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glyceride concentrations

검색결과 698건 처리시간 0.032초

육군자탕가감방 에탄올 추출물의 비만 및 고지혈증 유도 흰쥐에 대한 억제효능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Modified Yukgunga-tang on Obesity and Hyperlipidemia in Rats Induced by High Fat Diet)

  • 박정현;강희;안광석;심범상;김성훈;최승훈;안규석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3호
    • /
    • pp.685-694
    • /
    • 2009
  • This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inhibitory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modified Yukgunja-tang(mYGJT) on high-fat diet-induced obesity and hyperlipidemia in Sprague-Dawley rats, Animals were divided into normal, control, mYGJT(100 mg/kg and 200 mg/kg) treated groups. Obesity with hyperlipidemia was induced by high fat diet treatment for 6 weeks. mYGJT was given to the amimals by oral gavage for 4 weeks, starting at the high-fat diet regimen, The effect of mYGJT on the differentiation of 3T3 L1 adipocytes in vitro and serological paramamters for obesity and hyperlipidemia in vivo were evaluated, mYGJT significnatly inhibited the differentiation of 3T3 L1 adipocytes in a concentration dependent manner. mYGJT treatment siginficantly reduced body weight, abdominal and epididymal fat weight, and FER(Food Efficiency Ratio) compared with control group in a dose dependent manner. It also signficantly inhibited the levels of serum total lipid, triglyceride, phospholipid, total cholesterol, LDL, AI(Atherosclerosis Index) and returned the serum HDL to normal. Total lipids, triglycerides and cholesterols in the liver, as well as malondialdehyde(MDA) and hydroxy radical in the serum were significantly reduced. However, superoxide dismutase(SOD) activity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mYGJT treated group compared with control group. Finally, mYGJT treatment signficantly decreased the MDA and protein carbonyl concentrations of the hepatic homogenate but signficantly increased the activities of SOD, GSH-Px and Catalase. Taken togeth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mYGJT can be clinically useful in inhibiting high-fat diet-induced obesity and hyperlipidemia.

산사(山査)가 노화유발(老化誘發) 흰쥐의 항산화능(抗酸化能)에 미치는 영향(影響) (Effect of CRATAEGII FRUCTUS(山査) on Antioxidant Capacity in D-galactose induced Aging Rats)

  • 김경호;이송실;백진웅;이상재;김광호
    • 대한예방한의학회지
    • /
    • 제8권2호
    • /
    • pp.65-80
    • /
    • 2004
  • Objectives : CRATAEGII FRUCTUS(山査) is known as the substance which delays aging by the antioxidant eff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CRATAEGII FRUCTUS(山査)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ies such as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TBARS), Superoxide dismutase(SOD), Catalase(CAT), Glutathione peroxidase (GSH-px) in rat erythrocytes and blood plasma. Methods : Sprague-Dawley rats were divided into 3 groups, Normal group (supplied enough water and feeds only, Normal Group), D-galatose administered group(injected D-galatose 50mg/kg, 1time/day for 6 weeks, Control Group) and CRATAEGII FRUCTUS(山査) administered group (D-galactose 50mg/kg and CRATAEGII FRUCTUS(山査) extracts 85.0mg/200g 1time/day for 6 weeks, SS Group). Rats were sacrificed and TBARS, SOD, CAT, GSH-px, neutral fat and cholesterol were measured in rat erythrocytes and blood plasma. Results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TBARS in the blood plasma between each experimental group. Red blood cell SOD activitie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group. They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to those of Normal and there was an increasing phenomenon in the SS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ctivities of the red blood cell - glutathione peroxides in each group.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S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Red blood cell catalase activities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each group. Plasma total lipid concentration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group. I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and it was decreasing in the SS group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Plasma triglycerid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group. Plasma total cholesterol and Plasma HDL -cholesterol concentrations in the blood plasma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group. Conclusions : According to the above results, it is considered that CRATAEGII FRUCTUS(山査) is effective in inhibiting lipid peroxides and increasing the activities of antioxidative(anti aging) enzyme in D-galactose induced aging rat.

