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ground water level

검색결과 221건 처리시간 0.028초

서울시 지하철역사의 라돈농도분포 조사 (Distribution of Radon Concentration at Subway Station in Seoul)

  • 이철민;김윤신;김종철;전형진
    • 한국환경보건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469-480
    • /
    • 2004
  • The radon concentrations were measured to survey distribution of radon concentrations in Seoul subway stations. The radon concentrations in air and water were measured at seventeen subway stations(Mapo, Chungjongno, Sodaemun, Kwanghwamun, Chongno3ga, Ulchiro4ga, Tangdaemun, Sangildong on Line 5;Nowon, Chunggye, Hagye, Kongnung, Taenung, Mokkol, Chunghwa, Sangbong, Myomok on Line 7) using the $RAdtrak^{TM}$ radon gas detector, Pylon AB-5 continuous passive radon detector and liquid scintillation counting method from January to May 1999. The major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long-term mean concentrations of radon were $61.8\;Bq/m^3$ in office, $78.9\;Bq/m^3$ in platform, $38.2\;Bq/m^3$ in concourse and $20.1\;Bq/m^3$ in outdoor, respectively. These levels were less than the action level ($148\;Bq/m^3$) of the U.S. EPA. The highest level of short-term mean concentrations was $116.55\;Bq/m^3$ at Chongno3ga station on the 5th line subway stations, while the lowest mean concentration was $19.55\;Bq/m^3$ at Mokkol station on the 7th line subway stations. The highest concentration of radon in the road water and storing underground water in the subway stations was $234.7\;KBq/m^3\;and\;155.5\;KBq/m^3$ in Sodaemun subway station,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radon concentration in subway stations seems to be affected by ventilation and radon concentratin in underground water in the subway stations.

터널 라이닝에 작용하는 합리적인 잔류수압 적용방안 검토 (A study for application plan of rational residual water pressure on the tunnel linings)

  • 정국영;김지엽;김지훈;문훈기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3권6호
    • /
    • pp.463-499
    • /
    • 2011
  • 지중에 건설되는 터널은 대부분 지하수위 하부에 위치하므로 지하수 처리문제는 터널의 장기운영에 있어 매우 중요하다. 배수형 터널의 경우 수리기능이 원활하면 라이닝에 수압이 작용하지 않으나 장기 운영으로 인해 배수시스템의 열화가 진행되면서 라이닝 배면에 잔류수압이 작용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재 및 배수공 폐색 조건에 따른 터널에 작용하는 수압분포를 ICFEP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수치해석적으로 고찰하고 현재 적용중인 잔류수압과의 비교 분석을 통해 라이닝에 작용하는 합리적인 잔류수압 적용 방안을 검토하였다.

PVC 하수맨홀의 구조적 거동 및 예측 (Prediction of structural behavior of PVC sewer manhole)

  • 김선희;조진규;주형중;김영수;윤순종
    • 상하수도학회지
    • /
    • 제28권4호
    • /
    • pp.491-500
    • /
    • 2014
  • Due to rapid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ater supply and sewer line systems are also developed relevantly. Manhole is an essential component structure of the pipeline system. Manhole is a structure constructed to accommodate the direction, dimension, differences in level, and easy of maintenance in the pipeline system. In this paper we present the result of investigations pertaining to the structural behavior of PVC sewer manhole buried underground. In the paper mechanical properties of PVC material are reported. In addition, by the finite element analysis (FEA), we confirmed that a PVC double-wall corrugated pipe manhole, when it is buried underground, is safe for the stress as well as buckling strength if the manhole is constructed within the suggested limit of buried depth.

중저준위 방폐물 처분 사일로 구조물의 구조거동 수치해석 연구 (Numerical Study of Structural Behavior of Underground Silo Structures for Low-and-Intermediate-level Radioactive Waste Disposal Facility)

  • 김선훈;김광진
    • 한국전산구조공학회논문집
    • /
    • 제35권3호
    • /
    • pp.183-190
    • /
    • 2022
  • 경주 방폐물 처분시설의 1단계 시설로 건설된 지하 사일로 구조는 2014년에 10만 드럼 규모로 완공되어 현재 운영중에 있다. 지하 사일로 구조는 지름 25m, 높이 50m로써 방폐물을 저장하는 실린더부분과 돔 부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돔부분은 운영터널과 연결되는 하부 돔 부분과 상부 돔 부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지하 사일로 구조의 벽체는 철근콘크리트 라이너이고, 두께는 약 1m이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 사일로 구조의 건설과정 및 운영과정의 단계별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SMAP-3D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차원 축대칭 유한요소해석을 수행하였다. 2차원 축대칭 유한요소모델의 신뢰성을 검토하고자 3차원 유한요소해석도 수행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지하 사일로 구조의 구조거동을 분석하고 구조적 안전성을 검토결과를 제시하였다.

