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glyceride composition

검색결과 539건 처리시간 0.03초

Chromium Methionine첨가가 비만지수 및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Chromium Methionine Supplementation on Obesity Index and Serum Lipids in Rats)

  • 김현숙;이선연;김창혁;오상집;신종서;성경일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32권5호
    • /
    • pp.706-709
    • /
    • 2003
  • 본 연구에서 식이중 CrMet 보충이 비만지수 및 지질 대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조사한 결과 실험군의 초기 체중은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CrMet 보충으로 최종 체중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고 이로 인해 CrMet 첨가시 비만지수 및 체지방 함량이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p<0.05). 혈청 total cholesterol은 CrMet 첨가시 69.22 $\pm$3.44 mg/㎗ 로 고지방군과 비교해 낮았으며(p<0.05), HDL cholesterol은 CrMet 보충으로 증가되었으며 HTR 지수도 높았다(p<0.05). 결과적으로 CrMet 보충은 체지방량과 혈청중 total cholesterol을 감소시키고 HDL cholesterol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NaF 함량을 달리한 투여가 흰쥐의 지질 및 혈당농도와 A/G 비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Various Sodium Fluoride (NaF) Administration on Blood Glucose, Lipid Composition and A/G Ratio in Rats)

  • 김한수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35권3호
    • /
    • pp.826-835
    • /
    • 2018
  • NaF를 용량별로 Sprague Dawley계 수컷 흰쥐에 경구 투여했을 때, 체중 및 장기 중량, 혈청 지질성분, 혈당 및 단백질 함량과 기본식이를 급여한 대조군인 BD군을 비롯하여 기본식이에 농도별 NaF를 경구 투여한 군들로 나누어 5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흰쥐의 체중 증가량은 NF25군, NF30군 및 NF50군에서 대조군보다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높게 나타났다(p<0.05). 각 장기무게에서의 변화 중 간장과 심장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NaF 경구 투여 군에서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관찰 되었으며(p<0.05), 폐, 뇌, 신장, 비장 및 고환에서의 각 군의 장기무게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p<0.05). 혈청 중 총 콜레스테롤, LDL 콜레스테롤, 유리 콜레스테롤, 중성지방, 인지질, 혈당 농도는 대조군보다 NaF 경구 투여한 군에서 NaF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고, HDL 콜레스테롤 농도는 NaF 농도에 따라 점차 감소하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혈청 중 총 단백질은 NF50군에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며 낮게 나타났으나 나머지 군에서 유의적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5), 알부민 농도와 글로불린 농도 또한 NF50군에서 가장 낮은 결과치로 나타났다. 반면 알부민/글로불린 비는 NaF 농도와 관계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따라서 일정 이상 농도의 NaF 경구 투여는 흰쥐의 체중 및 지질성분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판단되며, 이는 비만 및 이상지질혈증을 초래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Hog millet (Panicum miliaceum L.)-supplemented diet ameliorates hyperlipidemia and hepatic lipid accumulation in C57BL/6J-ob/ob mice

  • Park, Mi-Young;Jang, Hwan-Hee;Kim, Jung-Bong;Yoon, Hyun-Nye;Lee, Jin-Young;Lee, Young-Min;Kim, Jae-Hyun;Park, Dong-Sik
    • Nutrition Research and Practice
    • /
    • 제5권6호
    • /
    • pp.511-519
    • /
    • 2011
  • Dietary intake of whole grains reduces the incidence of chronic diseases such as obesity, diabetes, cardiovascular disease, and cancer. In an earlier study, we showed that Panicum miliaceum L. extract (PME) exhibited the highest anti-lipogenic activity in 3T3-L1 cells among extracts of nine different cereal grains tested. In this study, we hypothesized that PME in the diet would lead to weight loss and augmentation of hyperlipidemia by regulating fatty acid metabolism. PME was fed to ob/ob mice at 0%, 0.5%, or 1% (w/w) for 4 weeks. After the experimental period, body weight changes, blood serum and lipid profiles, hepatic fatty acid metabolism-related gene expression, and white adipose tissue (WAT) fatty acid composition were determined. We found that the 1% PME diet, but not the 0.5%, effectively decreased body weight, liver weight, and blood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P < 0.05) compared to obese ob/ob mice on a normal diet. Hepatic lipogenic-related gene ($PPAR{\alpha}$, L-FABP, FAS, and SCD1) expression decreased, whereas lipolysis-related gene (CPT1) expression increased in animals fed the 1% PME diet (P < 0.05). Long chain fatty acid content and the ratio of C18:1/C18:0 fatty acids decreased significantly in adipose tissue of animals fed the 1% PME diet (P < 0.05). Serum inflammatory mediators also decreased significantly in animals fed the 1% PME diet compared to those of the ob/ob control group (P < 0.05). These results suggest that PME is useful in the chemoprevention or treatment of obesity and obesity-related disorders.

