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nderground space information

검색결과 308건 처리시간 0.018초

A Study on Facility Information System using GIS and Semantic Web in Underground Space

  • Cui, Yulan;Hwang, Hyun-Suk;Kim, Chang-Soo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3권12호
    • /
    • pp.1843-1854
    • /
    • 2010
  • The utilization of underground space has recently increased with the complication of road, the rise of the land price, and the development of green technology. Underground space ranges from classical excavations to subway, underground cities, and shopping malls where there are crowds of people. At this time, government has spent a lot of money in installing various types of safety facilities for preparations of increasing potential disasters. Therefore, an effective facility management system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n information retrieval process to effectively extract the facilities' information based on the ontology and spatial analysis in underground space. The ontology-based searching supports hierarchical and associated results as well as knowledge sharing with hierarchy concepts. The spatial analysis based searching has "Buffer" and "Near" functions to operate on a map without understanding any property of the facility information.

지하공간정보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한 표준화방안 및 활용성에 관한 연구 (A Study of Standardization for Establishing Integrated Infrastructure of Underground Space Information and its Availability)

  • 석철호;강유라;장용구;강인준
    • 대한공간정보학회지
    • /
    • 제20권4호
    • /
    • pp.105-115
    • /
    • 2012
  • 현재, 국내에서의 건설분야는 지상영역에서 지하공간개발영역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와 함께 지하공간개발 추진시 난개발, 환경오염 등의 문제점들은 매우 중요한 화두가 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지하공간을 파악할 수 있는 지하정보들의 활용이 급증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그러나, 아직 국내에서의 지하정보는 기관별 개별적으로 구축 관리 하고 있어 통합 활용이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지하공간정보의 통합 활용이 필요한 시점에서 지하정보들의 통합 인프라 구축을 위해서는 통합 DB표준화가 반드시 실행되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각 각의 지하정보들을 기반으로 지하공간정보 인프라 구축 통합 표준화 활용 방안을 연구하였다. 연구결과 지하공간정보 통합 표준화 내용으로는 지층별 표준화, 단위체계 표준화, 지하공간정보 연계 표준화를 제시하였으며 활용성 검토를 위해 각 기관의 전문가들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높은 활용성이 검증 되었다.

지하안전관리 지원을 위한 3차원 지반정보 구축 방안 연구 (A Study on the Construction Plan of 3D Geotechnical Information for the Support of Underground Space Safety)

  • 박동현;장용구;최현상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1권1호
    • /
    • pp.23-34
    • /
    • 2018
  • 최근 대도심지를 중심으로 지반침하, 지반함몰 등 지하공간에서의 안전사고가 빈번히 발생하고 있다. 이에 정부차원에서의 다양한 대응방안을 마련하고 있으며, 이의 일환으로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을 추진 중에 있다. 3차원 지반정보는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핵심 구성요소이며,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에 따라 의무화된 지하안전영향평가의 주요 데이터로 활용된다. 3차원 지반정보의 구축 방법은 지하공간통합지도 구축 기본계획 수립 시 도출되고 국토지반정보 통합DB센터에서 지속적인 구축을 추진하고 있으나, 정확성, 효율성, 활용성을 고려한 구체적인 방안 도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지하안전관리 지원을 위해 3차원 지반정보의 정확성, 활용성, 구축 효율성을 고려한 구축 방안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토지반정보 포털시스템에서 보유한 시추정보와 지반정보 구축 소프트웨어인 MVS, MakeJiban을 활용하여 표고와 지층 기반의 구축 높이 정확도를 비교하였다. 종합적인 분석결과 정확성, 활용성, 효율성 측면에서 원표고 기반의 전체 지층 일괄 구축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향후,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일괄성 있는 3차원 지반정보 구축을 추진할 계획이다.

지하공간통합지도 품질관리 개선방안 연구 - 관로형 지하시설물을 중심으로 - (Research on Improving Quality Management for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 Focusing on pipe-type underground facilities -)

  • 배상근;김상민;유은진
    • 지적과 국토정보
    • /
    • 제50권2호
    • /
    • pp.221-235
    • /
    • 2020
  • 인구증가 및 산업화에 따른 급속한 도시화로 인해 지표 중심의 토지이용에 한계가 나타남에 따라 지하공간에 대한 개발과 활용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한정된 국토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한다는 측면에서 큰 장점을 가지는 반면 이로 인해 싱크홀, 지하시설물 파손과 같은 재난재해가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도 가지고 있다. 2014년도에 전국 각지에서 발생했던 싱크홀을 계기로 2015년부터 15종의 지하정보를 통합한 지하공간통합지도가 구축되고 있으나, 그 이후에도 고양시 온수관 파열, 서울 아현동 통신구 화재 등이 지속됨에 따라 지하정보의 품질 향상에 대한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품질 향상을 위해 공간데이터 품질과 관련된 표준, 규정 및 지침 등을 분석하여 지하공간통합지도 제작 작업규정 내 명시된 품질검사 기준 및 방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특히 지하공간통합지도를 통해 관리되는 15종의 지하정보 중 사고 발생의 가장 큰 원인이자, 국민들의 일상생활에 반드시 필요해 라이프 라인(life line)이라고도 불리는 관로형 지하시설물을 대상으로 데이터 품질관리를 위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지진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 DB 구축 및 활용 방안 연구 (A Study on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Plan of Underground Spatial Information DB for Earthquake Disaster Prevention)

