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studies

검색결과 2,704건 처리시간 0.026초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공간적 계층구조 기반 도시쇠퇴 패턴 분석 - 울산광역시를 중심으로 (Analysis of Urban Decline Patterns Based on Spatial Hierarchy Considering Regional Characteristics - Focusing on Ulsan Metropolitan City)

  • 박선영;정지연;유현우;정현우;이지영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571-585
    • /
    • 2021
  • 도시의 쇠퇴를 판단하고자 하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쇠퇴도시의 일반적인 특성을 활용하여 보편적인 수준에서의 도시쇠퇴를 분석하였다. 하지만 도시의 쇠퇴는 특정 도시의 고유한 특성에 기반하여 발생하기 때문에 이를 고려해야한다. 또한 도시쇠퇴는 미세 공간에서 발생하고 확산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작은 단위의 공간을 연속적으로 분석해야한다. 본 연구는 울산광역시를 대상으로 지역적 특성을 고려한 도시쇠퇴 측정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울산광역시의 도시쇠퇴를 시간적·공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역적 특성을 모델에 반영하기 위하여 전국 평균대비 울산광역시의 지표값을 계산하여 이를 가중치에 반영한다. 또한 행정동 단위로 도시쇠퇴를 분석한 후 보다 작은 단위 공간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기 위하여 공간적 계층구조를 활용해 집계구 단위로 도시쇠퇴를 분석한다. 모델을 활용하여 산출된 지수와 울산광역시의 사회현상을 연관지어 도시쇠퇴 패턴을 분석한 결과 도시쇠퇴가 군집을 이루며 시간이 흐를수록 인접지역으로 확산하는 형태를 보였다. 또한 신도심의 발생, 도시재생사업 등 도시 외적인 요소가 도시쇠퇴에 영향을 주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도시쇠퇴측정모델을 통해 도시의 쇠퇴와 심각도를 파악함으로써 도시재생사업 필요지역의 우선순위를 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행중이거나 완료된 도시재생사업의 효과를 검정할 수 있다.

지속 가능한 도시경영을 위한 중국 후난성 주요 도시의 공간적 성장 특징분석 (Analysis of Spatial Growth Characteristics of Major Cities in Hunan Province, China for Sustainable Urban Management)

  • 양리쥔;김현철;안철옥
    • 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 /
    • 제45권3호
    • /
    • pp.197-203
    • /
    • 2022
  • Urban space expansion is an important symbol of the urbanization process and has always been an important topic in urban studies. In addition, for sustainable city management, it is important to identify factors that can influence, such as the driving force and direction of urban space expansion, from the stage of establishing an urban development plan. To understand these factors, by observing the expansion process of a specific city, it is possible to sufficiently observe how the urban spatial dimension changes.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the spatial growth characteristics of the city are analyzed, and the influence and results of important factors are analyzed. For this purpose, this paper examines the changes in the city's outer boundary and land use structure through monitoring data on urban areas of 14 cities in Hunan Province, China from 2000 to 2016. Temporal and spatial regularity according to the urban space expansion of these cities were analyzed, and a preliminary assessment was made on whether the urban space expansion is coordinated with the urban population growth. The assessment result showed: (1) The urban space of most cities has been extended rapidly in 2000-2015 however, the rate and the intensity of urban space expanding has been declining. (2) The construction of the industrial park is the core driving force of the urban space expanding, and the change of the urban space structure is manifested as enclave city expansion because that the industrial park is usually far away from the city center. (3) The population agglomeration is another driving force of the urban space expanding. At this time, the urban space expanding is like boundary extension. (4) Except Changsha city, all of the cities has a high urbanization-area-growth elastic coefficient. It means that most of the cities should enhance the land use degree.