식이중에 첨가된 섬유소의 종류와 수준이 흰쥐의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Sources and Levels of Dietary Fiber on Lipid Composition in Rats)

  • 서정숙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1권3호
    • /
    • pp.164-172
    • /
    • 1988
  • 식이 중의 섬유소 종류와 급여수준이 흰쥐의 혈청과 간 조직내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섬유소중 pectin과 cellulose를 선택하여 급여수준을 5%, 10%, 20%로 달리하여 식이중에 참가하였다. 각 군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0,5%로 고정시켰고 이와는 별도로 콜레스테롤 무첨가군을 설정하였다. 각 실험식이로 4주간 사양한 후 혈청과 간에서의 지질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중 증가량은 식이섬유소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어 pectin 첨가군은 cellulose 첨가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cellulose첨가군에서는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사료효율에 있어서도 pectin 10%와 20% 첨가수준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점차로 감소되었다. 간장의 무게는 체중 증가량의 변화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간장내의 총 지질수준에 있어서는 pectin군은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감소되었고 cellulose 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오히려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의 콜레스테롤 수준도 총 지질과 마찬가지로 pectin 첨가군의 경우에 첨가수준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20% 첨가수준에서는 cholesterol 무첨가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ellulose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이 감소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인지질은 pectin 5%, 10%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점차로 증가하였으나 20%군에서는 감소된 경향을 보였고 cellulose 첨가군에서는 따라서 일치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3) 혈청내 콜레스테롤 수준은 pectin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의 증가에 따라 대조군과 별다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cellulose 처가군에서는 10%, 20% 수준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형청내 인지질 함량은 pectin 첨가의 경우에는 첨가수준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cellulose 첨가의 경우에는 모든 첨가수준에 있어서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중성지바의 함량은 pectin첨가군에서는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cellulose첨가군에서는 5% 준에서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으나 10%, 20% 수준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콜레스테롤 무첨가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 PDF

인유, 조제 분유 및 시유의 트리글리세리드 구조의 비교 (Comparison of Triglyceride Structures of Human Milk, Infant Formulas and Market Milk)

  • 윤태헌;임경자
    • 한국응용과학기술학회지
    • /
    • 제2권1호
    • /
    • pp.25-31
    • /
    • 1985
  • 인유, 조제 분유 및 시유의 트리글리세리드의 구조를 비교하기 위하여 트리글리세리드의 지방산 조성, 아실 탄소수 및 종을 박충 크로마토그래피 및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유에서는 단쇄 지방산이 검출되지 않은 반면 조세 분유와 시유에서는 1% 미만의 수준들로 검출되었다. 인유에 비하여 조세 분유는 8 : 0, 22 : 0, 24 : 0 등이 유의하게 높은 반면 10 : 0, 14 : 0 등의 지방산들은 유의하게 낮았다. 시유는 인유에 비하여 8 : 0, 10 : 0, 18 : 0, 22 : 0, 24 : 0 등이 유의하게 높았고 12 : 0, 20 : 0 등이 유의하게 낮았다. $18 : 2{\omega}6$은 인유가 12.0%, 조제 분유가 15.0%로 서로 비슷한 반면 시유는 3.8%로 가장 낮았다. 탄소수 20개 이상의 ${\omega}6$계 및 ${\omega}3$계 장쇄 고도 불포화 지방산들은 인유에 비하여 조제 분유와 시유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인유는 아실 탄소수 44-52, 조제 분유는 50-54, 시유는 36-40 을 가진 글리세드가 주종을 이루고 있었다. 조제 분유에서는 아실 탄소수 50과 52, 시유에서는 42만 제외하고 나머지의 탄소수들은 인유의 그것들과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조제 분유의 saturates 는 인유의 그것에 비하여 2 배 가량 높았을 뿐 기타 종에서는 모두 유의하게 낮았다. 시유에서도 dienes를 제외한 모든 종에서 조제 분유에서와 동일한 경향이 나타났다.

