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upland soil

검색결과 784건 처리시간 0.02초

답전윤환 인삼재배 예정지 토양의 물 이동특성 평가 (Assessment on Water Movement in Paddy-Upland Rotation Soil Scheduled for Ginseng Cultivation)

  • 허승오;이윤정;연병열;전상호;하상건;김정규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04-209
    • /
    • 2009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assess water movement in paddy-upland rotation soil scheduled for ginseng cultivation through the measurement of infiltration and permeability of soil water. Soil sample was divided with four soil layers. The first soil layer (to 30cm from top soil) was loamy sand, the second and the third soil layers (30$\sim$70 ㎝) were sand, and the fourth (< 120 ㎝) was sandy loam. The soil below 130 ㎝ of fourth soil layer was submerged under water. The shear strength, which represents the resisting power of soil against external force, was 3.1 kPa in the first soil layer. This corresponded to 1/8 of those of another soil layer and this value could result in soil erosion by small amount of rainfall. The rates of infiltration and permeability depending on soil layers were 39.86 cm $hr^{-1}$ in top soil, 2.34 cm $hr^{-1}$ in 30$\sim$70 ㎝ soil layer, 5.23 cm $hr^{-1}$ and 0.18 cm $hr^{-1}$ in 70$\sim$120 ㎝ soil layer, with drain tile, and without drain tile, respectively. We consider that ground water pooled in paddy soil and artificial formation of soil layer could interrupt water canal within soil and affect negatively on water movement. Therefore, we suggest that to drain at 5 m intervals be preferable when it makes soil dressing or soil accumulation to cultivate ginseng in paddy-upland rotation soil to reduce failure risk of ginseng cultivation.

우리나라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의 제(諸) 특성(特性) 연구(硏究) -I. 영남지역(嶺南地域) 토착(土着)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접종효과(接種效果)와 취락형태적(聚落形態的) 분포특성(分布特性) (Characteristics of Indigenous Rhizobium to Korean Soils -I. Symbiotic Potentials of Bradyrhizobium japonicum Populations and Their Colony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in Yeongnam Soils)

  • 강위금;;정연태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23권1호
    • /
    • pp.60-66
    • /
    • 1990
  • 영남지역(嶺南地域)의 수종(數種) 토양통(土壤統)에서 경작여부(耕作與否)에 따른 토착(土着)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분포특성(分布特性)을 구명(究明)하였다. 이를 위하여, 토양통(土壤統)이 서로 다른 5개(個) 지점(地點)의 경작지(耕作地)와 미경작지(未耕作地) 토양(土壤)의 대두(大豆) 접종효과(接種效果)(Soil inoculum potential)와 토착근류균(土着根瘤菌)의 취락형태적(聚落形態的) 분포특성(分布特性)을 조사(調査)하였는데 그 결과(結果)는 다음과 같았다. 1. 영남지역(嶺南地域)에 분포(分布)한 토착(土着)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밀도(密度)는 경작지(耕作地)의 경우 $10^4Cells/g$. soil 이상(以上)이었으나 미경작지(未耕作地)에서는 경미(輕微)하였다. 2. 경작지(耕作地) 토양(土壤)의 대두(大豆) 접종효과(接種效果)(Soil inoculum potential)는 NifTAL의 우수근류근(優秀根瘤菌) 접종제(接種劑) TAL 보다 좋았고,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질소고정(窒素固定) 특성면(特性面)에서 근류(根瘤) 무게가 근류수(根瘤數)를 보상(報償)하였다. 3. 토착(土着)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취락형태별(聚落形態別) 분포(分布)는 경작여부(耕作與否)에 따라 상이(相異)하였는데, "Dry"형(形) 기경지(旣耕地)에서, "Wet"형(形)은 미경작지(未耕作地)에서 각각(各各) 우점경향(優占傾向)을 보였다. 4. 토착(土着)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취락형태별(聚落形態別) 공생효과(共生效果)는 "Dry"형(形)이 "Wet"형(形)보다 좋았다. 따라서 숙전(熟田)에서의 대두생육(大豆生育)은 "Dry"형(形) 토착(土着) 대두근류균(大豆根瘤菌)의 밀도(密度)에 크게 영향(影響)을 받을 것으로 판단(判斷)되었다.

