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rban heritage

검색결과 199건 처리시간 0.024초

관광 자원으로서 전통 음식의 매력성에 따른 구매 의사에 관한 연구 (Study on the Purchase Intention for Traditional Food according to the Attractiveness of Traditional Food as a Tourism Resource)

  • 박보미;윤유식;이경희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5호
    • /
    • pp.819-826
    • /
    • 2009
  • The present study, we purposed to surveyed how much Korean natives' valuation of value traditional food as a tourism resource and their perception of traditional food, and to measured the attractiveness and potential of traditional food. For this purpose, we reviewed previously published studies research on traditional food and tourism resources, and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urban citizens in Seoul on traditional food. Three hundred distributing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recovering 242 of them were returned. In this study, SPSS for Windows 16.0 was used for empirical analysis and the subjects' 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In addition, reliability analysis were performed to test the overall reliability of the empirical survey and collected data.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integrate variables, and the effect of the attractiveness of traditional food on purchase intention for traditional food was tested through multiple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Inquiring By surveying into the attractiveness of traditional food as a tourism resource, this study attempted to formulate a causal relation model among major variables, and examined the effects of the attractiveness of traditional food as a tourism resource on purchase intension based on Korean natives’ perception of and attitude toward traditional food, which is a Korean cultural heritage. Furthermore, and furthermore, made we provided suggestions for the improvement and development of traditional food.

  • PDF

아로요 파크웨이 조경설계 (Streetscape Design of Arroyo Parkway, Pasadena, California)

  • 정욱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105-117
    • /
    • 2004
  • The Pasadena Freeway follows the Arroyo Seco through foothills and scenic passes to link Downtown Los Angeles with Pasadena. The approximately 10 mile road was the first freeway built in the West during the 1930's and is today designated as a Historic Parkway. As it approaches Pasadena, it terminates at a traffic light intersection at Glenarm Street, and then becomes a commercial road the Arroyo Parkway. This one and a quarter mile long, north south road moves significant volumes of traffic both into and out of Pasadena. The Arroyo Parkway is thus a major 'gateway' and an important axis of orientation and movement, terminating in the City's core civic, commercial and retail district. Planting, lighting, signage, paving, furnishing and fixtures ought to all be properly designed and coordinated to create a distinctive 'gateway' experience arriving to Pasadena and driving along the Arroyo Parkway. Alternate design studies, developed in discussion with City officials and others involved in the redevelopment of the area, would need to be done to properly decide on the best direction. Issues of heritage and traditional streetscape will likely have to be reconciled with both the reality of the vehicular character of the road and more contemporary themes. Obviously with such large parcels of property available in the Arroyo Fair Oaks corridor, there is a huge potential for redevelopment and building. This potential would only be strengthened by the Light Rail Line and its stations, the improvements to the Arroyo Parkway, and the redevelopment of the Arts Center College of Design. Guides and controls to the development process, including programming and physical design studies, would need to be developed in order to ensure that the maximum potential for the corridor be realized. This concept proposal suggests that the whole strip might be developed as a Arts and Technology corridor, with special emphases on education, public culture, media and lifestyle. The full programming possibilities need to be further developed. Additionally, appropriate urban design guidelines to ensure high quality development also need to be incorporated into an overall development plan.

지역문화와 기술이 융합된 새로운 스마트시티 구축 (Building a New Smart City: Integrating Local Culture and Technology)

  • 심기백;황우성;최명렬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193-198
    • /
    • 2019
  • 스마트시티의 도시 환경은 최신 기술로 인해 더욱 편리해지고 있지만, 삶의 만족도는 기존 도시보다 향상되지 못하고 있다. 이는 스마트시티를 건설할 때 기술에만 집중할 뿐 지역 문화의 중요성을 간과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캄보디아에서 스마트시티에 적용되는 기술로 지역 문화를 활성화 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한다. ICT, IoT 기술 등을 사용하여 다양한 문화 프로그램을 연계하는 방법 및 문화유산의 효과적 계승을 돕기 위한 플랫폼을 제안한다. 그러므로, 스마트 시티와 문화와의 융합은 지역 고유의 콘텐츠를 발전시키고 도시의 시민과 관광객의 방문을 유도하여 경제적 이익을 창출할 것이다. 또한, 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정체성 확립을 돕고, 첨단 기술과 지역 문화가 통합된 스마트시티 구축의 방법론은 유사한 다른 도시에 적용을 가능케 함으로 지역사회와 국제사회에 기여한다.