  • PDF

Thaumatococcus daiellii 열매 유래 토마틴의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에 의한 항비만 효과 (Thaumatin Isolated from Katemfe Fruit of Thaumatococcus daiellii Inhibits 3T3 L1 Adipocytes Differenciation)

  • 차재영;정재준;양현주;박준석;김현우;김수현;정해정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783-787
    • /
    • 2011
  • 3T3-L1 지방전구세포 분화 억제에 대한 Thaumatococcus daiellii 열매 유래 토마틴의 항비만 효과를 검토하였다. 3T3-L1 지방전구세포에 토마틴을 0-5 ${\mu}M$ 농도로 처리한 결과 세포생존율은 처리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는데, 토마틴 8일 처리 후 1 및 3 ${\mu}M$ 농도에서 각각 97% 및 88.3%의 세포생존율을 보였다. 또한 토마틴 3 ${\mu}M$ 처리 농도에서 Oil-Red-O염색 지방구가 현저히 감소된 것으로 나타났다. 3T3-L1 세포 내 중성지방 농도는 양성 대조군에 비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였다. 따라서 천연 식물성 토마틴은 3T3-L1 지방전구세포의 세포증식 억제 및 중성지방 농도 감소 효과를 보여 항비만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수영부하 피로에 대한 마늘추출물 및 비타민 B군 강화 급이의 회복 효과 (Recovery Effect of Garlic Extract and Vitamin B group Enhanced Diet on Swimming Fatigue)

  • 강민정;신정혜;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1권6호
    • /
    • pp.875-883
    • /
    • 2011
  • 마늘추출물 및 비타민 B군 강화 식이를 4주간 급이한 후 흰쥐에 수영부하 실험으로 스트레스를 가하였을 때, 피로회복 인자와 관련된 흰쥐의 체내 지질성분 및 간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혈당은 대조군($193.41{\pm}3.85$ mg/dl)보다 실험식이군이 $152.85{\pm}6.57{\sim}169.93{\pm}8.75$ mg/dl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중 총 지질, 총 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은 대조군에 비해 낮은 경향이었으며 마늘추출물과 비타민 B군 강화 시료를 각각 첨가한 SG군과 SV군 보다는 이들을 혼합 급이한 SGV군에서 유의적으로 더 낮았다. 혈청 중의 TBARS 함량은 정상군에 비해 대조군에서 17.25%나 증가하였으며 마늘추출물 및 비타민 B군 강화 급이로 낮아지는 경향이었다. 간조직의 지질 성분 중 총지질은 정상군에 비해 SGV군이 10% 더 낮은 함량이었고, 중성지질은 대조군에 비해 SGV군에서 46% 더 낮게 정량 되었다. 수영부하 스트레스에 의한 간조직 중의 글리코겐 함량은 대조군이 정상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으며 SG, SV 및 SGV 군은 정상군과 유의차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마늘추출물과 비타민 B군 강화급이는 혈중 혈당, 총콜레스테롤 및 LDL-콜레스테롤을 유의적으로 감소시켰으며 또한 수영부하 스트레스로 혈중 및 간장에 다량 생성될 수 있는 지질과산화물 함량도 유의적으로 감소시키므로 피로회복 및 스트레스 개선에 효과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Streptozotocin-유발 당뇨쥐의 베타인 첨가에 의한 항당뇨 및 간보호 효과 (Hypoglycemic and Hepatoprotective Effects of Betaine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 정재준;김용택;서원석;양현주;이용수;차재영
    • 생명과학회지
    • /
    • 제16권5호
    • /
    • pp.767-772
    • /
    • 2006
  • Sprague-Dawley 수컷에 streptozotocin (50 mg/kg body weight)을 복강 주사하여 유발시킨 당뇨군에서 베타인(1%, w/w) 첨가에 의한 항당뇨 및 간보호 효과를 검토하였다. Streptozotocin-유발 당뇨군에서 혈당치 및 fructosamine 농도가 현저히 증가하였고, 이러한 증가는 베타인 투여로 감소하였다. 간 기능의 biomarker로 사용되는 alanine aminotransferase (AST) 및 aspartate aminotransferase (ALT) 활성은 당뇨군에서 현저히 증가한 반면 간보호 효과가 있는 베타인 투여 당뇨군에서는 정상군 수준으로 회복됨으로써 당뇨성 간 손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중 중성지질 농도는 당뇨군에서 현저히 증가하였으나, 베타인 투여에 의해 정상군 수준까지 감소하였으나, 총 콜레스테롤 농도는 베타인 첨가에 의해 증가하였다. 췌장 조직의 조직검사에서 췌도 세포의 정상적인 타원형 모양이 정상군에서는 잘 유지되었으나, Streptozotocin-유발 당뇨군에서는 췌도 세포의 파괴가 일어났으며, 베타인 투여에 의해서는 회복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당뇨군에서 베타인 투여에 의한 혈당강하 효과는 췌장의 췌도세포 파괴 억제에 의한 것으로 시사되었다.