  • PDF

답전윤환에 따른 토착 Bradyrhizobium japonicum의 서식밀도와 토양 이화학성과의 관계 (Relatedness of Naturalized Bradyrhizobium japonicum Populations with Soil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s Affected by Paddy-Upland Rotation)

  • 박창영;윤문태;최상욱;하호성;강위금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40권5호
    • /
    • pp.438-441
    • /
    • 1997
  • 칠곡통의 식양질 논에서 답전윤환시 밭작물로 콩을 재배했을 때 Bradyrhizobium japonicum의 밀도변화와 토양 이화학성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B. japonicum의 서식밀도는 계속 논이용구에서 $10^1cells/g.soil$ 수준이었고 답전윤환구에서는 $10^1cells/g.soil$ 이상 수준이었다. 그리고 시비수준별 균주 밀도는 무비구가 관행시비구보다 2년주기 윤환시 1.9배, 3년주기 윤환 및 4년연속 밭이용시는 10배가량 높은 수준이었다. 토착 B. japonicum 밀도변화는 토양의 유기물함량$(r=0.83^*),\;Ca/K(r=0.74^*)$$(Ca+Mg)/K(r=0.72^*)$와 정상관 관계를 보였고 토양경도와는 부의 상관관계(r=-0.73*)를 보였다. 그리고, 계속 논이용구 대비 답전윤환구에서의 B. japonicum 밀도증가는 질소고정잠재능의 증가로 이어졌다.

  • PDF

밭토양의 물리성(物理性)과 수분문제(水分問題) (Soil Physical Properties of Upland Soil in relation to Soil Moisture)

  • 유순호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6권1호
    • /
    • pp.61-65
    • /
    • 1973
  • Analysis of data in the Official Soil Series Description showed the dominant texture of upland soils is SiL, of which available water range is 21.1% highest among textures. Analyses of data in the N, P, K Trials on Barley in 1964/65-1968/69, and N, P, K and Soil Improvement Trials on upland Crops in 1961-1969 were made to relate fertilizer response to the amount of rainfalls during the growing season. Correlation between nitrogen response and the amount of rainfalls was observed but not between P and K and the amount of rainfalls. Some of physical properties were discussed to seek feasible means for increasing available water.

  • PDF

Assessment of Soil Compaction Related to the Bulk Density with Land use Types on Arable Land

  • Cho, Hee-Rae;Jung, Kang-Ho;Zhang, Yong-Seon;Han, Kyung-Hwa;Roh, Ahn-Sung;Cho, Kwang-Rae;Lim, Soo-Jeong;Choi, Seung-Chul;Lee, Jin-Il;Yun, Yeo-Uk;Ahn, Byoung-Gu;Kim, Byeong-Ho;Park, Jun-Hong;Kim, Chan-Yong;Park, Sang-Jo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6권5호
    • /
    • pp.333-342
    • /
    • 2013
  • Soil compaction is affected by soil texture, organic matter (OM), strength (ST) and soil moisture, which is difficult to understand the degree and effects of related facto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ssess the impact of them on the compaction with bulk density (BD). The analysis was conducted with data collected from national-wide monitoring sites including 105 upland soils, 246 orchard soils, and 408 paddy soils between 2009 and 2012. The distributions of soil physical properties were measured. The correlation and multi linear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etween soil physical properties using SAS. The regression equation of BD(y) includes ST, gravitational water contents (GWC), and OM as variables commonly, having additional factors, clay content and sand content in paddy soil and upland soil for only subsoil (p<0.001). Our results show that the BD could be explained about 40~50% by various physical properties. The regression was mainly determined by ST in orchard and upland soil and by the GWC in paddy soil. To mitigate soil compaction,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proper level of OM in upland soil and to consider the moisture condition with soil texture in paddy soil when making work plan. Furthermore, it would be recommended the management criteria classified by soil texture for the paddy soils.