소셜데이터에 나타난 고창군의 농촌관광 이미지와 주요 활동공간 - '고창군 여행' 키워드를 중심으로 - (Rural Tourism Image and Major Activity Space in Gochang County Shown in Social Data - Focusing on the Keyword 'Gochang-gun Travel' -)

  • 김용진;손광렬;이동채;손용훈
    • 농촌계획
    • /
    • 제27권3호
    • /
    • pp.103-116
    • /
    • 2021
  •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rural tourism image perceived by urban residents were analyzed through text analysis of blog data. In order to examine the images related to rural tourism, blog data written with the keyword "Gochang-gun travel" was used. LDA topic analysis, one of the text mining techniques, was used for the analysis. In the tourism image of Gochang-gun, 9 topics were derived, and 112 major places appeared. This was divided into 3 main activities and 5 object spaces through the review of keywords and the original text of blog data.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traditional main resources of the region, Seonun mountain, Seonun temple, and Gochang-eup fortress, formed topic. On the other hand, world heritage such as dolmen and Ungok wetland did not appear as topic. In particular, the farms operated by the private sector form individual topics, and the theme farm can be seen as an important resource for tourism in Gochang-gun. Also, through the distribution of place keywords,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vel by region and the usage behavior of visitors. In the case of Gochang-gun, there was a phenomenon in which visitors were biased by region. This seems to be the result of Gochang-gun seeking to vitalize local tourism focusing on natural, ecological, and scenic resource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plan for balanced regional development and develop other types of tourism resources. This study is different in that it identified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ural tourism images in the region perceived by visitors, and the status of tourism at the regional level.

Senneh Gelim: The Magnificent Living Carpet Tradition of Iranian Kurdish Women

  • Reyhane MIRABOOTALEBI
    • Acta Via Serica
    • /
    • 제8권1호
    • /
    • pp.1-30
    • /
    • 2023
  • Traditional Kurdish weavings are among the world's most ancient living textile traditions. One of the largest regional ethnic and linguistic groups, Kurds have inhabited a significant part of Western Asia for millennia. Historically, Kurdish territories were crisscrossed by old and important trade routes, including the Silk Roads. This led to the formation of some of the most significant Kurdish artistic and cultural traditions, including textiles, which influenced and were influenced by those of other non-Kurdish ethnic groups from Caucasia to Central Asia and beyond. One example of Kurdish carpet traditions born in the eighteenth century at the cross-sections of Safavid (1501-1736) urban carpets workshops and centuries-old indigenous Kurdish tribal/rural weaves is senneh gelim or sojaee. A finely flatwoven carpet that was exchanged regionally and internationally as a diplomatic gift and a highly prized commodity. Although in decline, senneh gelims continue to be made by Kurdish women weavers in their original birthplace Sanandaj, the provincial capital of Iranian Kurdistan to date. This study adopts an inter-disciplinary approach to present an image of senneh gelim and women gelim weavers, tracing the developmental trajectories of the craft from the eighteenth century to the present time by drawing on extant art-historical and social scientific studies along with primary ethnographic data collected in Iranian Kurdistan (2018-2019). It investigates the craft tradition's historical origin, various aspects such as techniques, materials, aesthetics, functions, and meanings, and how these transformed over time. Additionally, the paper looks at the social contexts of production, focusing on women carpet weavers and how their socioeconomic and cultural situation has formed senneh carpet production in the past and present and the implications for long-term preservation.

남한산성 소나무림의 19년간(1993~2011년) 식생구조 변화와 관리방안 (Management Planning and Change for Nineteen Years(1993~2011) of Plant Community of the Pinus densiflora S. et Z. Forest in Namhan Mountain Fortress, Korea)

