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umor suppressor gene

Search Result 306, Processing Time 0.023 seconds

p16INK4a Promoter Hypermethylation in Sputum, Blood, and Tissue from Non-Small Cell Lung Cancer and Pulmonary Inflammation (비소세포폐암과 염증성 폐질환에서 가래와 혈액 및 조직에서 p16INK4a Promoter 과메틸화)

  • Kim, Jeong Pyo;Kim, Kyong Mee;Kwon, Soon Seog;Kim, Young Kyoon;Kim, Kwan Hyoung;Moon, Hwa Sik;Song, Jeong Sup;Park, Sung Hak;Ahn, Joong Hyu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60 no.2
    • /
    • pp.160-170
    • /
    • 2006
  • Background : The aberrant promoter hypermethylation of p16INK4a, as a tumor suppressor gene, is contributory factor to non-small cell lung cancer(NSCLC). However, its potential diagnostic impact of lung cancer is unclear. This study measured the level of $p16^{INK4a}$ promoter hypermethylation in the sputum and blood, and compared this with the level measured in the tissue obtained from NSCLC and pulmonary inflammation. Methods : Of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Our Lady of Mercy Hospital in Incheon, Korea for an evaluation of a lung mass and underwent blood, sputum, and tissue tests, 23patients (18 NSCLC, 5 pulmonary inflammation) were enrolled in this study. DNA was extracted from each sample and the level of p16INK4amethylation was determined using methylation-specific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ults : $p16^{INK4a}$ methylation of the blood was observed in 88.9% (16 of 18) and 20.0% (1 of 5) of NSCLC and from pulmonary inflammation samples, respectively (P=0.008). Methylation of the sputum was observed in 83.3% (10 of 12) 80.0% (4 of 5) of NSCLC and pulmonary inflammation samples, respectively (P=1.00). Among the 8 NSCLC tissue samples, methylation changes were detected in 75.0% of samples (6 cases). Four out of seven tissue samples (57.1%) showed concordance, being methylated in both the blood and sputum. Conclusions : There was a higher level of $p16^{INK4a}$ methylation of the blood from NSCLC patients than from pulmonary inflammation. The tissue showed a high concordance with the blood in the NSCLC sample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p16^{INK4a}$ promoter hypermethylation of the blood can used to discriminate between NSCLC and pulmonary inflammation.

Effect of Resveratrol on the Induction of Cdk Inhibitor p21 and Pro-apoptotic Bax Expression by amyloid-β in Astroglioma C6 Cells (신경교 세포에서 resveratrol이 amyloid-β에 의해 유도되는 Cdk inhibitor p21 및 Bax 발현의 감소 효과)

  • Kim Young Ae;Lim Sun-Young;Ko Woo Shin;Choi Byung Tae;Lee Yong Tae;Rhee Sook-Hee;Park Kun-Young;Lee Won-Ho;Choi Yung Hyun
    • Journal of Life Science
    • /
    • v.15 no.2 s.69
    • /
    • pp.169-175
    • /
    • 2005
  • Resveratrol (3,4',5-trihydroxy-trans-stilbene), a phytoalexin found in grape skins, peanuts, and red wine, has been reported to have a wide range of biological and pharmacological properties. $Amyloid-\beta$ deposition and senile plaque-associated astrocytes are common neuropathological features of Alzheimer's disease. In this study, we have explored the effects of resveratrol on $amyloid-\beta-peptide-mediated$ cytotoxicity in vitro and modulation of cell growth-regulatory gene products in astroglioma C6 cells to elucidate its possible mechanism for anti-cytotoxicity. Exposure of C6 cells to $Amyloid-\beta$ resulted in dose-dependent growth inhibition and morphological changes of C6 cells, which were recovered by pre-treatment with resveratrol. The anti-proliferative effect of $amyloid-\beta$ was associated with the induction of tumor suppressor p53 and cyclin-dependent kinase (Cdk) inhibitor p21 (WAF1/CIP1) expression assessed by RT-PCR and Western blot analysis in time-dependent manner in C6 cells. In addition, the pro-apoptotic Bax expression was also up-regulated in $amyloid-\beta-treated$ C6 cells without alteration of anti-apoptotic Bcl-2 and $Bcl-X_L$ expression. However, pre-treatment of resveratrol significantly inhibited $amyloid-\beta-induced$ p53, p21 and Bax levels, suggesting that the modulation of p53, p21 and Bax levels could be one of the possible pathways by which resveratrol functions as anti-cytotoxic agent. Our results demonstrate that resveratrol may enhance the protection against $amyloid-\beta-induced$ cytotoxicity by promoting the survival of glial cells.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for the Expression of p27, CDK4, and Uteroglobin in Resected Non-small Cell Lung Cancer (수술로 절제된 비소세포폐암에서 세포주기와 관련된 p27, CDK4, Uteroglobin의 발현에 관한 면역조직학적 분석)