기후변화가 반영된 도시 열환경 시뮬레이션 모델의 연구 (A Study on the Urban Heat Simulation Model Incorporating the Climate Changes)

  • 강종화;김완수;윤정임;이주성;김석철
    • 한국대기환경학회지
    • /
    • 제34권5호
    • /
    • pp.697-707
    • /
    • 2018
  • A fast running model comprising the climate change effects is proposed for urban heat environment simulations so as to be used in urban heat island studies and/or the urban planning practices. By combining Hot City Model, a high resolution urban temperature prediction model utilizing the Lagrangian particle tracing technique, and the numerical weather simulation data which are constructed up to year of 2100 under the climate change scenarios, an efficient model is constructed for simulating the future urban heat environments. It is applicable to whole city as well as to a small block area of an urban region, with the computation time being relatively short, requiring the practically manageable amount of the computational resources. The heat environments of the entire metropolitan Seoul area in South Korea are investigated with the aid of the model for the present time and for the futu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urban temperature gradually increase up to a significant level in the future. The possible effects of green roofs on the buildings are also studied, and we observe that green roofs don't lower the urban temperature efficiently while making the temperature fields become more homogeneous.

탄소감축과 기후변화에 대응하기위한 프랑스의 관련 정책 및 도시계획 연구 (Studies of French policies and urban planning for responding to climate change and carbon reductions)

  • 이성근
    • KIEAE Journal
    • /
    • 제12권1호
    • /
    • pp.65-71
    • /
    • 2012
  • This study aims to find out a institutional base in urban planning and urban project, confronted with climate change and necessity of sustainable development in France. The establishment of Grenelle Environment Law became a start point to draw concrete effect and implement urban projects. The relation in urban policy on climate change and its concrete shape in urban projects are examined in this paper, especially focused on HQE2R criteria and Eco-Quartier projects. It provides various information on ways to improve Korea urban planning, urban revitalization and development projects, which is in similar situations and necessity in France. As shown in the case of France, for the sustainable urban development related on climate change, it is necessary of Central Government's firm and clear policy framework, as well as the institutions and organizations linked to actual process of local communities are required. In addition, through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applicable to urban development and architectural process, objective and rational framework for planning and design standards should be established.

Analysis of Urban Agricultural Effects by Factors According to the Urban Citizens Income Level: Socially Sustainable Effect, Negative Effect, and Economically Sustainable Effect

  • Hong, In Kyoung;Chae, Young;Jang, Yoonah;Lee, Sang-Mi;Su, Jung Nam
    • 인간식물환경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461-471
    • /
    • 2018
  • The role of urban agriculture should not be limited as a small-scale crop cultivation activity as it was, but it has to be considered as an entire process of a agriculture activity for the restoration of the city community. This study is based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has been a significant change in urban lifestyle and urban farming preference, considering the overall improvement in standard of living after implementation of five day work week system. It was conducted for urban citizens who were interested in actual urban agriculture for ages 19 and over who visited the Korea Urban Agriculture Exhibition in 2018. Only 115 valid samples were used for the empirical analysis. To analyze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effects of urban agriculture,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In order to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measurement variables of the effect, the variables that deteriorate the validity were removed and 15 variables of the urban agricultural effect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factor analysis, three factors were extracted as follows: socially sustainable effect, negative effect and economically sustainable effect. In order to examine the effects of urban agriculture depending on income level, the one-way ANOVA, which is a statistical technique for verifying differences in the sample means, was performed. The psychological stability of people, the recovery of humanity through communion with nature, and the vitalization of agriculture linked with local agriculture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income level. The negative effect showed no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income level. The improvement of the local environment was found to have an impact in relation with income level. We expect that there will be more studies on policies for the new types and models of urban agriculture in order to make it easier for urban citizens to approach it.