논 . 밭재배에 따른 인삼의 생육 및 성분 특성 비교 (Comparison of Growth Characteristics and Compounds of Ginseng Cultivated by Paddy and Upland Cultivation)

  • 이성우;강승원;김도용;성낙술;박희운
    • 한국약용작물학회지
    • /
    • 제12권1호
    • /
    • pp.10-16
    • /
    • 2004
  • 밭재배와 논재배처럼 토양환경이 상이한 조건에서 재배된 인삼의 지상부 생육의 경시적 변화 및 근부특성과 성분함량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금산지방의 직파재배 4년근 밭재배 및 논재배 농가포장을 선정하여 시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논토양의 미사와 점토함량 그리고 토양수분과 공극율은 밭토양보다 뚜렸히 높았는데, 재배기간 동안의 토양수분함량 범위는 논재매 $17.5{\sim}19.5%$로 적당하였으나 밭재배는 $7.0{\sim}12.8%$로 낮은 수분함량을 보였으며, 논토양은 밭토양보다 인산과 칼슘함량이 적으나 염류농도와 유기물, 질산태질소, 칼륨, 마그네슘 함량이 높아 비교적 양호한 토양조건을 보인 관계로 초장, 생체근중 및 주당건물중 등 지상부와 지하부 생육은 논재배가 밭재배보다 양호한 생육을 보였다. 2. 논 밭재배간 순동화율 (NAR)과 작물생장율 (CGR) 직이 치밀하지 못했다는 Mog et al. (1981)의 보고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표 5와 같이 생체근중의 분포비율은 직파 4년 재배에서 논 밭재배 모두 100 g 이상의 인삼은 생산되지 않았는데, 60 g 이상인 것의 비율이 논재배 5.3%로 밭재배 0.9%에 비해 많았으며 40 g 이상인 것의 비율도 논재배가 밭재배보다 높았다. 은 5월과 9월에 가장 뚜렸한 차이를 보였으며, 논재배시 근중은 9월 수확기에 가장 큰 증가를 보였으나 밭재배는 9 월에 조기낙엽 증가로 인하여 근중비대가 정지되어 뚜렸한 차이를 보였다. 3. 수삼수량은 논재배가 밭재배보다 약간 많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며, 적변 발생율도 논 밭재배간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4. 논 밭재배간 동체직경과 동체장, 뿌리의 수분함량 및 조사포닌과 50% 에탄올 추출 엑스함량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는데, 조사포닌과 엑스함량은 밭재배가 높았다. 5. 동체의 경도는 $5{\sim}8$월까지 논 밭재배 간에 서로 비슷하였으나 9월에 밭재배는 급격히 감소하여 뚜렸한 차이를 보였다.

논과 밭 토양에서 토층간 미생물 군집의 차이 (Variation of Microbial Community Along Depth in Paddy and Upland Field)

  • 김찬용;박기춘;이영근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2권2호
    • /
    • pp.139-143
    • /
    • 2009
  • 인지질 지방산을 분석하여 특정 미생물군의 수직적 분포와 토층간 미생물 군집 패턴을 조사하였다. 경북 농업기술원에 위치하고, 질소, 인산, 가리의 화학비료만 장기 연용한 논과 밭 포장에서 15 cm 깊이까지 토양을 채취하였다. 인지질 지표 지방산을 주요인 분석으로 분석하여 토양 미생물 군집을 분석한 결과 논과 밭 토양의 미생물 군집은 뚜렷하게 구분되었으며, 토층간 차이보다 논과 밭의 차이가 더 컸다. 논보다 밭은 토층이 깊어짐에 따라 미생물 군집이 급격하게 변하였는데, 미생물 군집 측면에서 밭보다 논의 표층이 더 두껍다고 볼 수 있다. cyclopropyl/monoenoic precursor 비율과 전체 포화지방산/전체 불포화 지방산 비율은 토심이 깊어짐에 따라 증가하였는데, 이는 토심이 깊어질수록 탄소원과 통기가 부족하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보인다. 대체로 표토는 그램음성균, 곰팡이 등의 상대적 비율이 높고 토심이 깊어질수록 세균과 방선균의 상대적 비율이 높아졌다.