  • Baek, Man-Sun;Hong, Seok-Gyun;Hong, Hyun-Ju;Um, Sang-Won;Lee, Kye-Young;Kim, Woo-Ho;Lee, Choon-Taek;Yoo, Chul-Gyu;Han, Sung-Koo;Shim, Young-Soo;Kim, Young-Whan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53 no.3
    • /
    • pp.253-264
    • /
    • 2002
  • Background : It has been reported that the expression of protein which influences on the cell cycle is significantly involved in the development, progress, treatment response, and survival of cancer, and also that the degree of expression of p27 and CDK4 is related to the prognosis. Recent research has revealed that uteroglobin, tumor suppressor gene, is related to cell cycle.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lations between expression of proteins related to cell cycle and clinical index of and survival of NSCLC. Methods : We examined immunohistochemically specimens of 110 surgically resected NSCLCs for expression of p27, CDK, Uteroglobin. Tissue array slide were obtained from 110 surgically resected NSCLCs.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as performed by immuno-peroxidase technique using avidin-biotinylated horseradish peroxidase complex. Results : In 110 patients with resected NSCLCs, the ratio of male to female was 87:13, the median age was $56.43{\pm}9.41$ yrs. The positive staining of p27 was detected in 75% of the cases. A non-statistically significant trend toward increased p27 expression was observed in smoker and squamous cell cancer. The positive staining of CDK4 was detected in 89%, which was the highest expression of protein among 3 types. The survival ratio of CDK4 negative staining group was higher than that of positive staining group, which was significant diffrernce(P<0.05). There was no association between p27 or uteroglobin expression and survival. Conclusion : The expression degree of CDK4 is related to the prognosis. This findings suggests that the measurement of CDK4 may be useful in identifying patient at high risk for disease recurrence and survival.

DNMT3b Promoter Polymorphism and Risk of Gas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한국인에서 DNMT3b 유전자 다형성과 위암의 감수성)

  • Kim, Sung Geun;Jung, Hun;Kim, Sin Sun;Jeon, Kyung Hwa;Song, Kyo Young;Kim, Jin Jo;Jin, Hyung Min;Kim, Wook;Park, Cho Hyun;Park, Seung Man;Lim, Keun Woo;Kim, Seung Nam;Jeon, Hae Myung
    • Journal of Gastric Cancer
    • /
    • v.7 no.1
    • /
    • pp.9-15
    • /
    • 2007
  • Purpose: DNA methylation is an important epigenetic factor in tumorigenesis. We hypothesized that polymorphism of the promoter of the DNA methyltransferase 3b (DNMT3b) genes, which are responsible for regulating the methylation status of tumor suppressor genes, are associated with increased risk of gastric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In this hospital-based case-control study, to determine the role of this polymorphism of the promoter of DNA methyltransferase 3b (DNMT3b) genes in gastric cancer, we genotyped 176 cases and 70 control subjects. To determine the genotype, we used a polymerase chain reaction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 assay. We compared alleles and genotypes between the two groups and revealed an association of DNMT3b promoter polymorphism with increased risk of gastric cancer in the Korean population. Results: Genotype frequencies were 14.8% (Cytosine-Cytosine), 71.6% (Cytosine-Thymine), and 13.6% (Thymine- Thymine) in the case patients and 40.0% (Cytosine-Cytosine), 42.9% (Cytosine-Thymine), and 17.1% (Thymine-Thymine) in the control subjects, respectively. Compared with CC homozygotes, CT heterozygotes had a 4.523-fold increased risk (OR, 2.13; 95% CI, 2.324~8.803), and the TT homozygotes had a 2.154-fold elevated risk (OR, 1.42; 95% CI, 0.899~85.165). For the T variant genotype (CT+TT), there was a 3.846-fold increased risk (OR, 1.88; 95% CI, 2.040~7.251). However, no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the genotype distributions of both polymorphisms according to histopathology, stage of stomach cancer. The Ssame results were observed with Helicobacter infection. Conclusion: DNMT3b promoter polymorphism, especially the T variant genotype, is associated significantly with thean increased risk of gastric cancer.

