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yrosinase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ies

검색결과 116건 처리시간 0.032초

상황버섯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및 생리활성 (Antioxidative and Biological Activity of Hot Water and Ethanol Extracts from Phellinus linteus)

  • 김정옥;정미정;최향자;이진태;임애경;홍주헌;김대익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7권6호
    • /
    • pp.684-690
    • /
    • 2008
  • 상황버섯의 기능성식품 및 화장품 소재로서의 이용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상황버섯 열수 및 에탄올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 총페놀 화합물 함량, 전자공여능, 아질산염소거능, SOD 유사활성, tyrosinase의 저해활성 및 elast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의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열수 추출물 17.31 mg/g, 에탄올 추출물 42.61 mg/g이었으며, 총페놀성 화합물은 열수 추출물 149.92 mg/g, 에탄올 추출물 432.42 mg/g으로 에탄올 추출물에서 총플라보노이드 및 총페놀성 화합물을 다량 함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자공여능은 열수 추출물에서 $6.49{\sim}92.98%$, 에탄올 추출물에서 $22.61{\sim}94.28%$의 범위였으며, 에탄올 추출물에서 비교적 높은 활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총페놀성 화합물 함량과 전자공여능 사이에 높은 상관관계($R^2=0.83$)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아질산염소거능은 모든 pH 조건하에서 에탄올 추출물이 열수 추출물보다 높은 아질산염소거능을 나타내었으며, pH가 증가할수록 감소하였다. 상황버섯 추출물의 SOD 유사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는 $14.36{\sim}35.21%$, 에탄올 추출물에서는 $17.27{\sim}81.84%$의 범위로 분석되었으며, 농도에 따른 유의적 증가현상을 나타내었다. 상황버섯 추출물에 대하여 tyrosinase의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열수 추출물에서 $4.77{\sim}43.69%$, 에탄올 추출물에서 $10.51{\sim}80.93%$의 저해활성을 나타내어, 에탄올 추출물에서 tyrosinase 저해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상황버섯의 피부주름 개선 물질로서의 사용 가능성을 조사한 결과 에탄올 추출물이 $10.01{\sim}76.02%$의 elas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쌍화탕 추출물이 항산화효소 및 항노화관련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Ssanghwa-tang Extract on Antioxidant and Anti-aging Enzyme Activities)

  • 박지영;황재규;윤종국;한길환;도은주;김성옥;김미려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67-74
    • /
    • 2012
  • Objectives :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effects of Ssanghwa-tang (Shu$\bar{a}$nghu$\bar{a}$-g$\bar{e}$ng) on oxidation/reduction reaction-related and aging-related enzymes $in$ $vitro$. Methods : We performed MTT assay, collagenase inhibition assay, elastase inhibition assay, tyrosinase inhibition assay,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ssay, SOD-like activity and xanthine oxidase (XO) inhibition assay. Results : The 50% ethanol (EtOH) extract of Ssanghwa-tang (SHT) showed 55% inhibition of collagenase activity, and 42% inhibition of elastase activity at 1 mg/ml concentration. Also it's treatment showed 18% inhibition of tyrosinase activity, to relate whitening effect, at the same dose of 50% ethanol extract of SHT. Antioxidant activities were determined by DPPH radical scavenging, XO inhibiting activity and SOD-like activity. These scavenging, XO-inhibiting and SOD-like activities were measured in 80%, 75%, and 28% inhibitions, respectively, at a 1 mg/ml treated dose, compared to those of control. The inhibitory effects of 50% EtOH extract on aging and oxidation-related enzyme activities were higher than those of water extract and 95% EtOH extract. Conclusions : Taken together, our findings suggest that the SHT has potential and applicable benefits for development of cosmetics to have anti-aging (anti-wrinkle and whitening) and anti-oxidation functions.

