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glyceride content

검색결과 629건 처리시간 0.032초

랫드에서 thioacetamide의 반복 투여로 유도된 간 손상에 대한 민들레 추출물의 효과 (Protective effects of dandelion extract against liver damage by repeated administration of thioacetamide in rats)

  • 문선진;신성식;손창호;오기석;김하정;정지영;서국현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0권2호
    • /
    • pp.107-117
    • /
    • 2017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of hepatoprotective effect of dandelion water extract (DWE) according to repeated administration of thioacetamide (TAA) induced hepatotoxicity in Spraque-Dawley rats. Thirty rats were randomly assigned to 5 groups; normal control, DWE-control, TAA-control (TAA injection during the feeding of normal diet), TAA&DWE600 (TAA repeated injection during the feeding of DWE 600 mg/kg BW), TAA&DWE1200 (TAA repeated injection during the feeding of DWE 1,200 mg/kg BW). Rats in DWE-control and TAA&DWE groups were treated with DWE (600 or 1,200 mg/kg BW daily) by gavage for 20 days (twice a day). All the rats in the TAA-control and TAA&DWE groups were repeated injection of TAA (100 mg/kg BW) into the abdominal cavity 3 days interval and 12 hrs later, all rats were sacrificed. At the same time, normal control and DWE-control groups were injected normal saline. In TAA&DWE groups, serum alanine and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AST)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triglyceride (TG) synthesi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AA group. As well as total billilubin and GGT were slightly decreased by the treatment of DWE. Lipid peroxidation (MDA)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and hepatic GSH content was slightly or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TAA&DWE groups compared to TAA group. Hepatic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such as GSH, GST, SOD and catalase were slightly or significantly elevated by the treatment of DWE. According to these results, When dandelion extract was long term supplied, it could be used as a potential protective material for a longer time liver damage by repeated adminstration of the TAA.

한국 재래 검점콩의 지방질 조성에 관한 연구 (Studies on the Composition of Lipid Class and Fatty Acid of Korean Black Soybean)

  • 이경임;유정희;이숙희;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7권3호
    • /
    • pp.262-268
    • /
    • 1988
  • 검정콩을 chloroform-methanol(2 : 1, v/v) 용매로 추출하여 얻은 총지방질을 SACC로 중성지방질, 당지방질 및 인지방질로 분획하고, 이들의 조성을 TLC에 의하여 분별하였으며, GC에 의하여 지방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검정콩의 총지방질중 중성지방질은 $88.5{\sim}89.2%$, 당지방질은 $2.4{\sim}2.5%$,, 인지방질은 $8.4{\sim}9.0%$였다. 중성지방질 조성중 triglycerides가 주된 성분이었으며, diglycerides, sterols, steryl esters, free fatty acids, hydrocarbons 등을 함유하고 있었다. 당지방질 성분으로는 monogalactosyl diglycerides 및 esterified steryl glycosides, cerebrosides 및 steryl glycodes, digalactosyl diglycerides 등이 분별정량되었으며, 인지방질에서는 phosphatidyl ethanolamine, phosphatidyl choline, phosphatidyl inositol, phosphatidyl serule 및 lysophosphatidyl choline이 분별정량되었다. 검정콩의 지방산 조성은 중성지방질의 경우 linoleic acid 함량이 가장 높고, oleic acid가 상당량 함유되어 있으며, 당지방질도 이와 비슷하나 olelc acid함량이 다소 낮은 반면 palmitic acid와 linolenic acid함량이 약간 높았다. 또한 인지방질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 함량은 높으나 그외는 적은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쌀보리 결합지질의 추출과 그 조성에 관한 연구 (Extraction and Composition of Bound Lipids in Naked Barley)

