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iangle and measure

검색결과 46건 처리시간 0.024초

Generalized Measure of Departure From Global Symmetry for Square Contingency Tables with Ordered Categories

  • Tomizawa, Sadao;Saitoh, Kayo
    • Journal of the Korean Statistical Society
    • /
    • 제27권3호
    • /
    • pp.289-303
    • /
    • 1998
  • For square contingency tables with ordered categories, Tomizawa (1995) considered two kinds of measures to represent the degree of departure from global symmetry, which means that the probability that an observation will fall in one of cells in the upper-right triangle of square table is equal to the probability that the observation falls in one of cells in the lower-left triangle of it. This paper proposes a generalization of those measures. The proposed measure is expressed by using Cressie and Read's (1984) power divergence or Patil and Taillie's (1982) diversity index. Special cases of the proposed measure include TomiBawa's measures. The proposed measure would be useful for comparing the degree of departure from global symmetry in several tables.

  • PDF

SINGULAR INNER FUNCTIONS OF $L^{1}-TYPE$

  • Izuchi, Keiji;Niwa, Norio
    • 대한수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787-811
    • /
    • 1999
  • Let M be the maximal ideal space of the Banach algebra $H^{\infty}$ of bounded analytic functions on the open unit disc $\triangle$. For a positive singular measure ${\mu}\;on\;{\partial\triangle},\;let\;{L_{+}}^1(\mu)$ be the set of measures v with $0\;{\leq}\;{\nu}\;{\ll}\;{\mu}\;and\;{{\psi}_{\nu}}$ the associated singular inner functions. Let $R(\mu)\;and\;R_0(\mu)$ be the union sets of $\{$\mid$\psiv$\mid$\;<\;1\}\;and\;\{$\mid${\psi}_{\nu}$\mid$\;<\;0\}\;in\;M\;{\setminus}\;{\triangle},\;{\nu}\;\in\;{L_{+}}^1(\mu)$, respectively. It is proved that if $S(\mu)\;=\;{\partial\triangle}$, where $S(\mu)$ is the closed support set of $\mu$, then $R(\mu)\;=\;R0(\mu)\;=\;M{\setminus}({\triangle}\;{\cup}\;M(L^{\infty}(\partial\triangle)))$ is generated by $H^{\infty}\;and\;\overline{\psi_{\nu}},\;{\nu}\;{\in}\;{L_1}^{+}(\mu)$. It is proved that %d{\theta}(S(\mu))\;=\;0$ if and only if there exists as Blaschke product b with zeros $\{Zn\}_n$ such that $R(\mu)\;{\subset}\;{$\mid$b$\mid$\;<\;1}\;and\;S(\mu)$ coincides with the set of cluster points of $\{Zn\}_n$. While, we proved that $\mu$ is a sum of finitely many point measure such that $R(\mu)\;{\subset}\;\{$\mid${\psi}_{\lambda}$\mid$\;<\;1}\;and\;S(\lambda)\;=\;S(\mu)$. Also it is studied conditions on \mu for which $R(\mu)\;=\;R0(\mu)$.

  • PDF

무선 센서 네트워크 기반 군집 로봇의 협조 행동을 위한 위치 측정 (Localization for Cooperative Behavior of Swarm Robots Based on Wireless Sensor Network)

  • 탁명환;주영훈
    • 제어로봇시스템학회논문지
    • /
    • 제18권8호
    • /
    • pp.725-730
    • /
    • 2012
  • In this paper, we propose the localization algorithm for the cooperative behavior of the swarm robots based on WSN (Wireless Sensor Network). The proposed method is as follows: First, we measure positions of the L-bot (Leader robot) and F-bots (Follower robots) by using the APIT (Approximate Point In Triangle) and the 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Second, we measure relative positions of the F-bots against the pre-measured position of the L-bot by using trilateration. Then, to revise a position error caused by noise of the wireless signal, we use the particle filter. Finally, we show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the proposed method though some simulations.