제주 자생 식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세포 보호작용에 관한 연구(I) (Antioxidative and Cellular Protective Effects of Jeju Native Plant Extracts against Reactive Oxygen Species (I))

  • 박수남;최정원;김소이;전소미;김진영;양희정;이근하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1-191
    • /
    • 2006
  • 본 연구에서는 제주도에서 자생하는 36종의 식물 추출물에 대한 항산화, 미백 그리고 주름억제 효능을 조사하였다. 항산화 효능은 DPPH (1,1-diphenyl-2-picrylhydrazyl radical)을 이용한 free radical 소거 활성 측정,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OS)의 소거활성 측정,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 적혈구의 광용혈법을 이용한 세포보호 효과를 측정하였다. 미백 효능 검색으로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과 주름개선 효능검색으로 elastase의 저해 활성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DPPH의 free radical 소거활성은 소리쟁이 전초(Rumex crispus $FSC_{50};\;10{\mu}g/mL$)에서 높게 나타났고, 활성산소 소거활성은 질경이 전초(Plantago asiatica, $OSC_{50};\;0.006{\mu}g/mL$), 소리쟁이 전초($0.04{\mu}g/mL$), 세포보호활성은 $50{\mu}g/mL$ 농도에서 소리쟁이 전초($\tau_{50};\;1,140 min $, 후박나무 잎(Machilus thunbergii, 216 min) 및 노박덩굴 잎/줄기/꽃(Celastrus orbiculatus, 200 min)에서 크게 나타났다. $200{\mu}g/mL$ 농도에서 tyrosinase 저해활성은 뽕나무 줄기(Morus alba, 94.8%), elastase의 저해 작용은 소리쟁이 전초(81.8%), 뽕나무 줄기(74.6%), 노박덩굴 잎/줄기/꽃(63.1%)에서 큰 활성이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소리쟁이, 질경이, 후박나무 잎, 뽕나무 줄기 및 노박덩굴 잎/줄기/꽃 추출물은 기능성 화장품 제조를 위한 원료로 사용하기에 충분한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제품화를 위하여 좀더 다양한 연구들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증숙 횟수에 따른 천마 추출물의 피부 생리 활성 평가 (Evaluation of Dermal Bioactive Properties of the Gastrodiae Rhizoma Extract by Steaming Times)

  • 이아름;김건형;권오준;김수현;김경조;노성수
    • 대한본초학회지
    • /
    • 제33권1호
    • /
    • pp.27-35
    • /
    • 2018
  • Objectives : Gastrodiae Rhizoma extract (GE) is possess the various bioactive compounds such as gastrodin, vanilyl alcool and p-hydroxybenzyl alcohol. Various processing methods such as steaming have been widely applied to ease ingestion and enhance the therapeutic effects of plant materials including GE in East-Asia a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ermal bioactive properties of GE. Methods : First, total phenol, total flavonoid, gastrodin and ergothionein contents of GE were measured. In order to evaluate the dermal bioactive properties of steamed GE compared with not-steamed GE, tyrosinase, collagenase and elastase inhibitory activity were tested. Furthermore, the anti-oxidant activity of GE assessed based on DPPH and ABTS radical scavenging assay. Results : In results,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were increased when 9 times steamed compared to not-steamed GE. Also, GE increased gastrodin contents, in proportion to the number of steaming times and ergothioneine content was abolished in the steaming state.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E increased by steaming, but the ABTS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as not related to the steaming process. In addition, the tyrosinase inhibitory activity was increased as the number of steaming times of GE increased. Collagenase was most inhibited by 4 times steamed GE, and elastase was inhibited by 8 times steamed GE. Conclusion : In conclus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teamed GE extract has the potential as a cosmetic material which possess anti-oxidant and whitening activities than not steamed GE.