  • PDF

Aberrant Promoter Methylation of Death-Associated Protein Kinase in Serum DNA from Lung Cancer Patients (원발성 폐암 환자의 혈청에서 DAP kinase 유전자의 Methylation 양상)

  • Lee, Jun Hee;Lee, Jung Wook;Jung, Kyung Sik;Kim, Ki Uk;Lee, Tae Kun;Lee, Kyung Woo;Na, Min-Ah;Jeon, Doo Soo;Choi, Young Min;Kim, Yun Seong;Lee, Min Ki;Park, Soon Kew
    •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 /
    • v.55 no.4
    • /
    • pp.378-387
    • /
    • 2003
  • Background : Promoter methylat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is one of the key epigenetic changes in many human cance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moter methylation status of the Death-associated protein(DAP) kinase gene, which played an important role in lung cancer, in the serum DNA of primary lung cancer patients. Method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berrant methylation of DAP kinase in the serum of 65 primary lung cancer patients by methylation-specific PCR (MSP). Results : Methylation in the serum was detected in 29 of 65(44.6%) for DAP kinase. There was no statistical association between methylation of DAP kinase and age, smoking history, histologic type, or stage. Methylation of DAP kinase was found more frequently in men (p=0.044). Conclusions :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aberrant methylation of the DAP kinase promoter is readily detectable in the serum DNA of lung cancer patients using MSP analysis.