  • 이경재;한봉호;이학기;노태환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559-575
    • /
    • 2012
  • 본 연구는 2010년 세계문화유산 잠정목록에 등록된 국가사적 제57호 남한산성을 대상으로 과거 문헌자료와 현장조사를 통해 식생구조 변화를 밝히고 역사 문화적 가치가 높은 남한산성의 식생복원을 위한 관리방안을 수립하고자 실시하였다. 남한산성 식생의 비오톱 분석 결과 대상지 면적 $2,611,823m^2$ 중 참나무류림이 40.8%이었고, 천이 가능성이 높은 소나무림이 16.5%로 청량산 일원과 서문에서 북문 일원, 남문에서 청량산 사이의 산 능선에 분포하고 있었다. 천이 가능성이 낮은 소나무림은 4.7%로 남한산초등학교 뒤 산림에 주로 분포하고 있었고, 천이가 진행중인 소나무림은 2.9%, 도태중인 소나무림은 2.1%였다. 19년간 식생구조 변화 분석 결과 소나무림${\rightarrow}$소나무 및 참나무류 혼효림${\rightarrow}$참나무류림${\rightarrow}$서어나무림으로 천이가 예측되었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참나무류의 세력이 확대되었다. 남한산성 소나무림의 식생 관리방안은 식생구조 특성을 고려하여 관리권역을 구분하였고, 관리권역은 소나무림 경관유지지역 $553,508m^2$, 소나무림 경관복원지역 $114,293m^2$, 적극적 관리지역 $205,306m^2$, 자연천이 유도지역 $1,169,973m^2$이었다.

남원 몽심재(夢心齋)의 정원구성과 조형언어 해석 (A Study on the Space Organization and Garden Language of Mongsimjae in Namwon)

  • 노재현;최영현;신상섭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1호
    • /
    • pp.32-45
    • /
    • 2014
  • 본 연구는 문헌 및 현장조사를 통해 전북 남원 몽심재의 공간구성과 정원 조형언어의 특성을 고찰한 것으로 특히 정원내 존치된 거석과 연당내 바위글씨를 중심으로 한 분석과 해석을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당호(堂號) "몽심재(夢心齋)"에는 죽산(竹山) 박씨(朴氏) 중시조인 송암(松菴) 박문수(朴門壽)의 귀거래(歸去來)와 불사이군(不事二君)의 선비정신이 오롯이 새겨져 있다. 사랑마당에 조성된 연당(蓮塘)은 몽심재의 조영자 '연당(蓮堂) 박동식(朴東式)'을 상징하는 정원시설이며, 후원과 연결된 대나무동산은 몽심재 주인의 본관(本貫) '죽산'과 무관해 보이지 않는데 이러한 의도는 화계(花階)를 통해 외원(外園)을 정원 내 자연스럽게 끌어들이고 있음에서도 엿보인다. 사랑채의 좌향은 축좌미향(丑坐未向)인데 비해 안채와 대문채는 서쪽으로 편향 배치시킨 것은 연당으로의 시선을 자연스럽게 하는 동시에 사랑마당에 존치된 거석으로 인한 폐쇄감을 완화시킨 것으로 해석된다. 한편 정원요소로 적극 활용된 3기의 거석에 음각된 바위글씨 '존심대(存心臺)'는 이곳이 남원 입향조 행촌(杏村) 박자량(朴子良) 이래 남원 홈실에 정착한 죽산 박씨가 '수심 양성의 터'임을 일러주며, '정와(靖窩)'는 몽심재의 3대 가주(家主) '정와 박해창(1876~1933)이 거처하는 편안한 집'임을 알리는 낙관(落款)으로 이해된다. 연당내 중도(中島)는 절삭(切削)된 정사각형 형태로, 수위에 따라 '섬' 또는 '디딤돌'의 2가지 용도로 활용되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중도 측면에 새겨진 바위글씨를 통해 연당의 명칭이 '천운담(天雲潭)'임을 알 수 있다. 또한 호안 마감석에 새겨진 바위글씨 '임리(臨履)'는 "시경(詩經)"의 구절을 인용한 것으로 '항상 자신의 처신에 신중을 기하는 올곧은 선비가 되라'는 뜻을 함축하며, '정축(渟?)'은 죽산 박씨의 재화가 영원히 머물기를 희구하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덧붙여 '천창애(千蒼崖)'는 후원 화계와 연계된 대나무숲을 '하늘로 치솟은 푸른 대나무 숲 언덕'에 비유하는 것으로 '곧은 성정으로 욕심을 비우자'는 가주의 가치관이 담긴 것으로 판단된다. 궁극적으로 거석과 연당에 바위글씨는 몽심재와 주인 죽산 박씨가 올곧은 성정과 하늘의 도움으로 충만한 부귀를 지속하라는 염원을 담는 상징적 조형언어로 해석된다.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 본 조선시대 중앙관아의 공간구조와 조경기법 (A Study on the Spatial Structure and landscape techniques of the Central Government Office(中央官衙) reviewed through the 'Sukchunjeado(宿踐諸衙圖)')