미백성 Tyrsoinase 저해물질 생산 비병원성 야생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 WJSL0191와 Papiliotrema laurentii ON30의 균학적 특성과 Tyrosinase 저해물질의 생산 (Microbiological Characteristics of Whitening Tyrosinase Inhibitor-producing Wild Yeasts, Saccharomyces cerevisiae WJSL0191 and Papiliotrema laurentii ON30 and Production)

  • 김지윤;이종수
    • 한국균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85-296
    • /
    • 2020
  • 본 연구는 야생효모로부터 미백성 tyrosinase 저해 물질을 생산하여 기능성 화장품 생산에 응용할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이를위해 대전광역시 3대 하천과 충남 금산의 향신료 재배지의 주변 토양들과 부식물 등에서 분리한 비병원성 효모들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하여 우수 균주들을 선발하여 이들의 균학적 특성과 tyrosinase 저해제 생산 조건을 조사하였다. 먼저 대전시 하천에서 분리한 야생효모들 중에서는 S. cerevisiae WJSL0191의 무세포추출물이 가장높은 33.2%의 tyrosinase 저해활성을 보였고 금산 향신료 재배지에서 분리한 효모중에서는 P. laurentii ON30가 27.3%로 가장 높은 활성을 보여 이들 두효모들을 우수균주들로 최종 선발하였다. 선발균주 모두 자낭포자를 형성하였으나 의균사를 형성하지 않았고 YPD 배지와 비타민을 첨가하지 않은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였다. 특히S. cerevisiae WJSL0191은 20% 포도당을 함유한 YPD 배지와 15% NaC을 함유한 YPD 배지에서 잘 생육하는 내당성과 호염성을 보였다. S. cerevisiae WJSL0191과 P. laurentii ON30의 주름생성 억제에 관련된 elastase 저해 활성은 각각 26.2, 18.6%를 보였고 노화 억제관련 SOD유사활성은 각각 10.2%와 3.7%로 나타내었다. S. cerevisiae WJSL0191의 tyrosinase 저해물질의 최적 생산 조건은 30℃에서 72시간동안 YPD 배지에서 배양하였을 때 최고 96.1%의 저해활성을 보였고, P. laurentii ON30은 YPD 배지로 20℃에서 24시간 배양하였을 때 30.4%의 최고 저해활성을나타내었다.

석곡(石斛), 석류(石榴)의 항산화, 항염증, 주름, 미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endrobii herba and Punica granatum Extract on the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ti-wrinkle and Whitening)

  • 황보민;노석선;서형식
    •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11-32
    • /
    • 2010
  • Objectiv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ffects of Dendrobii herba extract and Punica granatum extract on skin disease and skin beauty. Methods : To investigate in vitro anti-oxidant activity assay, ethanol extracts of medicinal plants tested by DPPH radical, xanthine oxidase activity. In the next experiment, to investigate anti-inflammatory activity assay, examined by relations in NO synthesis, IL-$1{\beta}$, IL-6, TNF-${\alpha}$, NF-${\kappa}B$, COX-2, MAP kinase. To study Skin wrinkle formation effect, we were examined by tyrosinase activities, melanin synthesis in MNT-1 cell. Results : 1. In an anti-oxidant test, Dendrobii and Punica granatum extract showed hig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2. In an anti-inflammatory test, Dendrobii herba and Punica granatum extract weakly inhibited the lipopolysaccharide(LPS)-induced nitric oxide(NO) release from RAW 246.7 macrophage cells. Dendrobii herba and Punica granatum extract also inhibited LPS-induced IL-$1{\beta}$ and COX-2 expressions. The inhibitory effect of Dendrobii herba and Punica granatum extract on macrophage activation were via the inhibition of NF-${\kappa}B$, evidenced by transient transfection assay. however, Dendrobii herba and Punica granatum extract did not have any effects about activation of Jun-N-terminal kinase(JNK) and inhibition of p38 MAP kinase in RAW 264.7 cells. 3. In the skin wrinkle formation assay, Dendrobii herba and Punica granatum extract weakly inhibited collagenase and elastase,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4. In the skin whitening assay, Dendrobii herba and Punica granatum extract weakly inhibited tyrosinase activity, however,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y did not have any effect on melanin synthesis, indicating that they could not be applicable for skin whitening. Conclusion : Dendrobii herba extract and Punica granatum extract may play a significant role in skin disease and skin beauty.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활성, 성분 분석 (Antioxidative Activity and Component Analysis of Quercus glauca Leaf Extracts)

