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u-hospital

검색결과 1,380건 처리시간 0.029초

QR 코드를 활용한 투명 교정장치 관리 시스템 설계 및 개발 (Design and development of clear aligner management system using QR code)

  • 장진수;손호정;심지영;강신영;문준모;이태노
    • 디지털융복합연구
    • /
    • 제17권9호
    • /
    • pp.185-192
    • /
    • 2019
  • 스마트 기술의 도입은 의사와 환자 모두에게 정확성, 안전성, 효율성을 제공한다. 투명 교정장치에 대한 관심은 국내외에서 점점 높아지고 있지만, 현재 투명교정 장치로 치열교정을 할 경우, 환자는 1, 2주에 한 번씩 병원을 방문하여 교체하여야 하며, 약 40~80개 정도의 장치가 제작되고 교정장치의 착용 순서 및 기간 등을 고려해서 교정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치과 의사와 환자는 매우 번거롭고 혼란스럽다. 또한 이 과정에서 치과 의사와 환자 간 정확한 의사소통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투명 교정장치에 QR 코드를 삽입하여 환자와 의료진 간의 커뮤니케이션이 보다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투명 교정장치 관리 시스템을 설계 및 개발하였다. 개발 결과 QR 코드의 크기는 구강 내에서 사용 가능한 $6{\ast}6mm^2$ 이상이면 100% 인식하였고, 인식 거리는 12cm 이내에서 100% 인식률을 보였다. 제안한 시스템으로 치과의사는 환자를 원격으로 관리하며 교정효과를 높여 주기 때문에 국내의 환자는 물론 해외의 환자 관리가 가능하다.

임상간호사의 상사신뢰도, 간호업무강도, 조직냉소주의가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Trust in Supervisor, Work Intensity and Organizational Cynicism on Organizational Silence in Clinical Nurses)

  • 김효정;조연교;이지원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19권12호
    • /
    • pp.627-635
    • /
    • 2018
  • 본 연구는 임상간호사의 조직침묵에 상사신뢰도, 업무강도와 조직냉소주의가 미치는 영향에 대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2월부터 3월 까지 B광역시와 U광역시에 소재한 100병상 이상의 6개 병원에 근무하는 임상간호사 134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5.0 program을 활용하여 임상간호사의 상사신뢰도, 간호업무강도, 조직냉소주의, 조직침묵의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 일반적 특성에 따른 상사신뢰도, 간호업무강도, 조직냉소주의, 조직침묵의 차이는 t-test와 one-way ANOVA, 사후검증은 $Scheff{\acute{e}}$ test, 상관관계는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단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의 상관관계에서 조직침묵은 상사신뢰도와 유의한 음의 상관(r=-.32, p<.001), 업무강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r=.18, p=.043)을 나타냈다. 조직침묵에 미치는 영향요인은 상사신뢰도(${\beta}=-.36$, p<.001)가 가장 컸으며, 다음이 현재의 병원 근무기간 중 10년 이상(${\beta}=-.67$, p=.002), 근무형태 중 상근근무(${\beta}=-.79$, p=.022), 3교대 근무(${\beta}=-.64$, p<.001)였고 총 설명력은 26.0%였다(F=11.47, p<.001). 이상의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간호조직에서 임상간호사와 상사의 신뢰도 향상안, 다양한 근무형태 등 업무강도의 변화를 통해 조직침묵 개선을 위한 중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Effect of antiviral therapy in reducing perinatal transmission of hepatitis B virus and maternal outcomes after discontinuing them