  • 신상섭;김현욱;박영관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7권3호
    • /
    • pp.42-59
    • /
    • 2014
  • 조선시대 후기 고위관료였던 한필교(1807~1878)의 화첩 "숙천제아도(宿踐諸衙圖)"를 통해본 중앙관아의 공간구조와 조경기법에 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방전도묘법(四方顚倒描法)'으로 그려진 "숙천제아도"는 조선시대 중앙 및 지방관아의 공간구조와 문화경관 특성을 파악할 수 있는 독보적 실증사료로서 가치를 지닌다. 조선의 정궁(경복궁) 광화문 밖 육조(六曹)거리에 자리 잡은 중앙관아는 장방형 부지에 중심시설(당상대청)과 부속 건물이 서열에 따라 상 하 또는 좌 우로 분산되는 구조인데, 주 건물은 남향으로 배치되었으며, 행정편의와 환경성, 그리고 유교적 규범성의 실천 등 위계적 토지이용 체계를 반영하고 있다. 관리들의 직무공간인 당상대청과 향청 등 주요건물은 너른 네모꼴 앞마당을 두어 실용성 위주의 중정(中庭)을 구축하였고, 중심건물(당상대청)은 연못과 정자 등 의미경관을 반영한 후원을 가꾸었다. 특히, 토지이용에 있어서 적극적 공간과 소극적 공간이 교차 반복<동(動)과 정(靜), 채(棟)와 마당(庭), 정(庭)과 원(園)>되는 중용적 사유체계를 보여준다. 중앙관아조경의 특징은 실용적 성격의 앞마당과 경관적 측면이 강조된 뒤뜰을 연계시킨 외부공간의 확장성(前庭+棟+後園), 그리고 환경쾌적성, 경관성, 상징성, 방화용수 목적 등이 복합적으로 고려된 수경시설(方池)의 도입을 들 수 있다. 또한 휴양과 심신수양을 도모하기 위한 정자의 도입 및 후원의 발달, 정심수(庭心樹 : 연, 버드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등)로서의 의미부여와 제한적인 식물도입, 그리고 심미성, 관념성, 실용적 가치 등을 중시한 환경설계기법이 추출된다. 이러한 중앙관아의 조경기법은 우리나라 궁궐, 사찰, 서원, 상류주택 등 전통공간에서 유사하게 추출되는 보편성이자 특수성이라 하겠다.

별업(別業) '유회당' 원림 하거원(何去園)의 의미경관 해석과 환경설계기법 (A Study on the Meaning Landscape and Environmental Design Techniques of Yoohoedang Garden(Hageowon : 何去園) of Byulup(別業) Type Byulseo(別墅))

  • 신상섭;김현욱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6권2호
    • /
    • pp.46-69
    • /
    • 2013
  • 권이진(1668~1734)의 문집(유회당집)에 수록된 기문에 근거하여 별업형 별서 유회당 원림(하거원)의 의미경관과 환경설계기법을 추적하였는바, 첫째, 유회당 권이진은 대전 보문산 남쪽 무수동 마을 뒷동산 일대에 20여 년 동안 3단계에 걸쳐 선묘, 별업, 원림, 강학처 등 별업형 별서원림을 조성했다. 즉, 초창기 마을 뒷동산에 부친의 묘를 자리 잡아 별업(유회당)을 조성했고, 중반기에 연못(납오지), 원림(반환원), 선묘를 보호하고 후손의 강학을 위한 여경암과 거업재 등을 조성했으며, 후반기에 유회당을 증축하고, 동쪽 영역을 확충하여 하거원 원림을 완성했다. 둘째, 풍수적 입지 체계하의 무수동 마을에 자리 잡은 유회당 별업은 본제 살림집(안동 권씨 종가), 별업(유회당), 선묘소, 하거원(원림), 여경암(강학처) 등 별업형 별서가 갖추어야 할 공간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는 대표적 사례라 하겠다. 셋째, 유불선(儒佛仙)에 기반한 의미경관 요소가 작용되었는데, (1) 부모님 추모, (2) 가문 화합, (3) 절개, (4) 덕, (5) 고매한 인간 염원, (6) 상서로움, (7) 은일자의 삶, (8) 가문 번영과 학문 발전, (9) 선조의 은혜, (10) 선경세계, (11) 묘역보존, (12) 불로장생의 염원 등을 들 수 있다. 넷째, 선영 묘역을 조성한 후 13년에 걸쳐 조성한 하거원은 계류를 따라 3개의 연못이 어우러진 수경원을 조성했으며, 5개의 대(臺)와 3곳의 대숲, 그리고 석가산 등을 갖추어 선경의 이상세계를 구축하였다. 다섯째, 소나무, 단풍, 철쭉, 진달래, 감나무, 대나무, 버드나무, 석류, 사계화, 산당화, 왜철쭉, 복숭아, 연꽃, 국화, 작약, 모란, 장미, 벽오동, 무궁화, 배롱나무, 자두와 살구, 매화, 반송, 잣나무, 회양목, 단내 등 수 많은 조경식물종을 도입하여 시정(詩情)을 통한 낭만성, 의인화를 통한 상징성과 이상향 표출, 사계절 경색을 고려한 다양성 등을 꾀하였다. 여섯째, 경관석의 활용은 자연암석을 그대로 이용하는 진경(眞景)기법, 수경요소와 연계, 석연지와 화계 등을 이용한 점경물 기법, 의미경관의 진수를 보여주는 축경형 석가산기법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수경관의 특징은 자연계류와 지형조건(동쪽계곡)을 고려한 물의 적극적 활용, 계류를 따라 원림의 각 공간을 리듬감 있게 물길로 연계하는 생태적 코리도 역할, 활수담, 몽정, 호수와 복수 등 철학적 가치를 연계시킨 의미경관의 대입, 물성을 이용한 청각과 시각 등 이목구비(耳目口鼻)의 오감만족 체험 공간화 등을 들 수 있다.

