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pland crop

검색결과 587건 처리시간 0.029초

밭농사의 여름철 기후순화기능에 대한 경제적 가치 평가 (Estimation of Economic Value of Cooling by Upland Farming during Hot Summer)

  • 현병근;김무성;엄기철;강기경;윤홍배;서명철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423-428
    • /
    • 2003
  • 밭농사의 다원적 기능 중 여름철 고온기의 기후순화 기능을 일증발산량으로 평가하였는데, 일증발산량은 우리나라 주요 밭작물의 평균작물계수와 밭토양의 평균 토양수분계수를 이용하여 추정하였다. 7월부터 8월 사이의 고온기간 중 밭농사에 의해 날아간 수분증발산량은 ha당 1,676 Mg으로 추정되었으며, 밭 면적 전체로는 $1.224{\times}10^6Mg$에 해당되었다. 이러한 수분의 증발산을 통한 기후순화기능의 경제적인 가치를 기화열로 환산하면 $7.1{\times}10^{14}kcal$에 해당하였으며, 이 열량을 냉방용 석유 값으로 평가하면 12조 3,412억원에 해당되었다.

답전윤환에서의 조, 수수, 기장 및 벼의 생육 및 수량 (Growth and Yield Characteristics of Foxtail Millet, Proso Millet, Sorghum and Rice in Paddy-Upland Rotation)

  • 윤성탁;김영중;정인호;한태규;유제빈;예민희;조영손;강항원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60권3호
    • /
    • pp.300-307
    • /
    • 2015
  • 잡곡의 안정적 생산체제 마련을 위한 답전윤환 최적 모델개발의 일환으로 답전윤환에 있어서 논으로부터 밭1년과 밭2년차 재배에 있어 조, 수수, 기장과 벼연속구와 논-밭-논 윤환구의 벼의 생육 및 수량특성을 조사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의 4품종 평균 출수소요일은 밭1년차에는 76.3일 소요되었으나, 밭2년차는 평균 70.5일 소요되어 약 6일정도 출수소요일이 짧았다. 포기당 이삭수는 밭1년차가 평균 2.2이삭이었으나, 밭2년차는 평균 3.3이삭으로 포기당 1이삭이 증가하였다. 10a 당 수량은 밭1년차가 179 kg이었으나, 밭2년차는 220.3 kg을 나타내 약 23% 증수하였다. 2. 기장 4품종의 평균 출수소요일 67일 소요되었으나, 밭2년차 기장은 평균 64.8일 소요되어 밭1년차에 비해 밭2년차가 약 2일 일찍 출수하였다. 포기당 이삭수는 밭1년차에서 4.2이삭이었던 반면 밭2년차에서는 평균 8.3이삭으로 약 4이삭이 증가하였다. 10a 당 평균수량은 밭1년차는 130.8 kg이었으나, 밭2년차는 152.8 kg으로 16.8% 증수하였다.3. 수수의 경우 5품종 평균 출수소요일은 밭1년차 68.6일 소요되었으며 밭2년차는 평균 67.4일 소요되어 큰 차이가 없었다. 수당립수는 밭1년차는 2,619.6립 이었으며, 밭2년차는 평균 2,931.6립으로 약 12% 증가하였다. 10a 당 평균 수량은 밭1년차는 231.7 kg으나, 밭2년차 평균수량은 242.3 kg으로 4.6% 증수하였다. 4. 벼연속구와 논-밭-논 윤환구에서의 벼의 생육 및 수량 특성을 보면 출수기는 차이가 없었다. 간장은 논연속구 75.6 cm에 비해서 논-밭-논 윤환구가 82.9 cm로 7.3 cm 컷으며, 수장도 논연속구에 비해 논-밭-논 윤환구가 1 cm 컷다. 포기당 이삭수는 논연속구가 20.7이삭, 논-밭-논 윤환구는 25.0이삭으로 논연속 윤환구에 비해 윤환구가 4.3 이삭 많았다. 10a당 수량은 논연속구가 479.9 kg, 논-밭-논 윤환구는 526.8 kg으로 연속구에 비해 윤환구가 9.8% 높았다.

기간별 저수 관리를 통한 소규모 댐의 밭 관개용수 확보 (Securement of Upland Irrigation Water in Small Dams through Periodical Management of Storage Level)

  • 김선주;이주용;김필식
    • 한국농공학회논문집
    • /
    • 제47권2호
    • /
    • pp.3-12
    • /
    • 2005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securement of upland irrigation water using storage level management of small dams. However, it is not new development of water resources but securement of water using storage level management of existing dam. This study has enhanced the water utilization coefficient of dam, after extra available water had been calculated by application of periodical management storage level and this water is used to other water like the upland irrigation water demand. As the result of application, it can secure extra available water except the water requirement. Minimum extra available water except flood is about $20,000,000\;m^3$ and crop irrigation water demand of 10yr frequency is about $2,033,000\;m^3$ in Seongju. The utilization of crop irrigation water can be possible. And extra available water is about $3,102,000\;m^3$ in 2000, $1,959,000\;m^3$ in 2001 except flood period and crop irrigation water demand of 10yr frequency is about $2,272,000\;m^3$ in Donghwa. It is judged that extra available water cannot be used to crop irrigation water during the dry season in Dongwha. Consequently, when management storage level is determined and more efficient use of water is gotten like this study, water utilization coefficient will be enhanced.

벼 내한성에 관여하는 생태 및 형태적인 특성의 품질간 차이 (Varietal Difference in Ecological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Affecting Drought Tolerance)

  • 최상진;박래경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0-16
    • /
    • 1980
  • 벼의 내한성에 관여하는 생태 및 형태적인 특성을 찾기 위하여 수도과 능도 각 5품종씩을 가지고 파종상자에서 벼를 재배하고 건조처리한 후 다시 관수하여 위주상태에서 생육이 회복되는 정도를 비교하였으며 관련되는 식물체부위의 특성과의 관계를 구한 결과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였다. 1. 건조처리후 재생력은 수도가 육도보다 강하였고 수도에서는 인도형품종이 일본형 품종보다 강하였다. 2. 생육단암별 재생력은 생육초기에 가장 높았고 생육이 진전되면서 점점 낮아졌는데 어느 시기에서나 수도가 육종보다 높은 재생력을 나타내었다. 3. 초장과 엽면적의 차이는 건조처리후 재생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4. 뿌리 발달의 특성에 주근의 두께와 뿌리의 총건물중은 수도보다 육도에서 높았으며 이것은 밭재배에서의 수량과 높은 정의 상관이 있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