홍삼 유래 성분들의 면역조절 효능

  • Jo, Jae-Yeol
    • Food preservation and processing industry
    • /
    • v.8 no.2
    • /
    • pp.6-12
    • /
    • 2009
  •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원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고 외부감염원을 제거하고자 하는 주요항상성 유지기전의 하나이다. 이들 반응은 골수에서 생성되고 비장, 흉선 및 임파절 등에서 성숙되는 면역세포들에 의해 매개된다. 보통 태어나면서부터 얻어진 선천성 면역반응을 매개하는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등과, 오랜기간 동안 감염된 다양한 면역원에 대한 경험을 토대로 얻어진 획득성 면역을 담당하는 T 임파구 등이 대표적인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다. 다양한 면역질환이 최근 주요 사망률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 암, 당뇨 및 뇌혈관질환 등이 생체에서 발생되는 급 만성염증에 의해 발생된다고 보고됨에 따라 면역세포 매개성 염증질환에 대한 치료제 개발을 서두르고 있다. 또한 암환자의 급격한 증가는 암발생의 주요 방어기전인 면역력 증강에 대한 요구들을 가중시키고 있다. 예로부터 사용되어 오던 고려인삼과 홍삼은 기를 보호하고 원기를 회복하는 명약으로 알려진 대표적인 우리나라 천연생약이다. 특별히, 홍삼은 단백질과 핵산의 합성을 촉진시키고, 조혈작용, 간기능 회복, 혈당강하, 운동수행 능력증대, 기억력 개선, 항피로작용 및 면역력 증대에 매우 효과가 좋은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홍삼에 관한 많은 연구에 비해, 현재까지 홍삼이 면역력 증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한 분자적 수준에서의 연구는 매우 미미한 것으로 확인되어져 있다. 홍삼의 투여는 NK 세포나 대식세포의 활성이 증가하고 항암제의 암세포 사멸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어졌다. 현재까지 알려진 주요 면역증강 성분은 산성다당류로 보고되었다. 또 한편으로 일부 진세노사이드류에서 항염증 효능이 확인되어졌으며, 이를 통해 피부염증 반응과 관절염에 대한 치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본 연구는 KT&G 연구출연금 (2009-2010) 지원을 받아 이루어졌기에 이에 감사드린다]. 면역반응은 외부 감염물질의 침입으로 유도된 질병환경을 제거하고 수복하는 중요한 생체적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이들 과정은 체내로 유입된 미생물이나 미세화학물질들과 같은 독성물질을 소거하거나 파괴하는 것을 주요 역할로 한다. 외부로 부터 인체에 들어온 이물질에 대한 방어기전은 현재 두 가지 종류의 면역반응으로 구분해서 설명한다. 즉, 선천성 면역 반응 (innate immunity)과 후천성 면역 반응 (adaptive immunity)이 그것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은 1) 피부나 점막의 표면과 같은 해부학적인 보호벽 구조와 2) 체온과 낮은 pH 및 chemical mediator (리소자임, collectin류) 등과 같은 생리적 방어구조, 3) phagocyte류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및 호중구 등)에 의한 phagocytic/endocytic 방어, 그리고 4) 마지막으로 염증반응을 통한 감염에 저항하는 면역반응 등으로 구분된다. 후천성 면역반응은 획득성면역이라고도 불리고 특이성, 다양성, 기억 및 자기/비자기의 인식이라는 네 가지의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외부 유입물질을 제거하는 반응에 따라 체액성 면역 반응 (humoral immune response)과 세포성 면역반응 (cell-mediated immune response)으로 구분된다. 체액성 면역은 침입한 항원의 구조 특이적으로 생성된 B cell 유래 항체와의 반응과 간이나 대식세포 등에서 합성되어 분비된 혈청내 보체 등에 의해 매개되는 반응으로 구성되어 있다. 세포성 면역반응은 T helper cell (CD4+), cytotoxic T cell (CD8+), B cell 및antigen presenting cell 중개를 통한 세포간 상호 작용에 의해 발생되는 면역반응이다. 선천성 면역반응의 하나인 염증은 우리 몸에서 가장 빈번히 발생되고 있는 방어작용의 하나이다. 예를 들면 감기에 걸렸을 경우, 환자의 편도선내 대식세포나 수지상세포류는 감염된 바이러스 단독 혹은 동시에 감염된 박테리아를 상대로 다양한 염증성 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또한, 상처가 생겼을 경우에도 감염원을 통해 유입된 병원성 세균과 주위조직내 선천성 면역담당 세포들 간의 면역학적 전투가 발생되게 된다. 이들 과정을 통해, 주위 세포나 조직이 손상되면, 즉각적으로 이들 면역세포들 (주로 phagocytes류)은 신속하게 손상을 극소화하고 더 나가서 손상된 부위를 원상으로 회복시키려는 일련의 염증반응을 유도하게 된다. 이들 반응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발적 (redness), 부종 (swelling), 발열 (heat), 통증 (pain) 등의 증상으로 나타나게 된다. 즉, 손상된 부위 주변에 존재하는 모세혈관에 흐르는 혈류의 양이 증가하면서 혈관의 직경이 늘어나게 되고, 이로 인한 조직의 홍반과, 부어 오른 혈관에 의해 발열과 부종이 초래되는 것이다. 확장된 모세혈관의 투과성 증가는 체액과 세포들이 혈관에서 조직으로 이동하게 하는 원동력이 되고, 이를 통해 축적된 삼출물들은 단백질의 농도를 높여, 최종적으로 혈관에 존재하는 체액들이 조직으로 더 많이 이동되도록 유도하여 부종을 형성시킨다. 