분류하기에서 길이와 직각 표기의 효과: 정답률과 안구운동 분석을 중심으로 (The Effect of the Indication of Lengths and Angles on Classifying Triangles: Centering on Correct Answer Rate and Eye Movements)

  • 윤주미;이광호;이재학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2호
    • /
    • pp.163-175
    • /
    • 2017
  • 본 연구는 평면 도형의 도형 분류하기 과제를 제시할 때 길이와 각의 표기 여부가 도형의 개념 이해에 어떤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 학생 33명을 대상으로 분류하기 과제 해결 과정을 Eye-tracker를 통해 녹화하고 정답률과 Gaze Duration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등변삼각형과 정삼각형의 분류하기에서는 길이를 제시하였을 때 정답률이 증가하고 Gaze Duration은 감소하였다. 예각삼각형과 둔각삼각형 과제에서도 직각을 표기했을 때 정답률이 증가하고 Gaze Duration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평면도형을 분류하는 과제를 제시할 때는 길이와 각을 표기하여 학생들이 어림하여 도형을 분류하기 보다는 도형의 개념 이해를 바탕으로 분류하는 것을 측정하는 데 초점을 두어야 할 것이다.

피라미드를 소재로 한 수학 학습 프로젝트 개발 (Developing Mathematical Learning Project Using Pyramid)

  • 김상룡;홍성민
    •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 /
    • 제17권2호
    • /
    • pp.245-263
    • /
    • 2013
  • 수학과에서도 통합을 통한 교육과정 재구성과 학생들이 문제를 제기하여 해결하는 과정을 강조한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관심이 점차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4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삼각형'을 중심에 둔 '피라미드의 비밀' 프로젝트를 구현한 실제를 소개함으로써, 수학과 프로젝트 학습이 어떠한 의의를 갖는지 탐색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115시간의 주제 중심의 프로젝트의 과정 중 수학과 도형 탐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 24시간만 발췌하여 수학적 의미를 재해석한 연구이다. 프로젝트로 삼각형을 탐구한 결과 문제 해결의 과정으로서 측정, 작도, 각 등의 기하적 활동이 이루어졌으며, 학생들이 적극적이고 자율적으로 활동에 참여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려는 태도가 자연스럽게 길러졌다. 각, 삼각형 등 평면도형에 대한 이해 뿐 아니라 입체도형에 대한 이해도 높아졌다. 프로젝트 학습은 주어진 문제나 내용만의 학습이 아닌 다른 영역으로 확장된다는 사실을 보여 주었다.

  • PDF

6축 센서를 이용한 3D형상의 면적 산출 방법 (Measurement of 3D Object Size Using 6 Axis Sensor)

  • 최경원;김영준;최종운
    • 한국정보통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해양정보통신학회 2007년도 추계종합학술대회
    • /
    • pp.325-327
    • /
    • 2007
  • 3차원 형상의 물체에 대한 표면 면적을 6축 센서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3차원 형상의 표면적은 여러 개의 작은 삼각형으로 나타낼 수 있다. 이 여러 개의 삼각형의 합을 구함으로써 표면 면적을 구할 수 있고, 삼각형의 크기가 작으면 작을수록 실제 면적의 크기에 접근 하였다. 실험 결과 평균 7.78%의 오차율을 보였다.

  • PDF

삼각퍼지수와 어의차이 척도를 이용한 서비스 품질 측정 (Using triangle fuzzy numbers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o evaluate service quality)

  • 이석훈;윤덕균
    • 품질경영학회지
    • /
    • 제32권3호
    • /
    • pp.182-197
    • /
    • 2004
  •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method of evaluating customers' service quality using triangle fuzzy numbers and semantic differential scale. These two parameters are useful for quantifying the customers' linguistic variables and subjective judgements. We define the Service Quality(SQ) as the ratio of the expected and perceived service and address the Agreement Rate(AR) calculated from the hamming distance in order to define the Service Rate(SR) as the geometric mean of the SQ and AR. Using the SR in the analysis of service attributes provides more appropriate to measure the customers' service quality and to establish a creative service policy for competitive service quality improvement.