  • 양희정;안유진;김재현;박수남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34권3호
    • /
    • pp.189-200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항산화, 성분 분석 및 elastase 저해 효과에 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추출물의 free radical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소거환성 $(FSC_{50})$은 50% 에탄을 추출물$(12.45{\mu}g/mL)$ < ethyl acetate 분획 (10.47) < 당을 제거시킨 플라보노이드 aglycone 분획 (8.57) 순으로 증가하였다. Luminol-의존성 화학발광법을 이용한 $Fe^{3+}-EDTA/H_2O_2$ 계에서 생성된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에 대한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총항산화능은 50% 에탄올 추출물$(OSC_{50},\;4.2{\mu}g/mL)$ < aglycone 분획(1.58) < ethyl acetate 분획 (0.66) 순으로, ethyl acetate 분획에서 가장 큰 활성을 나타내었다.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에 대하여 rose-bengal로 증감된 사람적혈구의 광용혈에 대한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경우 농도 의존적$(1{\sim}50{\mu}g/mL)$으로 광용혈을 억제하였다. 특히 당을 제거시킨 aglycone 분획은 $50{\mu}g/mL$ 농도에서 ${\tau}_{50}$ 398.67 min으로 매우 큰 세포보호 효과를 나타내었다.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 중 ethyl acetate 분획의 당 제거 반응 후 얻어진 aglycone 분획은 TLC에서 2개의 띠고 분리되었으며, HPLC 실험 (360 nm)에서도 2개의 피이크로 분리되었다. 분리된 2가지 성분은 quercetin 및 kaempferol이었으며, 그들의 성분비는 각각 55.77%, 44.23%로 quercetin의 함량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ethyl acetate분획의 TLC 크로마토그램은 6개의 띠$(QG1{\sim}QG6)$로 분리되었고. QG 3는 isoquercitrin, QC 4는 hyperin, QG 6는 rutin으로 확인되었다. Aglycone 분획은 tyrosinase 저해활성 $(IC_{50})$$73.5{\mu}g/mL$이고, elastase 저해환성 $(IC_{50})$$16.2{\mu}g/mL$로 활성을 나타내었다. 이상의 결과들은 종가시나무 잎 추출물이 $^1O_2$ 혹은 다른 ROS를 소광시키거나 소거함으로써 그리고 ROS에 대항하여 세포막을 보호함으로써 생체계, 특히 태양 자외선에 노출된 피부에서 항산화제로서 작용할 수 있음을 가리키며, 종가시나무 잎 성분 분석과 ethyl acetate 분획의 당 제거 실험 후 얻어진 aglycone분획의 tyrosinase, elastase 저해활성으로부터 기능성 화장품원료로서 응용 가능성이 있음을 시사한다.

백련(Nelumbo nucifera G.) 추출물 및 화장품에 첨가 시 생리활성 비교 (Comparison of Biological Activity between Nelumbo nucifera G. Extracts and Cosmetics Adding Nelumbo nucifera G.)