  • Seo, Kwang Il;Bae, Si Hyun;Sung, Pil Soo;Park, Chung-Hwa;Lee, Hae Lim;Kim, Hee Yeon;Kim, Hye Ji;Jang, Bo Hyun;Jang, Jeong Won;Yoon, Seung Kew;Choi, Jong Young;Park, In-Yang;Lee, Juyoung;Lee, Hyun Seung;Kim, Sa-Jin;Kwon, Jung Hyun;Chang, U Im;Kim, Chang Wook;Jo, Se Hyun;Lee, Young;Tekle, Fisseha;Kim, Jong-Hyun
    • 대한간학회지
    • /
    • 제24권4호
    • /
    • pp.374-383
    • /
    • 2018
  • Background/Aims: There have been numerous efforts to reduce mother-to-child transmission (MTCT) of hepatitis B virus (HBV) with antiviral agents during pregnancy. However, there are limited data regarding the outcomes of pregnant women after delivery. This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the efficacy of antiviral agents in preventing MTCT of HBV and maternal long-term outcomes. Methods: The HBV-infected pregnant women treated with antiviral agents to prevent MTCT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Forty-one pregnant women who received telbivudine or tenofovir during late pregnancy (28-34 week) were analyzed. Hepatitis B virus surface antibody (HBsAb) positivity was tested in 43 infants after 7 months of birth. Eleven mothers were followed >1 year after delivery. Results: The mean HBV DNA titer before antiviral therapy was 8.67 (6.60-9.49) log copies/mL, and the median age at delivery was 32 years (range, 22-40). Eleven patients were treated with tenofovir and 30 with telbivudine. The median duration was 57 days (range, 23-100), and the median HBV DNA titer at birth was 5.06 log copies/mL (range, 2.06-6.50). Antiviral treatments were associated with significant HBV DNA reduction (P<0.001). Among 43 infants (two cases of twins), HBsAb was not detected in two, subsequently confirmed to have HBV infection. Biochemical flare was observed in two of 11 mothers followed >12 months, and an antiviral agent was administered. Conclusions: Antiviral treatment during late pregnancy effectively reduced MTCT. Long-term follow-up should be required in such cases. In addition, given that maternal biochemical flare occurred in 18% of mothers, re-administration of antiviral agents might be required.

20(S)-protopanaxadiol and oleanolic acid ameliorate cognitive deficits in APP/PS1 transgenic mice by enhancing hippocampal neurogenesis

  • Lin, Kaili;Sze, Stephen Cho-Wing;Liu, Bin;Zhang, Zhang;Zhang, Zhu;Zhu, Peili;Wang, Ying;Deng, Qiudi;Yung, Ken Kin-Lam;Zhang, Shiqing
    • Journal of Ginseng Research
    • /
    • 제45권2호
    • /
    • pp.325-333
    • /
    • 2021
  • Background: Alzheimer's disease (AD) is one of the most prevalent neurodegenerative disorders. Enhancing hippocampal neurogenesis by promoting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neural stem cells (NSCs) is a promising therapeutic strategy for AD. 20(S)-protopanaxadiol (PPD) and oleanolic acid (OA) are small, bioactive compounds found in ginseng that can promote NSC proliferation and neural differentiation in vitro. However, it is currently unknown whether PPD or OA can attenuate cognitive deficits by enhancing hippocampal neurogenesis in vivo in a transgenic APP/PS1 AD mouse model. Here, we administered PPD or OA to APP/PS1 mice and monitored the effects on cognition and hippocampal neurogenesis. Methods: We used the Morris water maze, Y maze, and open field tests to compare the cognitive capacities of treated and untreated APP/PS1 mice. We investigated hippocampal neurogenesis using Nissl staining and BrdU/NeuN double labeling. NSC proliferation was quantified by Sox2 labeling of the hippocampal dentate gyrus. We used western blotting to determine the effects of PPD and OA on Wnt/GSK3β/β-catenin pathway activation in the hippocampus. Results: Both PPD and OA significantly ameliorated the cognitive impairments observed in untreated APP/PS1 mice. Furthermore, PPD and OA significantly promoted hippocampal neurogenesis and NSC proliferation. At the mechanistic level, PPD and OA treatments resulted in Wnt/GSK-3β/β-catenin pathway activation in the hippocampus. Conclusion: PPD and OA ameliorate cognitive deficits in APP/PS1 mice by enhancing hippocampal neurogenesis, achieved by stimulating the Wnt/GSK-3β/β-catenin pathway. As such, PPD and OA are promising novel therapeut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AD and other neurodegenerative diseases.

위식도역류질환 변증도구의 신뢰도 및 타당도 평가 (A Study of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Standard Tools for the Pattern Identification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 조윤재;하나연;고석재;박재우;김진성
    • 대한한방내과학회지
    • /
    • 제43권1호
    • /
    • pp.1-21
    • /
    • 2022
  • Purpose: The standard tool for the pattern identification is used for identifying patterns in patients using a questionnai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organize the standard tool for the pattern identification of gastroesophageal reflux disease (GERD) developed in 2017 and to analyz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standard tool for pattern identification by applying it to GERD patients. Methods: To reorganize the standard tool for the pattern identification of GERD developed in the previous study, we searched the literature in the main databases, OASIS (Oriental Medicine Advanced Searching Integrated System) and CNKI (China National Knowledge Infrastructure). We added the search results to the data used in the previous study and went through the reorganizing courses, such as evaluating the validity of the translation, the Delphi technique, and a small survey. After reorganization,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Kyunghee University Korean Medicine Center for GERD symptoms were provided the questionnaire, including the reorganized standard tool for pattern identification. We analyzed the survey results to evaluate their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Fifty pati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 Reliability analysis results showed a pattern identification match rate of 86%, Cronbach's α coefficient of 0.834, and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 of 0.907. The Mann - Whitney U test and logistic regression were implemented to check the relations between the survey questions and pattern identification results; the Pearson correlation, compared with other scales, showed a moderate score. Conclusion: We reorganized the standard tool for the pattern identification of GERD to be updated on current issues and so that it is easily used. The analysis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showed that the reorganized standard tool had high reliability and moderate validity.