마지막으로 혈관 내 존재하는 면역세포들은 혈판 내벽에 점착되고 (margination), 혈관벽의 간극을 넓히는 역할을 하는 히스타민 (histamine)이나 일산화질소(nitric oxide : NO), 프로스타그린딘 (prostagladins : PGE2) 및 류코트리엔 (leukotriens) 등과 같은 chemical mediator의 도움으로 인해 혈관벽 사이로 삼출하게 되어 (extravasation), 손상된 부위로 이동하여 직접적인 외부 침입 물질의 파괴나 다른 면역세포들을 모으기 위한 cytokine (tumor necrosis factor [TNF]-$\alpha$, interleukin [IL]-1, IL-6 등) 혹은 chemokine (MIP-l, IL-8, MCP-l등)의 분비 등을 수행함으로써 염증반응을 매개하게 된다. 염증과정시 발생되는 여러 mediator 중 PGE2나 NO 및 TNF-$\alpha$ 등은 실험적 평가가 용이하여 이들 mediator 자체나 생성관련효소 (cyclooxygenase [COX] 및 nitric oxide synthase [NOS] 등)들은 현재항염증 치료제의 개발 연구시 주요 표적으로 연구되고 있다. 염증 반응은 지속기간에 따라 크게 급성염증과 만성염증으로 나뉘며, 삼출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장액성, 섬유소성, 화농성 및 출혈성 염증 등으로 구분된다. 급성 염증 (acute inflammation)반응은 수일 내지 수주간 지속되는 일반적인 염증반응이라고 볼 수 있다. 국소반응은 기본징후인 발열과 발적, 부종, 통증 및 기능 상실이 특징적이며, 현미경적 소견으로는 혈관성 변화와 삼출물 형성이 주 작용이므로 일명 삼출성 염증이라고 한다. 만성 염증 (chronic inflammation)은, 급성 염증으로부터 이행되거나 만성으로 시작된다. 염증지속 기간은 보통 4주 이상 장기화 된다. 보통 염증의 경우에는 염증 생성 cytokine인 Th1 cytokine (IL-2, interferone [IFN]-$\gamma$ 및 TNF-$\alpha$ 등)의 생성 후, 거의 즉각적으로 항 염증성 cytokine인 Th2 cytokine(IL-4, IL-6, IL-10 및 transforming growth factor [TGF]-$\beta$ 등)이 생성되어 정상반응으로 회복된다. 그러나, 어떤 원인에서든 면역세포에 의한 염증원 제거 반응이 문제가 되면, 만성염증으로 진행된다. 이 반응에 주로 작용을 하는 염증세포로는 단핵구와 대식세포, 림프구, 형질세포 등이 있다. 암은 전세계적으로 사망률 1위의 원인이 되는 면역질환의 하나이다. 산화적 스트레스나 자외선 조사 혹은 암유발 물질들에 의해 염색체내 protooncogene, tumor-suppressor gene 혹은 DNA repairing gene의 일부 DNA의 돌연변이 혹은 결손 등이 발행되면 정상세포는 암화과정을 시작하게 된다. 양성세포 수준에서 약 5에서 10여년 후 악성수준의 암세포가 생성되게 되면 이들 세포는 새로운 환경을 찾아 전이하게 되는데 이를 통해 암환자들은 다양한 장기에 동인 오리진의 암세포들이 생성한 종양들을 가지게 된다. 이들 종양세포는 정상 장기의 기능을 손상시켜며 결국 생명을 잃게 만든다. 이들 염색체 수준에서의 돌연변이 유래 암세포는 거의 대부분이 체내 면역시스템에 의해 사멸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스트레스나 암유발 물질의 노출은 체내 면역체계를 파괴하면서 최후의 방어선을 무너뜨리면서 암발생에 무방비 상태를 만들게 된다. 이런 이유로 체내 면역시스템의 정상적 가동 및 증강을 유도하게 하는 전략이 암예방시 매우 중요한 표적으로 인식되면서 다양한 형태의 면역증강 물질 개발을 시도하고 있다. 인삼은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써, 오랜동안 한방 및 민간에서 원기를 회복시키고, 각종 질병을 치료할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전통생약이다. 예로부터 불로(不老), 장생(長生), 익기(益氣), 경신(經身)의 명약으로 구전되어졌는데, 이는 약 2천년 전 중국의 신농본초경(神農本草經)에서 "인삼은 오장(五腸)을 보하고, 정신을 안정시키고, 혼백을 고정하며 경계를 멈추게 하고, 외부로부터 침입하는 병사를 제거하여주며, 눈을 밝게 하고 마음을 열어 더욱 지혜롭게 하고 오랫동안 복용하면 몸이 가벼워지고 장수한다" 라고 기술되어있는 데에서 유래한 것이다. 다양한 연구를 통해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고려인삼 (Panax ginseng)이 효능 면에서 가장 탁월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특별이 고려인삼으로부터 제조된 고려홍삼은 전세계적으로도 그 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되어 있다. 대부분의 홍삼 약효는 dammarane계열의 triterpenoid인 ginsenosides라고 불리는 인삼 saponin에 의해 기인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들 화합물군의 기본 골격에 따라, protopanaxadiol (PD)계 (22종) 및 protopanaxatriol (PT)계 (10종)으로 구분되고 있다 (표 1). 실험적 접근을 통해 인삼의 약리작용 이해를 위한 다양한 노력들이 경주되고 있으나,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충분히 이해되고 있지 않다. 그러나, 현재까지 연구된 인삼의 약리작용 관련 연구들은 심혈관, 당뇨, 항암 및 항스트레스 등과 같은 분야에서 인삼효능이 우수한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그러나 면역조절 및 염증현상과 관련된 최근 연구결과들은 많지 않으나, 향후 다양하게 연구될 효능부분으로 인식되고 있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