고에너지 사양이 육종가 배치별 거세한우의 성장, 도체, 및 혈액성상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high energy diet on growth performance, carcass characteristics, and blood constituents of Hanwoo steers distributed by estimated breeding value for meat quality)

  • 정기용;이승환;장선식;이은미;김현주;박보혜;권응기
    • 농업과학연구
    • /
    • 제42권4호
    • /
    • pp.361-368
    • /
    • 2015
  • 본 연구는 육종가를 이용하여 배치한 거세한우에 고에너지 사료를 급여하여 성장, 도체성적 및 혈액성분의 변화에 대하여 분석을 해보았다. 육종가의 적용은 소고기 고급육이 가능한 개체를 선발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져 왔다. 본 연구는 육종가에 의해 고, 저로 나누어진 한우그룹에 고에너지 사료를 급여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고육종가 그룹에서 고에너지 사료를 급여할 경우 도체성적이 높아진다는 가정을 하였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26마리의 거세한우를 이용하여 $2{\times}2$ 완전임의배치를 하였다(고에너지, 일반사양 과 고육종가, 저육종가로 배치). 체중, 일당증체량, 건물섭취량, 사료요구율의 결과로 고 육종가 그룹에서 수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혈청성분분석 결과로 비육후기(20 - 27개월령)의 혈청성분중 포도당과 중성지방 농도가 고육종가 그룹에서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고 이는 도체성적에도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선행연구에서 나타났던 혈중 알부민과 인의 성분은 도체등급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도체중 분석에서는 근내지방도가 고육종가 그룹이 수치적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로 특정 혈중대사 성분들 중 포도당과 중성지방과 같은 지방대사에 관여하는 성분들은 비육후기 육종가가 높을수록 높은 농도로 나타났고 이는 혈중 대사성분이 유전적인 영향에 의해서 변화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홍삼발효 추출물의 생리활성 및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쥐의 혈당강하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s on Physiological Activity and Blood Glucose Level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 김혜자;서명효;이은경;조화은;최윤희;이기남;정명수
    •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
    • 제23권5호
    • /
    • pp.1087-1094
    • /
    • 2009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d hypoglycemic effects of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s. We prepared non-fermented red ginseng extracts(R), fermented with Lactobacillus plantarum(RL) extracts, Saccharomycescerevisiae(RS) extracts, and L. plantarum mixed S. cerevisiae(RLS) extracts, examined composition of ginsenosides, SOD-like activit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Ginsenoside Re was highest contents in all extracts, second was ginsenoside Rc and then ginsenoside Rb1. Concentration of these ginsenoside was showed higher in RS than in other extracts. SOD-like activity and $\alpha$-glucosidase inhibitory activity were shown higher in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s than non fermented extracts. And activities of mixed fermentation extracts(RLS) higher than single fermentation extracts(RL, RS). Effects of blood glucose level, serum lipid profile and metabolic variables were evaluated in streptozotocin(STZ) induced diabetic rat.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7 groups: normal control group(hereafter NC group), diabetes control group(DC group), positive control group treated with 50 mg/kg body weight of acarbose(PC group), treated with 300 mg/kg body weight of R, RL, RS and RLS extracts groups, respectively. Blood glucose level of DC group was maintained high level in all experimental period, but treated with red ginseng extracts groups was reduced the glucose level by R group 18.00%, RL group 28.07%, RS group 29.03%, RLS group 42.42%, respectively. The concentration of tota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of fermented red ginseng extracts treated groups (RL, RS, RLS) was lower than non- fermented extracts group(R) DC and PC groups. The activity of ALT, AST in RLS treated groups were lower than other groups.

경기도 일개 지역사회 대표집단에서 고호모시스테인혈증의 유병률 및 관련요인에 대한 단면조사연구 (Prevalence of Hyperhomocysteinemia and Related Factors in a Community-based Health Examination Survey: A Cross-sectional Study)

  • 김수정;임경숙;송미숙;강연지;이순영
    • Journal of Preventive Medicine and Public Health
    • /
    • 제42권5호
    • /
    • pp.337-342
    • /
    • 2009
  • Background : Many previous studies have shown that elevated homocysteine in the serum is a well known risk factor for cardiovascular disease and this is associated with other risk factors for cardiovascular disease, but any Korean data on this is limited. Objectives : This study aimed to calculate the prevalence of hyperhomocysteinemia and to analyze the relation between elevated homocysteine and the lifestyle factors of Korean adults. Methods : We conducted a cross-sectional survey that included 650 men and 743 women (age range, 20 to 79 years) who were residents of Gwangju City in Gyeonggi-do. These subjects participated in the health interview and examination survey from November to December 2005. The total homocysteine, total cholesterol, HDL-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triglyceride in the serum were measured. All the participants had their body composition measured such as height and weight, and we obtained health-related behavioral information through the self-entry questionnaire. Results : Very right-handed skewed distributions of homocysteine were shown in men and women. The prevalence of hyperhomocysteinemia was 22.6% in men and 13.7% in women in Gwangju city. On the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hyperhomocysteinemia was associated with age (OR=1.02, 95% CI=1.01-1.04), male gender (OR=1.60, 95% CI=1.02-2.52), severe general physical activity (OR=0.32, 95% CI=0.15-0.69) and nutrient consumption (OR=0.49, 95% CI=0.31-0.76). Conclusions : There is a great prevalence of hyperhomocysteinemia in adults of Gwangju City, Korea and it was associated with both genetic factors and lifestyle risk factors. This study can suggest that comprehensive lifestyle modification is needed in order to diminish the prevalence of hyperhomocysteinemia and to prevent CVD.