산악 터널시공에 따른 주변 지하수위 변화에 대한 수리 및 수문학적 해석 (Hydraulic and hydrological study on the change in groundwater level during tunnel construction)

  • 김선명
    •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 논문집
    • /
    • 제13권2호
    • /
    • pp.97-114
    • /
    • 2011
  • 산악터널이 건설되는 지역에 있는 우물이나 작은 하천들은 흔히 주민들의 일상생활용수원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때 터널이 굴착됨에 따라 우물의 수위 저하와 같은 문제들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설계단계에서 터널 주위의 지하수에 대한 부정적인 영향을 경감시키기 위해 MODFOLOW와 같은 수치모델링 기법을 사용하여 터널내 지하수 유입량과 지하수위 저하 지역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였다. 또한 수문학적인 방법에 의해서 터널주변 지역의 지하수의 용수량을 평가하였다.

배수조건에 따른 쉴드터널 라이닝의 거동연구를 위한 모형실험 (A Physical Model Test on Behavior of Shield-tunnel Lining according to Drain Conditions)

  • 최규문;윤찬영;마상준
    • 한국지반공학회논문집
    • /
    • 제30권5호
    • /
    • pp.55-65
    • /
    • 2014
  • 대부분의 쉴드터널은 비배수조건으로 설계되지만 현장에서 터널 내부로 지하수가 유입되고 배수시설을 통하여 배출되는 배수터널처럼 작동하기 때문에 쉴드터널 설계에서 배수조건이 고려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배수조건과 응력조건 조절을 통하여 지하수면 아래에 위치한 터널을 모사할 수 있는 실험장비를 개발하였다. 모형실험을 통하여 지중내에 작용하는 전응력 및 간극수압을 조사하였고 배수내관의 유입유량을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간극수압과 유효응력의 합으로 나타나는 전응력의 증가율이 비배수조건에서 더 크게 나타났고, 유입유량은 수압에 비례하고 재하응력에 반비례하였다. 결과적으로 쉴드터널에서 배수를 고려한다면 응력이 감소되기 때문에 보다 경제적인 설계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식생사주 역에서 지하수위와 토양수분의 현장 조사·분석 (A Field Survey and Analysis of Ground Water Level and Soil Moisture in A Riparian Vegetation Zone)

  • 우효섭;정상준;조형진
    •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 /
    • 제44권10호
    • /
    • pp.797-807
    • /
    • 2011
  • 국내 하천에서 사주 상 식생 활착 현상이 급속하게 진행되고 있다. 1960년대 산업화와 도시화 이전 우리나라 하천은 모래, 자갈이대부분인이른바 'White River (백사장하천)'이었으나, 1970년대이후댐건설, 하천정비등으로유황과유사이 송특성이 교란되어수변에 식생이번무하게 되는이른바 'Green River (식생하천)'가진행중이다. 본 연구는비조절하천사주 상 식생활착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중에서 수위, 수온, 강우, 토양수분, 토양입경 등의 상호연관성을 파악하고자하였다. 이를 위해 우리나라 모래하천인 내성천의 하류를 시험하천구간으로 선정하고, 289일간 모니터링 및 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과거로부터 현재까지 식생의 경년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1970년부터 2009년까지의 항공사진을 분석하였다. 시험하천구간의 범위는 횡단길이 361m, 종단길이 약 2 km이다. 조사 분석 결과 내성천 시험하천구간은 지하수위가 하천수위보다 20~30 cm 가량 높게 나타나는 이득하천이었다. 지하수온은 일별, 계절별 차이가 $5^{\circ}C$ 미만이었고, 하천수온은 식생활착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는 5월부터 $10^{\circ}C$ 이하로 떨어지지 않았다. 토양수분의 영향인자는 하층은 지하수위, 상층은 강우이며, 상하층은 모두 토양입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토양수분측정지점 6곳의 지표면~지하 1m까지의 토양은 $D_{50}$ 입경 0.07~1.37mm의 모래이며, 이 입경에서 가능한 모세관 높이는 약 14~43 cm 범위로 추정된다. 한편 비 조절하천인 시험하천구간의 40년간 공간분석 결과, 인위적인 하천교란과 가뭄은 식생활착을 촉진하며, 홍수로 인해 식생군락이 자주 소멸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1970년부터 식생의 크고 작은 활착과 소멸이 반복되고 있지만 현재의 식생면적은 과거에 비해 뚜렷하게 증가되어 있다. 식생면적은 시간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생식생장기에 지하수위 처리가 콩의 생육과 질소 및 몇가지 양이온 함량에 미치는 영향 (Cation and Nitrogen Contents, and Growth of Soybean against Underground Water Level at Reproductive Stage)