매염제인 ZnSO4의 피부독성에 대한 멍석딸기 추출물의 항산화 및 미백효과 (Antioxidative and Whitening Effects of Rubus parvifolius L. Extract on Dermal Cytotoxicity of ZnSO4, Mordant)

  • 손영우;유선미
    • 융합정보논문지
    • /
    • 제11권5호
    • /
    • pp.199-205
    • /
    • 2021
  • 본 연구는 매염제인 황산아연(ZnSO4)의 피부독성을 배양 피부세포주인 SK-MEL-3 세포를 재료로 산화적 손상측면에서의 조사와 함께 ZnSO4의 독성에 대한 멍석딸기(RP)의 영향을 항산화와 미백효과 측면에서 알아보았다. 본 실험을 위하여, 세포생존율, DPPH-라디칼 소거능 및 melanin합성 저해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ZnSO4는 농도 의존적으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감소시켰으며, XTT50값이 173.3 uM로 중간 독성으로 나타났다. 또한, 항산화제의 일종인 ascorbic acid는 ZnSO4에 의하여 손상된 세포생존율을 유의하게 증가시켰다. 한편, ZnSO4의 독성에 대한 RP 추출물의 영향에서, RP 추출물 처리는 유의한 세포생존율의 증가와 함께 DPPH-라디칼 소거능과 melanin합성 저해능을 통하여 항산화와 미백효과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RP 추출물과 같은 천연성분은 향후 항산화제와 미백제로서의 대체물질 개발에 있어 활용적 가치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

간호대학생과 산과 및 아동 간호사의 미혼모에 대한 인식과 성태도 (Perception and Sexual Attitude Unwed Mother in Nursing Students and Obstetrics and Pediatric Nurses)

  • 조명주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
    • 제22권5호
    • /
    • pp.492-501
    • /
    • 2021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산과 및 아동 간호사의 미혼모에 대한 인식과 성태도를 확인하고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B광역시와 U광역시에 간호대학에 재학 중인 3·4학년 학생 94명과 산과 및 소아청소년과에서 근무하는 8개 병원 간호사 101명이다. 자료수집은 2018년 9월부터 2019년 1월까지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미혼모에 대한 인식과 성태도의 정도를 확인한 결과, 간호대학생의 미혼모에 대한 인식과 성태도의 정도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미혼에 대한 인식의 차이는 학년, 나이, 형제관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간호사는 나이, 직급, 총 근무기간, 현부서 근무기간, 결혼 여부, 자녀 유무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간호대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성태도의 차이는 자신의 주변에서 미혼모 접촉 경험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간호사는 주변에서 미혼모 접촉 경험, 병원 규모, 결혼 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미혼모에 대한 인식과 성태도를 규명하고 대상자의 특성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여, 향후 간호대학생과 간호사의 미혼모에 대한 인식과 성태도와 관련된 연구와 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뇌졸중 환자의 라이프케어 증진을 위한 발바닥 감각역치와 균형의 상관관계 (Relationship between Plantar Tactile Sensory Thresholds and Balance for Life-Care Increase in Patients with Stroke)