How Did the COVID-19 Pandemic Affect Mobility, Land Use, and Destination Selection? Lesson from Seoul, Korea

  • Lee, Jiwon;Gim, Tae-Hyoung Tommy;Park, Yunmi;Chung, Hyung-Chul;Handayani, Wiwandari;Lee, Hee-Chung;Yoon, Dong Keun;Pai, Jen Te
    • 토지주택연구
    • /
    • 제14권4호
    • /
    • pp.77-93
    • /
    • 2023
  • COVID-19 팬데믹은 정부의 예방 및 통제 조치, 사람들의 위험 인식의 변화, 그리고 생활 방식의 변화를 통해 상당한 사회적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정부의 방역정책과 도시공간의 잠재적 감염 위험에 대한 우려는 교통수단과 도시공간에 대한 선호를 크게 변화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COVID-19 팬데믹이후에도 도시 공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거나 새로운 형태로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코로나19 범유행에 따른 도시민의 이동수단 선호와 도시공간 이용 변화를 분석하여 도시공간이 현재와 미래의 감염병에 적응할 수 있는 회복탄력성과 잠재력을 탐색하고자 한다. 본 고는 이동 수단과 도시 공간에 대한 전반적인 선호도가 팬데믹 이전, 팬데믹 중, 팬데믹 종료에 따라 유의미하게 차이가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팬데믹 기간 동안 안전하다고 인식되는 개인 소유 차량과 녹지 공간을 제외하고는 전반적인 이동수단과 도시 공간에 대한 선호도가 감소하였다. 특히, 이동수단과 도시 공간에 대한 유행 중 선호도는 팬데믹 전에 비해 5배 가량 낮게 나타났다. 팬데믹 당시 긍정적으로 인식되었던 녹지 공간과 의료시설이 팬데믹 이전 선호도 수준으로 돌아올 것으로 예상되나, 다른 도시 공간 요소들은 뉴노멀을 맞이한 것으로 보인다. 본 결과는 코로나19 팬데믹이 도시민의 이동 수단과 도시 공간 선호에 큰 영향을 미쳤음을 시사한다.

An Introduction of Park-Based Mixed Use District around Urban Large Parks and Green Spaces - With Special Reference to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Urbanism to Mixed-Use Development -

  • Cho, Se-Hwan;Lee, Jeung-Eun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8권5_2호
    • /
    • pp.135-143
    • /
    • 2010
  • The 21st century is currently undergoing an era of urban regeneration.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cure and expand the green infrastructure with zoning regulation in the context of urban regeneration. This objective also seeks a way of urban regeneration through the use of existing large parks by employing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around the periphery of large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This research examines the limits, problems of existing single- and mixed-use zoning districts for securing of green infrastructure by book review. This research finally advocates introducing a another type of urban mixed-use districts, namely park-based mixed use district and its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by using landscape ecology and landscape urbanism as a theoretical basi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large parks and green spaces should be considered as one of patch in landscape ecology. This research also discusses the possibility that, as patches have ecotones with greater biodiversity in the peripheral areas of it, the green infrastructure can be constructed around the periphery of large urban large parks and green spaces by introducing cultural ecotone of nature's convergence with the city. As a result, the green infrastructure and high density of land use and using behaviour can be increased.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encourage the convergence of parks and the city, with the park being used as the main function; residential, commercial, business and cultural uses etc. are partial functions. In order for the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to be designated, the size of large urban parks and green spaces, as well as location, city function and condition of the peripheral areas all need to be considered. The necessity to examine the designated width of the park-based mixed use districts and the form of the peripheral area was also discussed. This research, which is based on investigative research results, suggests that further in-depth and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actual condition of urban large parks and peripheral areas needs to be completed. Specialists and other interested parties, analysis and investigation on related plans and designs are also needed for the institutional practice.

