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fluence of Sources and Levels of Dietary Fiber on Lipid Composition in Rats

식이중에 첨가된 섬유소의 종류와 수준이 흰쥐의 체내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

  • Published : 1988.06.01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ources and levels of dietary fiber on lipid metabolism in rats. Male weanling rats of Sprague-Dawley were fed ad libitum a diet containing perctin or cellulose at 5%, 10% and 20% for 4 weeks. Rats fed pectin gained significantly less weight than rats fed cellulose. Feed efficiency ratio was decreased at 10% and 20% group rats of pectin compared to control rats. Pectin was effective in lowering liver cholesterol, total lipid and triglyceride content at all levels. Whereas the cellulose supplementation had no effect to reduce serum and liver lipids. Cellulose led to an accumulation of serum and liver cholesterol. The least accumulation of lipid was in fed a cholesterol free diet. It is likely that lipid metabolism is quite different between pectin and cellulose feeding.

식이 중의 섬유소 종류와 급여수준이 흰쥐의 혈청과 간 조직내의 지질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기 위하여 섬유소중 pectin과 cellulose를 선택하여 급여수준을 5%, 10%, 20%로 달리하여 식이중에 참가하였다. 각 군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0,5%로 고정시켰고 이와는 별도로 콜레스테롤 무첨가군을 설정하였다. 각 실험식이로 4주간 사양한 후 혈청과 간에서의 지질함량을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체중 증가량은 식이섬유소의 종류에 따라 현저한 차이를 나타내어 pectin 첨가군은 cellulose 첨가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고 cellulose첨가군에서는 대조군과 별다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사료효율에 있어서도 pectin 10%와 20% 첨가수준에 있어서 대조군에 비하여 점차로 감소되었다. 간장의 무게는 체중 증가량의 변화와 같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2) 간장내의 총 지질수준에 있어서는 pectin군은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로 감소되었고 cellulose 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이 증가함에 따라서 오히려 증가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간의 콜레스테롤 수준도 총 지질과 마찬가지로 pectin 첨가군의 경우에 첨가수준의 증가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되었고 20% 첨가수준에서는 cholesterol 무첨가군과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Cellulose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이 감소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또한 인지질은 pectin 5%, 10%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점차로 증가하였으나 20%군에서는 감소된 경향을 보였고 cellulose 첨가군에서는 따라서 일치된 경향을 보이지는 않았다. 3) 혈청내 콜레스테롤 수준은 pectin첨가군에서는 첨가수준의 증가에 따라 대조군과 별다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cellulose 처가군에서는 10%, 20% 수준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형청내 인지질 함량은 pectin 첨가의 경우에는 첨가수준에 관계없이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cellulose 첨가의 경우에는 모든 첨가수준에 있어서 대조군보다 증가하였다. 중성지바의 함량은 pectin첨가군에서는 모두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적으로 감소하였으나 cellulose첨가군에서는 5% 준에서는 약간의 증가를 보였으나 10%, 20% 수준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고 콜레스테롤 무첨가군에서는 대조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Keywor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