  • 이진영;유미라;안봉전
    • 생명과학회지
    • /
    • 제20권8호
    • /
    • pp.1241-1248
    • /
    • 2010
  • 백련을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항산화능,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검증한 후 W/O/W multiple emulsion에 첨가하여 기능성 화장품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백련 부위별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백련 잎 추출물이 213.5 mg/g 및 76.1 mg/g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백련 부위별 추출물의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백련 꽃과 잎 추출물 500 ppm에서 85% 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SOD 유사활성능 측정 결과 백련 잎 추출물 1,000 ppm에서 60%로 가장 높은 유사활성능을 나타내었다. 백련 부위별 추출물의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전반적으로 낮은 활성을 나타내었으나 백련 잎 추출물이 백련 꽃과 뿌리줄기 추출물에 비해 저해능이 높았다. 미백효과 검증으로 tyrosinase 저해활성을 측정한 결과 백련 꽃 추출물 1,000 ppm에서 36%의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주름억제 효과 측정 결과 백련 잎 추출물 1,000 ppm에서 30%의 elastase 저해활성을 나타내었다. 백련 부위별 추출물을 W/O/W multiple emulsion에 첨가하여 활성을 검증한 결과 전자공여능 측정 결과 백련 꽃과 잎 추출물 100 ppm에서 60% 이상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백련 부위별 추출물을 첨가한 W/O/W multiple emulsion의 SOD 유사활성능 측정 결과 백련 잎 추출물 1,000 ppm에서 30%의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xanthine oxid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백련 부위별 추출물 모두 비교적 낮은 저해능을 나타내었다. 백련 부위별 추출물을 첨가한 W/O/W multiple emulsion의 tyrosin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백련 꽃 추출물 1,000 ppm에서 34%의 활성을 나타내어 추출물과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었으며, elastase 저해활성 측정 결과 백련 잎 추출물 1,000 ppm에서 55%의 활성을 나타내었다.

Skin Permeability of Porcine Placenta Extracts and Its Physiological Activities

  • Han, JeungHi;Kim, Mi-Ryung;Park, Yooheon;Hong, Yang Hee;Suh, Hyung Joo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3권3호
    • /
    • pp.356-362
    • /
    • 2013
  • We investigated the skin permeability and various biological activities of porcine homogenate of placenta (HP) with the highest protein contents (452.89 ${\mu}g/mg$). The content of protein in subcritical extract of HP (SPE) was decreased from the initial content of 452.9 ${\mu}g/mg$ to 262.7 ${\mu}g/mg$ at 3 h subcritical extract. The contents of amino type nitrogen (A-N) were sharply increased from 35.1 ${\mu}g/mg$ of initial content to 305.9 ${\mu}g/mg$ at 3 h subcritical extract. The HP showed a noticeable activity in terms of antioxidant capacity for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assay and especially for 2,2'-Azinobis- (3-ethylbenzothiazoline-6-sulfonic acid) (ABTS) method. HP, SPE-0.5, SPE-2 and SPE-3 showed inhibitory effect on elastase activities with an $IC_{50}$ of 46.1, 42.9, 31.6 and 34.7 ${\mu}g/mL$, respectively. SPEs showed more significantly inhibitory effect than HP (p<0.05). The skin permeability of the SPEs was higher than that of the HP. SPE-3 showed highest skin permeation and the permeabilit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HP. SPE-2 also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meation than HP after 4 h. As expected, increase of extraction time significantly increased skin permeability in the subcritical extract of HP (SPE). From these results, in terms of cost and source availability, porcine placenta extracted with subcritical extraction has advantages over untreated PE and have potential as a cosmetic ingredient.

울릉도 자생식물 삼나물(Aruncusdioicus)의 항산화 활성 검증 (Verification of anti-oxidative activity of Aruncus dioicus, a native plant of Ulleungdo)

  • 김동희;문용선;손준호
    • Journal of Plant Biotechnology
    • /
    • 제42권1호
    • /
    • pp.55-59
    • /
    • 2015
  • 삼나물 추출물의 항산화 및 생리활성 효과를 검증하여 화장품의 기능성 소재로서의 가능성을 검증하였다. 항산화 실험 결과 삼나물의 ethyl acetate (EtOAc) 분획물 $1,000{\mu}g/mL$ 농도에서 DPPH, ABTS와 같은 전자 공여능 실험에서 가장 높은 활성을 나타났다. 미백효과 측정을 위한 tyrosinase 활성 억제도 삼나물 EtOAc 분획물에서 59.2%의 효과를 나타내었고, elastase 활성은 56% 그리고 collagenase 활성은 90% 저해효과로 항주름 효과가 검증되었다. 따라서 삼나물 추출물 특히 EtOAc 분획물은 우수한 항산화, 항주름 및 미백 생리활성으로 화장품의 새로운 기능성 소재로서 응용이 가능함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