  • 김수겸;장용구;김창규;강인준
    • 한국지반환경공학회 논문집
    • /
    • 제14권9호
    • /
    • pp.49-56
    • /
    • 2013
  • 우리나라의 지난 33년간 지진발생 추이를 보면 3.0 이상의 지진이 연간 평균 약 9회에 걸쳐서 일어나고 있으며, 지진의 진앙지 역시 해안가에서 내륙지방 쪽으로 이동하고 있다. 이처럼 지진 발생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지진방재용 통합 지하공간정보활용이 필요한 시점이다. 현재는 지진 재해 취약지역의 지질 및 지반 특성 파악 자료가 부족하므로, 전국 단위로 신규 지질, 지반조사 자료를 수집하고 기존의 지하공간정보와 공동 활용을 통한 지진방재계획 수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지진 방재를 위하여 요구되는 지하공간정보 DB의 구축범위를 결정하고, 지하공간정보의 정적 및 동적 DB에 대한 구축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구축된 지진 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의 활용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지진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 DB의 범위, 구축 및 활용 방안의 수립으로 구축되는 지진방재용 지하공간정보는 소방방재청의 지진 및 급경사지 방재를 위한 지하공간정보 및 급경사지정보 통합관리시스템의 기반 데이터베이스로 활용될 예정이다.

지하공간통합지도 자동갱신을 위한 지하구조물 제출 표준 설계 (Design of Standard Submission Format for Underground Structures : An Automated Update of the UnderSpace Integrated Map)

  • 박동현;장용구;류지송
    • 한국측량학회지
    • /
    • 제39권6호
    • /
    • pp.469-476
    • /
    • 2021
  • 지하공간통합지도는 지반침하 예방을 목적으로 2015년 4월 구축 기본계획을 수립하고 올해까지 전국 시급 지자체 구축 완료를 앞두고 있다.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활용을 위해 2018년 9월부터 지하안전영향평가 전문기관 대상의 종이도면 제공, 2019년 5월부터 지하정보 활용시스템을 통한 지자체 담당자 대상의 서비스 등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러나 갱신없이 구축 당시의 정보만으로 활용이 이루어지고 있어 최신성·정확성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로 정보의 활용성 및 신뢰성이 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핵심구성요소인 지하구조물(지하철, 지하상가, 지하보도, 지하차도, 지하주차장, 공동구)을 대상으로 「지하안전관리에 관한 특별법」 제42조제2항에 따른 준공도면 제출을 위한 표준 서식을 설계하여 지하공간통합지도 갱신체계 구축의 초석을 다지고자 하였다. 그 결과 3차원 지하구조물 자동갱신을 위한 준공도서 제출 표준을 마련하였으며, 자동가공정보에 대한 위치정확도 검증 결과 직선구간에서는 오차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곡선 구간에서는 허용오차 내에서 오차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표준 서식을 기반으로 자동 갱신된 지하구조물 데이터에 대한 검증을 통해 신뢰성을 확보하고 향후, 지하공간통합지도의 활용성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도시지하공간 개발기술에 대한 특허동향 분석 (An Analytical Study on the Patents Substance of Urban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Technology)

  • 이강주
    • 대한건축학회논문집:구조계
    • /
    • 제35권6호
    • /
    • pp.129-137
    • /
    • 2019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systematic information and direction to urban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industry, civil engineering and R&D. Regarding the development of urban underground space, the situation in Korea, especially now in Seoul, can be called an underground Renaissance. The Superground project, which has been going on for several years through international competition, is now completed and is about to open the Seoul Architecture Museum. Leading underground space complex development project of Yeongdongdaero, which is the largest living underground space in human history, spectral projects such as the Seoul section of the GTX routes, making underground roads of the Dongbu Expressway and the Seobu Expressway are now speeding up progress. Recently, plans have been made to use the underground more actively through the restructuring project of Gwanghwamun Square, the face of Seoul. And then, patents are indispensable resources for establishing a strategy for R&D as one of the indices showing what technologies have been developed and what technology development will be done in the future. Based on this background, this study attempts to classify and define the technical elements of urban underground space development through the analysis of patents of major countries in the world, and analyze and present state of technology level and situation accordingly.

현장 GPR 탐사자료와 지하공간통합지도 상호위치 정확도 분석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Analysis of Positional Accuracy between the GPR Survey Data and Underground Space Integration Map)

  • 송석진;조해용;한담혜;김성길
    • 한국지리정보학회지
    • /
    • 제23권4호
    • /
    • pp.208-216
    • /
    • 2020
  • 최근의 도심지에서 발생하고 있는 지반함몰 및 침하, 노후 지하시설물 파손 등의 지하 안전에 관한 이슈가 증가하고 있어 보다 정확한 지하시설물의 관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현장에서 취득하는 GPR 탐사 성과로부터 취득한 지하시설물 공간정보와 지하공간통합지도의 공간정보를 상호 비교하는 기법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지하공간통합지도 연계 현장활용 서비스 프로토타입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강남역 주변 일부 구간에 대하여 현장 활용성 검증을 위한 GPR 탐사성과와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위치 정보를 비교한 결과 최대 0.879m, 최소 0.101m, 평균 오차는 0.625m로 나타났다. GPR탐사 성과의 정확도가 보장될 경우 지하공간통합지도의 위치정확도 개선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