국가 지정 문화재 '명승'의 유형과 팔경(八景), 동천구곡(洞天九曲)과의 연관성 (Types of Scenic Sites of State-Designated Cultural Property and Relationship between Pal-Kyung and Doncheon-Gugok)

  • 노재현;신상섭
    •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 /
    • 제43권1호
    • /
    • pp.128-159
    • /
    • 2010
  • 국내 명승 지정 추이와 유형 및 변천 그리고 분류상의 제문제를 검토하고 국가 지정 문화재인 명승 총 68건을 대상으로 전래팔경 및 동천구곡 그리고 현대팔경과의 연관성을 추적하여 전래경승적 의미와 가치가 현재에도 유전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문화경관적 성격을 갖는 명승의 지정이 늘고 있음은 초기 문화재보호법상 지정 사유로 명기된 문화적 활용성 역사성 문학성 사상적 배경 등의 개념을 적극 수용하기 위한 취지로 이해됨에 따라 고정원과 전망점 등 문화적 명소 개념이 명승 지정의 중요 기준으로 자리 잡고 있음은 매우 고무적 현상이다. 둘째, 명승 지정 유형별로 분류하면 '자연경관이 뛰어난 곳'이 30건(44.16%), '저명한 건물 또는 정원 및 중요한 전설지' 21건(30.9%),' 저명한 경관 전망지점' 9건(13.2%) '역사 문화 경관적 가치가 뛰어난 곳' 7건(10.3%) 그리고 '동 식물의 서식지로서 경관이 뛰어난 곳' 1건 순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현재 명승 분류기준에 따르면 팔경지로 분류되는 명승은 7건, 동천으로 분류되는 명승은 3건이며 구곡으로 분류되는 명승은 없는 것으로 볼 때, 외형적으로 전체 명승 중 팔경 및 동천구곡으로 분류되는 명승은 도합 10건(14.7%)에 지나지 않는다. 넷째, 문헌자료 및 인터넷 분석에 따른 전래팔경 관련 명승은 46건(67.7%)이고 이 중 경관대상(장)으로 팔경에 포함된 명승은 38건(55.9%), 경관시점(장)으로 팔경에 포함된 명승은 8건(11.8%)으로 집계됨에 따라 총 46건(67.7%)의 명승이 전래팔경과 관련된 명승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동천과 관련된 명승은 8건(11.8%)이었고 구곡과 관련된 명승은 4건(5.9%)이었으며, 총 40건(48.9%)의 명승이 현대팔경으로 설정되어 지역 명소로서의 역활과 관광홍보 콘텐츠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여섯째, 전래팔경 및 현대팔경 또는 동천구곡과 관련된 명승은 총 62건(91.2%)으로 외형적 분류와는 달리 지정 명승 대부분은 경관에 내재된 역사적 문화적 의미와 깊숙이 관련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