용담(Gentiana scabra Bunge var.buergeri Max.) 추출액이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의 혈청 지질대사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tiana scabra Bunge var.buergeri Max. Extract on Lipid Metabolism of Serum in Dietary Hyperlipidemic Rats)

  • 김한수;김용균;김석환;권오창;손병구;최영환
    • 생명과학회지
    • /
    • 제8권5호
    • /
    • pp.532-536
    • /
    • 1998
  • 식이성 고지혈증 유발 Sprague Dawley계 숫흰쥐를 사용하여 용담 열수 추출액을 급여하므로써 혈당 및 혈청의 지질 개선 효과를 규명하기 위해 4주간 실험 사육한 결과, 혈당 농도는 대조군인 1군(물)에 비해 2군(콜레스테롤+물) 및 3군(콜레스테롤+용담추출액)이 높게 나타났으며, 콜레스테롤과 용담 추출액을 급여한 3군이 2군(콜레스테롤+물)보다 다소 낮은 경향을 보였지만 혈당 저하효과는 유의성있게 관찰되지 않았다. 혈청중 총콜레스테롤 농도는 2군에 비하여 3군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LDL-콜레스테롤 농도는 2군에 비해 3군에서 유의성있게 감소하였으며, 총콜레스테롤에 대한 HDL-콜레스테롤 농도비는 용담 추출액 급여군이 높게 나타났다. 혈청 유리 콜레스테롤 및 콜레스테롤 에스테르 농도는 콜레스테롤 급여군인 2군에 비해 용담 추출액 급여군(3군)이 유의성 있게 감소하였다. 중성지질 및 인지질 농도는 3군의 농도가 낮았다. 혈청 AST 및 ALT활성은 대조군에 비하여 여타 실험군에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상의 결과에서, 용담 열수 추출액이 식이성 고지혈증 흰쥐에 대한 혈청지질 개선효과가 다소나마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 PDF

Enrichment of Pork with Omega-3 Fatty Acids by Tuna Oil Supplements: Effects on Performance as well as Sensory, Nutritional and Processing Properties of Pork

  • Jaturasitha, S.;Wudthithumkanaporn, Y.;Rurksasen, P.;Kreuzer, M.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11호
    • /
    • pp.1622-1633
    • /
    • 2002
  • The effects of tuna oil supplementation (0, 1, 2 and 3%) to pig diets on growth and carcass yield as well as meat quality were determined in 40 crossbred pigs. Animals were fattened from 30 to 90 kg of live-weight. Twenty-four hours after slaughter, following various early- and late-post mortem measurements, loin, backfat and belly were prepared from the carcasses. Bacon was produced from the belly part by curing and smoking. Neither performance (feed intake, daily gains, feed conversion efficiency) nor carcass quality (slaughter weight, dressing percentage, lean percentage, nutrient composition of the loin) were significantly affected by tuna oil supplementation. Tuna oil also had no clear effects on early- and late-post mortem meat quality traits, water-holding capacity and tenderness of the M. longissiumus dorsi (LD). Colour traits of LD and backfat, and backfat firmness we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tuna oil, either. However, there was a certain trend to elevated fat contents of LD (and bacon), but not of backfat, with increasing levels of tuna oil in feed. Pigs receiving elevated proportions of tuna oil expressed lower VLDL cholesterol and triglyceride concentrations in blood plasma, whereas the cholesterol content of LD, backfat and bacon did not reflect this trend. Effects of tuna oil on fatty acids in LD, backfat and bacon were often small in extent, except those concerning the long-chain polyunsaturated fatty acids. With 3% tuna oil in the diet, the contents of the particularly desired omega-3 fatty acids, C20:5 and C22:6, were 0.1 and 0.2 g/kg in LD. The corresponding values for backfat and bacon were 2.6 and 12.6 g/kg, and 1.3 and 9.2 g/kg, respectively. Tuna oil supplementation was associated with significant adverse effects on flavour and overall acceptance of bacon (not significant in LD although numerically the same trend was noted), but these effects on sensory ratings were limited in extent. Also shelf life of the products, determined as TBA value after different storage periods at $4^{\circ}C$ in LD, backfat and bacon, was significantly reduced. Overall,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omega-3 fatty acids may be enriched in pork by feeding tuna oil with few undesired side-effects, particularly those on sensory perception and shelf life, suggesting immediate consumption of the products is advisable. Most economically important traits (performance, slaughter and physical meat quality) remained unaff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