도시계획과 연계한 공간구조의 변화 특성 분석 - 공간통계기법을 이용하여 (Analysis on Change Characteristics of Spatial Structure Related with Urban Planning : Using Spatial Statistical Method)

  • 서경민;김호용;이성호;권태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1-14
    • /
    • 2014
  • 본 연구에서는 효율적인 도시 관리를 위하여 대구시 도시공간구조의 시계열적 공간변화 특성을 도시계획과 연계하여 분석하였다. Getis-Ord $G_i^*$ 방법론을 활용하여 1970년부터 2010년까지 대구시의 도시성장과정을 분석한 결과, 대구시는 도시성장단계 중에서 역도시화 단계에 해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대구시는 도시계획적 차원에서 다핵도시를 지향함으로써 역도시화가 나타난 2000 이후의 도시성장단계는 더 이상 전통적인 이론으로 설명하기 어려웠다. 이에 2000년 이후 다핵권역의 세부적인 공간구조변화를 분석하기 위하여 인구, 지가, 고용 요인의 변화를 바키측 정치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구시는 다핵화가 진행 중이었으며 도심권역과 칠곡권역은 분산형, 안심 달서권역은 집중형, 성서권역은 집중 분산형태로의 공간구조변화가 나타났다. 지역에 따라 다른 도시공간구조를 나타내는 도시의 효율적인 관리를 위해서는 권역별 특성을 고려한 도시계획과 개발계획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도시균형발전을 위한 도시공간구조 변화 진단 (Analysis of Changes in Urban Spatial Structure for Balanced Urban Development)

  • 김호용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40-51
    • /
    • 2021
  • 본 연구의 목적은 지속 가능한 도시성장 관리를 위한 일환으로 도시균형발전을 위해 공간모델링 기법을 이용하여 도시공간 구조 진단하는 것이다. 도시공간구조는 다양한 활동의 상호작용이므로 공간구조 요소들의 패턴 변화 분석과 함께 요소들의 분석 결과를 연계하여 살펴볼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인구, 교통 분야에 대하여 접근하였으며, 대상지의 관련 법령에 따라 정의된 다양한 생활권별 공간구조를 분석하였다. 인구는 시계열별 변화 데이터를 공간통계기법인 Getis-Ord Gi* 기법에 적용함으로써 인구 집중지역에 대한 군집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교통은 출퇴근 교통 O-D 데이터를 Social Network Analysis 기법에 적용함으로써 중심성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대상지 전체적으로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었으며, 중심성의 변화가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른 공간요인과 연계하여 해석함으로써 생활권별 도시공간구조를 전망하고 지속 가능한 도시성장관리를 위한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해당 도시에서 진행되고 있는 도시정책뿐만 아니라, 전 세계 많은 도시에서도 급속한 도시발전과 통제할 수 없는 개발에 대응하기 위하여 도입하고 있는 다양한 도시 성장 관리 정책의 의사결정을 위한 도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도시공원의 양적·질적 평가를 통한 공원서비스 수준 분석 - 제주특별자치도 동지역을 중심으로 - (Analysis of Park Service Levels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Evaluation of Urban Parks - Dong areas of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 홍경아;임현우;박수국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6권1호
    • /
    • pp.41-55
    • /
    • 2023
  • 도시공원은 도시 자연경관을 형성하고 도시민의 건강과 휴식공간을 제공한다. 또한, 도시민의 정서생활 향상을 도모하는 도시계획 시설이다. 현재 도시공원은 국토 및 도시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로 양적확보뿐만 아니라 질적 관리가 필요해지고 있으며, 수요자 중심으로의 시각 전환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민이 공원으로부터 받는 서비스 수준을 파악하기 위해, 도시인구 수요에 맞게 양적 공급적정성을 분석하고, 조성된 공원의 질적 수준을 평가하였다. 평가를 바탕으로 양적인 측면과 질적인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도시공원의 분배적 형평성을 판단하였다. 도시공원의 양적 공급서비스 수준과 질적 평가 결과, 도시택지개발로 공원의 부지가 확보되고 최근에 공원이 조성된 지역을 중심으로 높은 수준의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최근에 조성된 공원일수록 다양한 시설을 설치함으로써 공원의 질적 수준을 높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 연구방법을 통해 도시공원 서비스 공급 시 양적·질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적용한다면, 더 효과적인 공원녹지계획이 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