The Associations of Percent Body Fat with Dietary Intake, Plasma Lipids, Lipoprotein(a), and PAI-1 in Middle Aged Korean Adults

  • Kim Rim, Jean-Chinock;Kang, Soon-Ah;Hiojung Wee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3권5호
    • /
    • pp.695-706
    • /
    • 1998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s of the percent body fat dietary intake, plasma lipoprotein profile, lipoprotein(a), and plasminogen activator inhibitor-1(PAI-1) concentrations of 1982 Korean subjects(men : 1000 and women : 982) between the ages of 40 and 59 years. The dietary assessment consisted of twenty-four hour dietary records an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The subjects were identified into one of the five rating groups of % body fat : lean, underweight, normal, overweight and obese groups. The biochemical assessment included measurements of plasma total cholesterol(TC), HDL-cholesterol(HDL-C), LDL-cholesterol(LDL-C), triglyceride(TG), lipoprotein(a)(Lp(a)), and PAI-1. With respect to the ratio of percent energy intake of carbohydrate : protein : fat of the normal group of the women was 62% : 17% : 20%, respectively. Women apparently had a higher intake of carbohydrates than men(52% : 17 : 20%) did. There was a linear relationship between energy intake and % body fat in both mean and women(with the exception of the underweight group of women). The relationship of % body fat of men to the protein and fat intake was higher than that of the carbohydrate intake. Of the men in the study, intakes of energy, protein and alcohol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 body fat. In women, energy, carbohydrate and protein intake were positively correlated to % body fat, however, the fat, cholesterol and alcohol intake did not show any correlation to the % body fat in women. This study showed that % body fa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lasma TC, LDL-C, PAI-1 levels, and TG, but the % body fat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plasma HDL-C level in both men and women.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the high energy intake of obese or overweight subjects might contribute to several of the biochemical indices fo coronary heart disease(CHD) risk. In conclusion, increased energy intake is associated with overweight or obesity in middle aged Korean people. There was no relationship between % energy intake of fat and % body fat in the study, in middle-aged Korean men and women. The plasma lipid profile and PAI-1 level thought to be the risk factors of CHD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percent body fat in middle aged Korean people.

  • PDF

폐경 여성의 근감소증 및 근감소성비만과 심혈관질환 위험도와의 관련성 연구: 국민건강영양조사(2008-2011) 자료를 활용하여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nd Their Association with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 Results for the 2008-2011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 김미성;손정민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1권4호
    • /
    • pp.378-385
    • /
    • 2016
  • Object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association between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nd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Korea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We analyzed data of 2,019 postmenopausal women aged 50-64 year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in 2008-2011 and were free of cardiovascular disease history. Blood pressure, height, and weight were measured. We analyzed the serum concentrations of glucose, total cholesterol, high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low 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levels. Waist circumference was used to measure obesity.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was measured by dual-energy X-ray absorptiometry. Sarcopenia was defined as the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body weight<1 standard deviation below the gender-specific means for healthy young adults. The estimated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as calculated by Pooled Cohort Equation. Subjects were classified as non-sarcopenia, sarcopenia, or sarcopenic obesity based on status of waist circumference and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Results: The prevalence of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was 16.3% (n=317) and 18.3% (n=369), respectively. The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the sarcopenic obesity group was higher ($3.82{\pm}0.22%$) than the normal group ($2.73{\pm}0.09%$) and sarcopenia group ($3.17{\pm}0.22%$) (p < 0.000). The odd ratios (ORs) for the ${\geq}7.5%$ 10-year risk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sarcopenic obesity group (OR 3.609, 95% CI: 2.030-6.417) compared to the sarcopenia group (OR 2.799, 95% CI: 1.463-5.352) (p for trend < 0.000) after adjusting for independent variables (i.e., exercise, period of menopausal, alcohol use disorders identification test (AUDIT) score, income, education level, calorie intake, %fat intake and hormonal replacement therapy). Conclusions: Sarcopenia and sarcopenic obesity appear to be associated with higher risk factors predicting the 10-year risks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in postmenopausal women. These findings imply that maintaining normal weight and muscle mass may be important for cardiovascular disease risk prevention in postmenopausal women.

고콜레스테롤 식이로 유도된 고지혈증 모델 흰쥐에서 새송이 버섯 첨가 어묵의 섭취가 지질 대사 및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 (Characteristics of Surimi Gel (King Oyster Mushroom and Cuttlefish Meat Paste) on Lipid Metabolism and Antioxidant Status in High-cholesterol-fed Rats)