토지이용 변화지역의 토양재조사 결과 분석 (Study on Soil Survey Results of Rapid Change in Landuse)

  • 현병근;손연규;박찬원;송관철;전현정;홍석영;문용희;노대철;정소영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5권4호
    • /
    • pp.475-483
    • /
    • 2012
  • 최근 농경지의 급격한 감소와 더불어 도시화, 경지정리, 도로공사 및 혁신도시 건설 등으로 토지이용의 변화가 심하게 발생되고 있다. 특히, 토지이용 변화심화지역인 경기도 고양시, 충청남도 천안시, 강원도 원주시를 대상으로 토지 이용변화실태, 토양특성변화양상, 토양도수정내용 및 기업도시 등으로 편입되는 지역의 토양환경분석을 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우리나라의 경지면적 (2011년)은 2009년대비 17.3 ha가 감소되었다. 논의 경우 24.2 ha가 감소되었으나, 밭의 경우에는 7.0 ha가 증가하였다. 2. 논의 면적 감소사유로는 논밭전환 (20.7 ha) > 공공시설 (3.2) ${\geq}$ 건물건축 (3.2) > 유휴지 (1.3) > 기타 (0.9) 순이며, 밭 면적의 증가원인은 논밭전환 (20.7 ha) > 개간 (4.5) > 복구 (0.3) 순이었다. 논밭전환의 이유는 논농사에서 농가소득이 높은 밭작물 내지 시설작물로 전환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3. 토지이용변화가 심한 해당시군의 농경지감소 (논, 밭, 과수)는 밭토양조사 (1995~1999) 당시와 비교 (2011년)할 때 고양시는 1,466 ha, 천안시 9,708, 원주시 6,980 ha가 감소되었으며, 1999년 대비 45%~25%의 농경지가 급격히 감소되었다. 4. 환경부 토지이용피복도의 통계자료 활용성을 검토하기 위해 농식품부 통계자료와 비교시 지목별로 큰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추후 면밀한 검토를 통하여 활용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5. 원주시의 토양정보 변경내용을 보면 곡간지의 일부 논토양이 밭 또는 과수원으로 토지이용이 변경되었으며, 배수등급의 경우 도로건설 등으로 인해 저습화되는 등 해당 토양의 일부 특성정보가 변경되었다. 특히, 논토양의 경우 시설재배지, 밭, 과수원, 휴경, 성토화 등으로 토지 이용의 변화가 심하였다. 6. 원주시 혁신도시에 편입되는 논토양은 급지가 떨어지는 3~4급지가 대부분으로 3급지 70.8%, 4급지 29.2%이었다. 밭토양 역시 4급지가 88.7%인 토양으로 우량 급지가 혁신도시 건설에 속하지는 않았다. 앞으로 우량농경지 보전을 위해 제도적 장치의 마련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논과 밭토양의 질 평가 방법 (Soil Quality Assessment Method of Paddy and Upland)

  • 윤정희;정병간;전희중;곽한강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357-364
    • /
    • 2004
  • 우리나라 논과 밭토양의 질의 현황에 대한 평가방법을 개발하고자 2000년부터 2003년까지 실시한 농업환경변동조사사업의 결과를 이용하여 세부지표 즉 토양의 주요특성의 선정, 선정된 각 지표의 점수화 또는 등급화와 정량화 방법과 각 세부지표를 종합하여 한개의 토양의 질 지표로 만드는 방법을 검토하였다 한편, 본 시안을 이용하여 전국수준에서 우리나라 논 밭 시설원예지 토양의 질 현황에 대한 평가를 시도한 결과 논토양은 매우 높음, 밭토양은 높음, 그리고 시설원예지 토양은 보통으로 나타났다.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Soil Moisture in Upland Soil using AMSR2 SMC

  • Na, Sang-Il;Lee, Kyoung-Do;Kim, Sook-Kyoung;Hong, Suk-Young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48권6호
    • /
    • pp.658-665
    • /
    • 2015
  • Temporal and spatial variation of soil moisture is important for understanding patterns of climate change, for developing and evaluating land surface models, for designing surface soil moisture observation networks, and for determining the appropriate resolution for satellite-based remote sensing instruments for soil moisture. In this study, we measured several soil moistures in upland soil using Advanced Microwave Scanning Radiometer 2 (AMSR2) Soil Moisture Content (SMC) during eight-month period in Chungbuk province. The upland soil moisture properties were expressed by simple statistical methods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from the monthly context. Supplementary studies were also performed about the effect of top soil texture on the soil moisture responses. If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utilized well in specific cities and counties in Korea, it would be helpful to establish the countermeasures and action plans for preventing disasters because it was possible to compare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soil moisture and top soil texture of each region. And it would be the fundamental data for estimating the effect of future agricultural pl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