  • 박관수;안태환;조진웅
    • 한국작물학회지
    • /
    • 제54권2호
    • /
    • pp.225-230
    • /
    • 2009
  • 본 연구는 생식생장기의 습해에 의한 콩 수량과 질소 및 여러 가지 양분흡수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자 지하수위를 0 cm, 10 cm 및 40 cm로 달리하여 조사하였다. 지하수위가 높음에 따라 생육과 수량은 감소되었으며 다원콩의 감소정도가 풍산나물콩보다 더 크게 나타났다. 질소흡수량은 지하수위가 높을수록 감소되었으며 수량과의 상관관계는 $R^2=0.872$로 고도로 유의한 정의상관을 보였다. K함량은 지하수위 높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뿌리 제외), Ca함량은 감소(잎, 줄기) 또는 증가(뿌리)하였지만 Mn과 Fe 함량은 지하수위가 높을수록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다원콩이 풍산나물콩보다 높은 함량을 보였다.

폴리아크릴 레진 누수보수재의 선정평가 후 현장 적용에 따른 효과 분석 (Effect of Evaluation before Site Application of Poly-acrylic Resin Leakage Repair Materials)

  • 조일규;안기원;송제영;오상근
    •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 /
    • 제20권6호
    • /
    • pp.55-61
    • /
    • 2018
  • This study improved the water repair materials of the polyacrylic system applied to concrete structures by controlling expansion, strengthening water resistance, and improving cohesiveness. The improved polyacrylate repair materials were evaluated against the existing products to verify their performance and level of improvement, and applied on-site to the concrete structures that are leaking the improved water. The verification method measured the presence of water leaks and the moisture content of concrete inside. Moisture levels were measured for two months before and after material installation, and at least 0.8 - 1.7% of humidity was reduced after installing polyacrylic resin, and no leakage was found.

빗물 집수 및 저장 시스템 개선과 수질 분석 모니터링 (A Study on the Rainwater Quality Monitoring and the Improvement, Collection and Storage System)

  • 김철경
    • 청정기술
    • /
    • 제17권4호
    • /
    • pp.353-362
    • /
    • 2011
  • 빗물 활용은 건전한 물 순환 개념에서 중요하며, 신도시 개발 등으로 증가되는 불투수면의 증대에 따른 영향을 해소시키는 방법 중의 하나가 되므로 빗물 처리 시스템의 개선을 통한 수질 개선 방안을 연구하였다. 대전서남부지구의 개발 전 빗물 유출계수는 0.40이었으나 개발 후의 유출계수는 0.59로 산정되었다. 필터를 통과한 우수의 Cu, As, Cr, Fe, Mn 등 중금속 함량은 지하수의 중금속 함량보다 양호하였으며, 집수된 빗물의 수질은 경도, 과망간산칼륨소비량, 염소이온, 증발잔류물, 황산이온, 질산성질소 등의 항목에서는 지하수의 수질보다 양호한 것을 보여 주었으며, 중수도 수질기준을 충족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00일 이상 장기 저장 시에도 화장실 용수, 조경 용수 등으로 적합하였다. 종전의 빗물집수 시스템에 덮개가 있는 gutter 설치, 적합한 필터 사용 및 저장조의 지하설치 등으로 시스템을 개선하면 집수되는 수질을 100일 정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