  • 안광빈;전혜주
    •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논문지
    • /
    • 제14권8호
    • /
    • pp.237-244
    • /
    • 2020
  • 감각장애는 뇌졸중에서 흔히 나타나며, 발에서 나오는 촉각의 감각정보는 균형을 위해 중추신경계에 중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뇌졸중 환자의 발바닥 감각역치와 균형의 상관관계를 연구하는 것이다. Semmes-Weinstein Monofilaments를 사용하여 발바닥의(엄지발가락과 뒤꿈치) 감각역치를 평가하였다. 균형은 버그균형척도와 MTD system을 이용하여 정적 선 자세와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동안의 마비쪽과 비마비쪽의 체중 분포 정도를 측정하였다. 정적 선 자세와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 동안 체중 분포 정도는 비마비쪽보다 마비쪽에서 더 낮았다(P<0.05). 버그균형척도는 36.00±1.53이었다. 마비쪽의 엄지발가락 감각역치는 버그균형척도(r=-0.444, P<0.05), 정적 선 자세(r=-0.332, P<0.05),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r=-0.390, P<0.05)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비쪽의 뒤꿈치 감각역치는 버그균형척도(r=-0.467, P<0.05), 정적 선 자세(r=-0.532, P<0.05), 앉은 자세에서 일어서기(r=-0.516, P<0.05)와 상관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발바닥의 높은 감각역치가 균형 능력 저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앞으로 뇌졸중 환자의 감각 역치에 대한 연구는 뇌졸중 환자의 재활과 감각 평가에 도움이 될 것이다.

원격의료 확대가 의료산업 구조변화 및 경쟁 확대에 미치는 영향과 정책적 시사점 - 미국 아마존의 헬스케어 분야 진출 사례를 중심으로 (The Effect of Telemedicine Expansion on the Structural Change and the Competition Increase in the Health Care Industry and its Policy Implication- Focusing on the case of Amazon's foray on the health care industry)

  • 이재희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8권3호
    • /
    • pp.405-413
    • /
    • 2022
  • COVID-19 이후 원격진료, 스마트 병원, AI 진단 등 ICT 기술과 데이터사이언스를 활용한 새로운 의료서비스모형의 활용이 크게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최근 미국에서 원격진료와 대면진료의 혼합 모형 운영, 소비자 중심의 온라인의약품 배송, 가정용 진단기기 개발, 그리고 진료 및 처방, 의약품 배송, 진단기기의 활용이 통합적으로 제공되는 새로운 모형 제시 등 미국 헬스케어산업에서 파괴적 혁신을 선도하는 아마존의 헬스케어 사업 모형을 살펴보았다. 특히 아마존 기존 사업분야와의 시너지 효과 등으로 인해 적극적 시장 확대 및 소비자 가치 증대가 발생함을 다품목시장에서의 시장확대 모형을 통해 보였고, 또한 소비자 선택 유도 확대 시 의료서비스 시장에서의 경쟁이 활성화됨을 호텔링의 공간경쟁모형을 통해 보였다. 분석 결과 소비자 가치 증대의 장점과 함께 공급기반 감소에 따른 경쟁 약화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므로 장기적으로 공정경쟁 관리 차원의 정책적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국가 암검진 사업의 주요 암종별 5년 생존율과 사회경제적 수준 및 요약병기의 관련성: 광주·전남 지역암등록본부 자료를 중심으로 (The Relationship between 5-year Overall Survival Rate, Socioeconomic Status and SEER Stage for Four Target Cancers of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 in Korea: Results from the Gwangju-Jeonnam Cancer Registry)

  • 강정희;김철웅;권순석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7-246
    • /
    • 2022
  • Purpose: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5-year survival rate, socioeconomic status, and SEER (Surveillance Epidemiology and End Results) stage of stomach, colorectal, breast and cervical cancer patients. Methods: A total of 11,770 cases of four target cancers, which were diagnosed during 2005-2007, were extracted from the database of Gwangju-Jeonnam Regional Cancer Registr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1,770 including stomach (n=5,479), colorectal (n=3,565), breast (n=1,516) and cervical cancers (n=710).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was used to obtain the hazards ratio (HR) according to the SEER stage and socioeconomic status. Results: Stomach cancer had a significantly higher HR in the medical aid recipients (HR=1.39), and the group below 20% (HR=1.20) compared to the group with the highest income level. Colorectal cancer had a significantly higher HR in the medical aid recipients (HR=1.26) than in the group with the highest income level. In addition, stomach, colorectal, breast and cervical cancers had a significantly higher HR according to the SEER stage in regional direct (stomach=4.10, colorectal=1.76, breast=12.90, cervical=3.10), regional lymph only(stomach=2.58, colorectal=2.33, breast=4.32, cervical=4.43), regional both (stomach=6.74 colorectal=3.04, breast=15.57 cervical=6.50), and regional NOS (Not Otherwise Specified)/distant (stomach=17.53, colorectal=11.53, breast=25.34, cervical=26.51) than in situ and localized only. Conclusion: In order to increase the cancer survival rate, a support system for early detection and early treatment of cancer should be established for groups with low individual income levels, and regular health checkups and management measures should be actively implemented through the National Cancer Screening Progra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