시각적 이미지 안에서 삼각형 높이의 개념 이미지에 대한 인지적 처리과정과 인지적 부하 (Cognitive process and cognitive load about the concept image of triangle altitude in visual image)

  • 이미진;이광호
    • 한국수학교육학회지시리즈C:초등수학교육
    • /
    • 제20권4호
    • /
    • pp.305-319
    • /
    • 2017
  • 삼각형 높이를 찾는 과정에서 눈 움직임 데이터를 통해 학생들의 삼각형 높이에 대한 이해와 그에 대한 삼각형 유형별, 배치별 인지부하 알아보고자 하였다. 6학년 26명 학생들을 대상으로 콘텐츠를 활용한 수업을 진행하고, 사전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삼각형 높이에 대한 삼각형 유형별, 배치별 문항에서 사전 검사에 대해 사후검사에서 정답률이 크게 상승하였으며, 아울러 각 문항별 AOI(Area of Interest)에서 시선 데이터의 빈도(FC)와 머무름(FD)이 사후검사에서 더 적게 나타났다. 주관적 인지부하는 밑변이 지면에 평행한 삼각형 보다는 회전된 삼각형 배치에서 더 높게 나타났으며, 시선 추적 데이터에서는 직각삼각형과 예각삼각형의 회전 배치된 쪽에서 더 많은 빈도와 더 많은 머무름이 감지되었다. 이를 통해 시선추적 기술은 교수설계의 피드백을 위한 학생들의 인지적 부하의 객관적인 측정을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방향척도을 이용한 지문영상 분류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fingerprint images classification based on the changes of direction fields of fingerprint images)

  • 김수겸
    •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 /
    • 제11권1호
    • /
    • pp.108-113
    • /
    • 2007
  • 지문영상 분류는 특징을 이용하여 여러 가지 유형의 지문영상으로 분류하는 것으로, 지문영상 자동인식시스팀에서 매우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지문영상의 한 점에서의 방향척도를 제안하였다. 이 방향척도는 지문영상의 방향장 영상에서 융선 방향의 변화경로를 상술하는 것으로 지문영상의 각각의 점에 대하여 제안된 방향척도를 계산한다. 제안한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지문영상을 특징점(핵심점과 삼각점)을 정의한 후 유형별로 분류하였다. 또한 개선된 Poincare 지수 알고리즘도 제안하여 핵심점과 삼각점을 구분하였다. 102개의 지문영상 실험 데이터에 대한 분류에러는 7.8%로서 문헌[9]의 분류오차 12.4%보다 좋은 실험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또한 제안한 방법은 온라인 지문영상 분류에도 사용가능 할 것으로 생각한다.

모녀간의 골밀도 : 신체 측정치 및 체조성, 골지표, 영양소 섭취량 및 에너지 소비량과의 관계 (Bone Mineral Density of Korean Mother-daughter Pairs : Relations to Anthropometric Measurement, Body Composition, Bone Markers, Nutrient Intakes and Energy Expenditure)

  • 이희자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9호
    • /
    • pp.991-1002
    • /
    • 1996
  •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obtain normative data for 45 mother-daughter pairs on spine, femur(neck, ward's triangle, trochanter) and total body BMD (bone mineral density) measured by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anthropometric measurement, body composition, biochemical markers, nutrient intakes and energy expenditure, to determin the interrelations of these factors within each group, to measure familial resemblance for each variable. We observed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height, weight, head, hip and calf circumferences, tricep, femur and calf skinfold thickness, total lean body mass(=weight-total fat body mass-bone mineral content), protein and fat intakes, Ca index, serum total protein and albumin of monter-daughter pairs(p<.05-p<.001). Among mothers, age, osteocalcin, higher, weight, Ca and energy intakes were predictors of BMDs. Among daughters, weight and energy intake were predictors of BMDs. The BMD in lumbar spine(r=.48, p<.01), femoral neck(r=.38, p<.05), ward's triangle(r=.36, p<.05) of the mother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ose of the daughters, after adjustment for mother's age, hight, weight, osteocalcin, Ca and energy intakes and daughter's weight, energy intake. In regression analyses, mother's BMD also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daughter's BMD in lumbar spine, femoral neck, ward's triangle. Our findings support that mothers with low BMD tended to have daughters with low BMD. In the age groups studied, as well genetic factors as environmental factors may have an important role in determining BMD. This study suggests that women may successfully enhance their genetically determined BMD through adequate nutrient intakes and weight bearing exercise.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