  • 김혜경;김복남;최홍식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18권1호
    • /
    • pp.109-114
    • /
    • 1989
  • 쌀보리가루에서 결합지질을 방법을 달리하여 추출하고 이들을 중성지질, 당지질, 인지질등으로 분획하였으며 다시 이 분획된 성분들의 구성 지질들을 분별 정량한 다음 각 지질들의 지방산 조석을 분석하였다. Water saturated butanol ($25^{\circ}C$, WSB-LT) 추출 결합지질에서는 중성, 당, 인지질의 함량이 각각 35.5%, 32.4%, 32.1% 그리고 WSB($95^{\circ}C$, WSB-HT)추출 결합지질에서는 인지질의 함량이 50.6%로 가장 많았다. 중성지질 성분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성분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것은 triglyceride$(66{\sim}82.9%)$이고 그외 free fatty acid, free sterol, diglycericte, esterified sterol 등이 분별정량되었으며, 당지질 성분중에서는 digalactosyl diglycerides, cerebrosides, steryl glycosides, monogalactosyl diglycerides등이 주요 구성성분이였고 이중 digalactosyl diglyceride$(40.2{\sim}44.8%)$의 함량이 가장 많았다. 인지질의 경우에는 lysophosphatidyl choline $(20.3{\sim}34.4%)$, phosphatidyl choline & phsphatidyl serine$(18.6{\sim}22.5%)$, phosphatidyl ethanolamine$(18.4{\sim}28.2%)$, dtphosphatidyl glycerols $(10.5{\sim}16.9%)$등으로 그 성분이 구성되어 있었으며, 대체로 구성성분은 추출방법에 따른 차이를 발견할 수 있었으나 인지질외에는 그 차이가 심하지 않았다. 또한 쌀보리에서 추출한 결합지질의 주요 지방산은 linoleic acid와 palmitic acid로서 추출방법에 따른 지방산 조성의 큰 차이점은 없었으며, 특히 중성지질에서는 palmitic acid 함량이 $34.3{\sim}38.2%$, linoleic acid 함량이 $44.2{\sim}48.8%$였다.

  • PDF

톳(Hijikia fusiforme) 추출물이 고지혈증 횐쥐의 지질대사 및 간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jikia fusiforme Extracts on Lipid Metabolism and Liver Antioxidative Enzyme Activities in Triton-Induced Hyperlipidemic Rats)

  • 정복미;안창범;강성조;박정현;정덕화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0권6호
    • /
    • pp.1184-1189
    • /
    • 2001
  • 본 연구는 용매별 톳 추출물이 고지혈증을 유발한 횐쥐의 혈청과 간의 지질 및 항 산화 효소활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체중이 평균 100 g 되는 Sprague-Dawley계 수컷 횐쥐를 7마리씩 7군으로 나누어 1군은 정상군, 2군 이하 7군까지는 용매별 톳 추출물을 체중 kg당 0.5 mg의 용량을 복강으로 일주일간 주사한 다음 마지막 날 체중 kg당 triton 0.5 mg을 복강으로 투여하여 고지혈증을 유발하여 나타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혈청 및 간 중 유리 콜레스테롤함량은 핵산층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난 반면 HDL-콜레스테롤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에탄올층과 핵산층 투여군이 유의적으로높았다. 혈청 및 간의 총 콜레스테롤 함량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수층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특히 간 은 에탄올층 투여군과 에틸아세테이트층 투여군이 대조군에 비해 낮게 나타났다. 수층 투여군의 혈청 중 중성지방함량은 대조군에 비하여 에탄올층 투여군과 핵산층 투여군이 유의하게 낮게 나타났다. 간 중 TBARS 함량은 대조군에 비해 수용성, 비수용성 톳 분회물 투여군의 TBARS함량이 모두 낮게 나타났다. 간 중 SOD의 활성도는 대조군에 대해 톳 수층 투여군이 낮은 경향이었고, 비수용성 대조군에 비해 핵산층 투여군이 유의적으로 낮은 경향을 보였다. 간의 catalase 활성도의 경우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과 분획물 투여군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에틸아세테이트층 투여군은 정상군 수준 이하로 떨어졌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톨은 생체내 항 고지혈증, 항 고콜레스테롤 및 항 산화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 PDF

어유와 대두유로부터 기능성 유지의 효소적 합성 (Enzymatic Synthesis and Characterization of Structured Lipids from Docosahexaenoic Acid - Enriched Fish oil and Soybean oil)

  • 김유미;전미선;이정희;이기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5권3호
    • /
    • pp.437-444
    • /
    • 2008
  • 본 연구에서는 DHA-enriched fish oil 과 대두유를 비율(w/w)을 달리하여 반응시키고 그 특성을 알아보았다. 어유의 비율이 증가할수록 trilinolein(LLL) peak는 감소하였고, 새로운 피크의 형성은 점차 증가하였다. 재구성 지질(어유 : 대두유 = 5 : 5, w/w, $55^{\circ}C$, 240, 180 rpm)의 지방산 조성 분석 결과 대두유에서 볼 수 없었던 DHA가 약 13% 증가한 반면, linoleic acid는 24.17% 감소하였으며 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약 23%, 불포화 지방산의 함량은 약 77%이었다. 위치별 지방산 함량으로 sn-2 position은 약 linoleic acid 28%, oleic acid 22%, DHA 18% 그리고 palmitic acid 17% 이었다 재구성 지질의 tocopherol 분석 결과 $\alpha$, $\gamma$, and $\delta$-tocopherol 함량은 각각 23.58 mg/100 g, 32.28 mg/100 g, 17.94 mg/100 g이었다. 대두유와 비교하여 재구성 지질의 $\alpha$-tocopherol은 2.1배 증가하였으며, $\gamma$-tocopherol은 1.6배 감소하였다. 유지의 산패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도기간(induction period)을 측정한 결과 기질로 사용한 어유 보다는 대두유와 어유를 반응시킨 재구성 지질의 유도기간이 길었으며, 재구성 지질에 항산화제를 첨가한 군 간의 유도기간은 단일 항산화제를 첨가한 군이 최대 2.1배 길었다. 그리고 항산화제 첨가에 따른 향기 패턴을 알아본 결과 항산화제를 첨가하지 않은 그룹과 항산화제를 첨가한 그룹간에 향기 패턴에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통일미(統一米)의 저장에 따른 기호특성(嗜好特性) 및 지질성분(脂質成分)의 변화 (Changes in Eating Quality and Lipid Components of Tongil Rice Variety in Storage)