  • 정수임;김세영;강미영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1권2호
    • /
    • pp.191-195
    • /
    • 2009
  • 본 연구는 새송이 버섯을 첨가하여 만든 어묵이 체내 지질 대사와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수컷 Sprague-Dawley 흰쥐 30마리를 대상으로 고콜레스테롤(1%)첨가 기본식이, 30% 일반어묵 첨가 식이와 40% 새송이 버섯 첨가 오징어 어묵 식이를 급여하였다. 평균 식이 섭취량은 대조군, 일반 어묵군, 새송이 버섯 첨가 오징어 어묵군에 따른 각 군 간의 유의적인 차이는 볼 수 없었다. 체중 증가량과 식이효율은 대조군에 비해 실험군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혈장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동맥경화지수(A.I), GOT, GPT 수준은 대조군이 새송이 버섯 첨가 오징어 어묵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HDL-콜레스테롤의 경우 새송이 버섯 첨가 오징어 어묵군이 대조군과 일반 어묵군보다 낮게 나타났고, 간조직의 콜레스테롤 및 중성 지방 농도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혈장과 간조직 TBARS 수준은 대조군보다 새송이 버섯 첨가 오징어 어묵군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수치를 보였다. 항산화 효소 활성도에서 SOD활성도는 대조군과 일반 어묵과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며, CAT활성도는 대조군보다 새송이 버섯 첨가 어묵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GPx활성도 역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을 종합해 보면, 고콜레스테롤혈증 흰쥐에서의 새송이 버섯 첨가 오징어 어묵은 전반적인 지질대사 개선과 함께 SOD, CAT, GPx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활성을 증가시켜 항산화 방어계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냄으로써 앞으로 고콜레스테롤 혈증 예방 등의 혈관 순환기 계통 질병을 예방하기 위한 식품으로써의 활용이 기대된다.

폐경 후 여성에서 이소플라본과 감마 리놀렌산의 보충 섭취가 혈중 지질 농도 및 갱년기 증상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Isoflavone and Gamma-linolenic Acid Supplementation on Serum Lipids and Menopausal Symptoms in Postmenopausal Women)

  • 곽정현;김지영;김혜진;신동혁;이종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43권2호
    • /
    • pp.123-131
    • /
    • 2010
  •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산화 LDL 농도는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에서 유의적으로 감소 (p = 0.006), 플라시보군에서 유의적인 변화 없었음. 두 군간 비교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음 (p = 0.011). 2) 혈청에서의 중성지방,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HDL 콜레스테롤, 아포지단백 A1, B 등의 농도는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3) LDL particle size와 Paraoxonase 활성도는 두 군에서 모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지질과산화지표인 혈장 MDA 농도는 두 군간 변화량 비교에서만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음 (p = 0.010). 4) 갱년기 증상 지표인 Modified kupperman index (KI)는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과 플라시보군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음 (p < 0.001). KI 수치의 군간 비교에서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음.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복합제재를 12주간 섭취하였을 때 이소플라본 및 감마 리놀렌산 보충군에서 산화 LDL 농도가 유의적인 감소하였고, 두 군간의 비교시 MDA 농도 변화량의 유의적인 차이를 확인하였다. 이소플라본 및 감마리놀렌산 복합제재 섭취는 산화적 스트레스로부터 체내 LDL-콜레스테롤의 산화를 예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우리나라에서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이소플라본 및 감마리놀렌산 복합 제재 섭취와 관련 된 연구는 매우 미흡한 실정임으로 복합제재의 용량 설정을 세분화 하고 복용기간을 연장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돼지고기가 공장근로자들의 신기능지표와 혈청 생화학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Pork Consumption on Renal and Hematochemical Indices in Workers Occupationally Exposed to Unclean Environments)

  • 한찬규;노정해;이복희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28권1호
    • /
    • pp.91-98
    • /
    • 2008
  • 본 연구는 공장 근로자들을 대상으로 작업환경에 대한 지표조사를 실시한 후 일상식이와 돼지고기를 섭취케 하고 신기능과 혈액지표성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돼지고기의 영양학적인 우수성을 규명하고자 수행하였다. 작업환경이 비교적 열악한 남성근로자 45명에게 6주 동안 자신의 일상식이를 유지하면서 돼지고기를 주 2회(회당 150g) 급여한 다음 시험전후 신기능지표와 혈청생화학치를 조사하였다. 시험 종료 후 신기능지표중 NAG활성도는 감소한 반면 ALA농도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혈청지질 중 총콜레스테롤(TC), 고밀도지단백(HDL) 및 저밀도지단백(LDL)-콜레스테롤농도는 차이가 없었고, 중성지방(TG)농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005). 돼지고기 섭취는 혈중 아연, 납 및 카드뮴농도를 감소시켰지만 유의성은 없었다. 본 연구에서 시험대상자의 작업환경이 일반 근로자들에 비해 산업적인 오염노출의 위험도가 더 높다는 사실을 감안할 때 일상식이와 함께 돼지고기의 추가적인 급여가 신기능지표중 NAG활성도 저하와 혈중 카드뮴(Cd)농도를 감소시킨 것으로 나타났다. 향후 이와 관련된 보다 정밀하게 통제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