 개선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제품마다 사용성 요소들의 중요도가 다르고, 같은 요소에 대해서도 사용자들은 서로 다른 환경과 지식으로 인해 엇갈린 평가를 내릴 수 있으므로 사용성 평가는 제품의 적합성을 판단하고 개선방향을 얻기 위해 다양한 요소들을 고려하여 개발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만족도 평가와 수행도 평가는 문제점의 원인 발견 평가결과를 수정에 반영하기 힘들고, 모든 영역에 적용되도록 만들어진, 획일화된 평가항목과 내용으로는 평가 대상 제품의 특징을 반영하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대상 제품의 평가 항목별로 사용자의 정신모형과 감성을 평가하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설계자들의 개념 모형과 사용자의 정신 모형의 일치여부를 평가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개선 지침을 제공할 수 있는 평가방법과 시스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고 보다 효과적으로 작업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사용시의 감성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시스템의 구성요소들을 분석하여 평가하고 개선 지침을 추출하는 감성요소론 기반으로 하는 평가방법을 합하여 개발한 평가 모델을 제안한다. 그리고 이 평가 모델에 대한 사례연구로 GUI 프레임워크를 사례로 채택해서 평가하고 개선 방향을 추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안한 평가 모델은 제품 사용자의 작업분석을 기반으로 추출된 작업항목에 대한 평가요소를 가지고 평가를 수행함으로서, 제품의 특성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수정되어야 할 항목을 정확히 나타내 줌으로서 효과적인 사용성 평가를 가능하게 할 것이다.

사용자 중심의 공공서비스를 위한 디지털 정부 서비스디자인 개선방안 연구 (A Study on the Design Improvement of Digital Government for User-Centered Public Services in Korea)

  • 이은숙;차경진
    • 한국IT서비스학회지
    • /
    • 제20권5호
    • /
    • pp.137-146
    • /
    • 2021
  • Recently, public participation in government policy design has been further expanded and public services perceived by users are expanding. At this time, the role of the digital government and the direction of the service to be pursued are user-centered, and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keywords of pre-emptive, preventive, and customized. In order to propose service quality improvement in the public sector, service user-centered classification and monitoring are integrated and the usability of government documents is improved.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needs of whether to provide a path for public participation. In the post-corona era, people are accessing quarantine information from the digital government every day. The government should proactively respond to the acceleration of digital transformation and the non-face-to-face demands of the people who experience non-face-to-face daily life. In order to evolve into a smart organization along with the innovation promotion plan and to provide customized services, it is necessary to use existing guides for institutional and technical improvement, along with new technology and data-based analysis, to strive for change management. The government should seek counter-measures that have advanced one step ahead by incorporating new high-tech IT with user-centered necessary services.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rovement plans to provide user-centered digital government service design when designing public services and collecting public opinions. Based on the e-government development model research and the existing research on user-centered service design in the public sector, institutional and technical measures are provided for the improvement of digital government service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