  • 황보정숙;이서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74-79
    • /
    • 1976
  • 국내에서 다수확품종으로 육성된 Indica형 장려품종인 통일미(米)와 Japonica형 재래 장려품종인 진흥미(米)를 $5^{\circ}C$$30^{\circ}C$에 6개월 저장한 후 기호특성(嗜好特性) 및 지질(脂質)성분의 변화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최적가수율로 취반(炊飯)한 미반(米飯)의 texture특성은 어느 경우에나 저장에 의하여 hardness, cohesiveness, gumminess의 증가와 adhesiveness의 감소를 보였으며, 관능검사 결과는 두 품종이 모두 $5^{\circ}C$에 저장한 경우는 별 이상이 없었으나, $30^{\circ}C$에 저장한 경우 고미취(古米臭)가 발생하였고 진흥미의 경우 끈기가 현저히 감소하였다. 저장전 시료에서 지질(脂質)을 분별추출한 결과, 유리지질(遊離脂質)은 결합지질(結合脂質)의 5배나 되었으며 통일미는 진흥미의 $70{\sim}80%$에 해당하였다. 저장중 결합지질은 소량씩 증가 하는 경향이 있었으나, 유리지질은 $5^{\circ}C$저장의 경우 두 품종이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 반면 $30^{\circ}C$ 저장의 경우 통일미에서는 증가하나 진흥미에서는 감소하는 경향이 있었다. 저장 전 시료에서 추출정제한 유리지질에서는 triglyceride, free fatty acid, sterol ester를 주성분으로 하는 9개 성분을 확인하였고, 결합지질에서는 free fatty acid, sterol ester를 주성분으로 하는 8개 성분을 확인하였다. 저장중 유리지질은 결합지질보다 그리고 진흥미는 통일미보다 지질성분의 변화가 더욱 심하였다. 결국 통일미는 진흥미보다 저장성이 우수하며 저장중 변질(變質)은 주로 유리지질에서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 PDF

톳 분획물이 3T3-L1 지방전구세포의 분화 및 지방생성의 억제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zikia fusiforme Extracts on Adipocyte Differentiation and Adipogenesis in 3T3-L1 Preadipocytes)

  • 최은옥;김향숙;한민호;최영현;김병우;황진아;황혜진
    • 생명과학회지
    • /
    • 제22권10호
    • /
    • pp.1399-1406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톳 분획물의 항비만 효과 및 그에 따른 생화학적 기전의 해석을 위하여 톳 분획물이 비만유도인자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유발된 adipogenesis 과정에 있어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조사하였고, 이때 $PPAR{\gamma}$, C/$EBP{\alpha}$ 및 C/$EBP{\beta}$ 등과 같은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들의 발현에 어떠한 변화가 유발되었는지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톳 분획물들이 성숙한 지방세포에서 나타나는 lipid droplet 및 TG 생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를 확인한 결과, 모든 분획물에서 lipid droplet 및 TG 생성억제가 나타났지만 특히 WFHF 처리군에서 이러한 현상이 가장 강하게 나타났다. 또한 lipid droplet 및 TG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adipogenic transcription factor들의발현에각각의분획물들이 어떠한영향을미치는지를확인한결과,WFHF 처리군에서 $PPAR{\gamma}$, C/$EBP{\alpha}$ 및 C/$EBP{\beta}$의 발현이 현저하게 감소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다섯 종류의 톳 분획물 모두 비만억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WFHF의 비만억제 효과가 강하게 나타났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톳의 비만억제 가능성을 제시하는 것으로서 항비만 기전에 대한 생화학적 해석 및 이를 활용한 향후 지속적인 연구를 위한 자료로서 그 가치가 매우 높을 것으로 생각된다.

황토 첨가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Supplementation of Loess on the Performance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s)

  • 최일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32권1호
    • /
    • pp.1-7
    • /
    • 2005
  • 본 연구는 황토의 첨가 급여가 육계의 생산성과 육질 및 혈액 성상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시험설계는 황토의 첨가수준을 0, 1.5, 3.0및 $5.0\%$로 4개의 처리구로 6주간 실시하였다. 증체량과 사료 요구율은 모든 황토 첨가구 보다 대조구에서 높았으나 유의적 차이는 없었다. 계육의 수분 함량은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P<0.05) 높았고, 조지방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P<0.05) 낮았으나, 조단백질 함량과 조회분 함량은 처리구간의 차이가 없었다. 근육내 pH는 모든 처리구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보수력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높았다. 계육의 육색 중에서 명도는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증가한 반면, 적색도와 황색도는 차이가 없었다. 불포화지방산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황토-$3\%$와 황토-$5\%$ 첨가구에서 높았다. 혈액성분 중에서 HDL-cholesterol 과 중성지방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P<0.05) 낮았다. 계분의 수분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모든 황토 첨가구에서 유의적으로 (P<0.05)낮았다. 위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육계사료에 황토를 첨가하였을 때 생산성에는 큰 차이가 없었으나 육질개선에는 효과가 있다고 생각된다.

황기의 첨가.급여가 육계의 생산성 및 혈액의 성상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Dietary Supplemental Astragalus membranaceus on Performance, Blood Components and Meat Quality of Broiler Chicks)

  • 류경선;강창원;송근섭;백승운
    • 한국가금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185-193
    • /
    • 1998
  • 본 연구는 황기의 사료내 첨가·급여가 육계의 항병성, 생산성 및 계육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구명하고자 시행하였다. 기초사료는 전기 3주와 후기 2주에 각각 21과 19% 수준의 조단백질이 함유되었다. 시험설계는 황기의 첨가수준을 0, 0.25, 0.50, 1.00%로 4개의 처리구로 하였고, 처리구당 4반복으로 하였으며, 반복당 50수씩 800수를 이용하였다. 증체량, 사료섭취량, 사료요구율은 5주동안 매주 측정하였고, 시험 종료시에 혈액의 성상 및 계육의 지방과 단백질함량을 조사하였다. 황기 첨가구는 대조구에 비하여 성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으나, 사료섭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현저하게 감소하였고(P<0.05), 사료효율은 0.25%첨가구에서 개선되는 경향을 보였다. 육계용 사료에 황기의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혈청 콜레스테롤과 AST는 감소하였으며, 헤마토크릿, 지방, 인과 BUN의 수준은 0.25%첨가구에서 감소하였다. 혈청 GH와 IGF-1은 0.50과 1.00% 황기 급여구에서 대조구에 비하여 낮았다. 0.25와 0.50%황기 첨가구에서 가슴육의 지방과 단백질함량은 대조구에 비하여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0.50%이상의 수준에서는 일관성이 없었다. 본 시험의 결과 육계용 사료에 황기의 적정 첨가수준은 0.25%이하에서 생산성과 항병성 및 계육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PDF

거정석 첨가 급여가 비육한우의 체중 증가량, 혈액 성상, 면역성 및 도체등급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ary Addition of Pegmatite on Body Weight Gain, Blood Characteristics, and Immunity and Carcass Grade for Fattening Hanwoo)

  • 김병기;하재정;이준구;오동엽;정대진;황은경;최성복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30권4호
    • /
    • pp.703-709
    • /
    • 2017
  •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n weight and average daily gain, carcass grade, and blood characteristics and immunity in case of dietary addition of pegmatite to Hanwoo steers. Relative to Hanwoo steers, initial body weight was $257.3{\pm}11.74kg$ (8-months old after birth). Forty-eight Hanwoo steers were fed for 24 months using random arrangement (4 treatment plots${\times}$4 heads${\times}$3 repeat). The treatment plot (498.75~500.82 kg) had higher weight during the early fattening stage compared with that of the control plot (474.37 kg) (p<0.05). Regarding total cholesterol of the blood, the value was similar to one during initiation of testing, but the value increased gradually based on the progress of fattening. In addition, the triglyceride was considerably low in T2~T3 plots with high addition of pegmatite during the late fattening stage compared with other treatment plots (p<0.05). This study revealed a tendency in the IgG content that represented immunity as the addition of pegmatite became higher (p>0.05). This study found that the treatment plot (441.55~452.10 kg) had higher carcass weight compared with the control plot (436.30 kg). However,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treatment plot (2.30~2.55 points) had higher carcass quantity grade compared with the control plot (2.11 points). This study found that the control plot (3.55 points) had higher carcass quality grade compared with the treatment plot (2.67~3.09 points) (p>0.05). With studies combined, it was determined that dietary addition of pegmatite to the feed as clay minerals in fattening Hanwoo steers would improve feed intake, body weight gain and carcass quantity gra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