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ee-ring

검색결과 249건 처리시간 0.03초

변산반도국립공원 내소사-내변산 구간의 식생구조분석 (Vegetation Structure Analysis from Naesosa to Naebyeonsan District of the Byeonsan Peninsula National $Park^{1a}$)

  • 최송현;조현서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151-160
    • /
    • 2009
  • 변산반도국립공원의 내소사-내변산지구의 식생구조를 파악하기 위하여 30개 조사구를 설치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Classification 기법중 하나인 TWINSPAN을 이용하여 군락분리를 시도하고, ordination기법중 DCA분석을 실시하여 보완한 결과, 군락의 종조성이 불연속적으로 나타났다. 최종 군락 분리결과 군락 I 은 소나무군락, 군락 II는 소나무-졸참나무군락, 군락 III은 느티나무-까마귀베개군락, 그리고 군락 IV는 푸조나무-까마귀베개군락이었다. 이상의 분석결과 변산반도국립공원 남사면지역은 해안쪽은 소나무식생이 계속 유지될 것이나 내륙으로 갈수록 점차 졸참나무 등으로 천이가 진행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조사지역의 산림식생의 임령은 연륜분석결과 40년을 상회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백두대간 태백산지역 백천계곡의 식물군집구조 (Plant Community Structure of the Baekcheon Valley in Taebaeksan Area, the Baekdudaegan)

  • 조현서;최송현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5권4호
    • /
    • pp.369-378
    • /
    • 2002
  • 백두대간 태백산지역의 백천계곡에 대해 삼림군집구조 분석을 실시하기 위해 50개 조사구를 설치하고,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TWINSPAN 기법을 활용하여 군락을 분리한 결과 신갈나무-소나무군락(I), 소나무-신갈나무군락(II), 당단풍-신갈나무군락(III), 박달나무-당단풍군락(IV), 그리고 층층나무군락(V)의 5개 군락으로 최종 분리되었다. 각 군락은 층위별 상대우점치 분석을 통하여 식생구조를 밝혔다. 연륜분석결과 백천계곡의 임령은 소나무림이 50~75년. 신갈나무림이 40년 내외로 밝혀졌다. 단위면적당(100$m^2$) 평균출현종수는 11.1$\pm$2.2종, 평균출현개체수는 74.6$\pm$28.1주였다. 흉고직경급별 분석을 포함한 이상의 결과로 식생천이를 예측한 결과 백천계곡은 소나무에서 신갈나무를 거쳐 층층나무, 박달나무 등의 활엽수로 전개될 것으로 판단된다

잣나무 조림목(造林木)의 조직특성(組織特性)의 변동(變動)과 성열재(成熱材)·미성열재(未成熱材)의 재질(材質) (Changes in Cellular Characteristics and Qualities of Matured and Juvenile Wood from Reforested Tree of Pinus koraiensis)

  • 강선구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21권2호
    • /
    • pp.73-80
    • /
    • 1993
  • Pinus koraiensis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reforestation species which had widely been planted around the country. Therefore, there are great research needs on the fundamental properties of wood to extend the frequency of uses and adequate availabilities. Research results on the characteristics of anatomical wood properties and change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t a horizontal direction of tree trunk, the tracheid length at outer wood gradually becomes shorter as it reaches to pith. The tracheid length having between 32 and 42 annual rings showed over 2.5 times longer than that of pith, and also its length in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of the stem. 2. The tracheid diameters in latewood showed a little fluctuations, and the shortest near to the pith in earlywood. The tracheid diameters in earlywood are more than 2 times those of latewood, and the differences between the mature and juvenile wood in earlywood are less than 10${\mu}m$. 3. The tracheid wall thickness in early wood showed a little fluctuations. On the contrary, tracheid wall thickness in latewood rapidly increases from the pith to the bark. The tracheid wall of mature wood showed 10 to 20% thicker than that of juvenile wood. 4. The fibril angle at the secondary walls of tracheid within an annual ring showed higher degree in earlywood than that of latewood. The highest tracheid fibril angle was observed at around the pith of both earlywood and latewood. Then, fibril angle slowly decreased toward outer wood, and was stabilized after 15 years. 5. Structural boundaries between mature and juvenile wood from Pinus koraiensis are divided by 13 to 19 annual ring and distance of 5 to 8cm from the pith.

  • PDF

Teak (Tectona grandis Linn. f.): A Renowned Commercial Timber Species

  • Palanisamy, K.;Hegde, Maheshwar;Yi, Jae-Seon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25권1호
    • /
    • pp.1-24
    • /
    • 2009
  • Teak (Tectona grandis) is one of the most valuable timber yielding species in the world, with predominant distribution in tropical or sub-tropical countries. However, natural teak available only in few countries like India, Myanmar, Laos People's Democratic Republic and Thailand. Teak grows well in deep, well-drained alluvial soils, fairly moist, warm, tropical climate with pH ranges from 6.5-7.5. Teak is cultivated in many Asian, African and South American countries for timber production. The global teak plantations are estimated to be three million hectare with major share in India (44%) followed by Indonesia (33%). India is considered as richest genetic resources of teak with large areas of natural teak bearing forests (8.9 million ha), plantations (1.5 million ha), clonal seed orchards (1000 ha) and seed production areas (5000 ha). The studies on diversity of teak populations showed that teak is an out crossing species with major portion of diversity present within the populations. The productivity and quality of teak timber varies depending upon the site and environmental conditions. Teak wood is moderately heavy, strong and tough,straight grained, coarse textured and ring porous with specific gravity varies from 0.55 to 0.70. The sapwood is white to pale yellow in colour and clearly demarcated while heartwood is dark brown or dark golden yellow in colour. Teak is one of the most durable timbers in the world, practically, impervious to fungus and white ant attack and resistant to decay. Teak wood is used in ship and boat constructions, furnitures and aesthetic needs. Genetic improvement programmes have been undertaken in countries like Thailand, India, Malaysia and Indonesia. The programme includes provenance identification and testing, plus tree selection and clonal multiplication, establishment of seed orchards and controlled hybridization. Several aspects like phenology, reproductive biology, fruit characteristics, silvicultural practices for cultivation, pest and diseases problems, production of improved planting stock, harvesting and marketing, wood properties and future tree improvement strategy to enhance productivity have been discussed in this paper.

  • PDF

남부지역 졸참나무의 임분 특성에 따른 물리·역학적 특성 (Physical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Quercus serrata according to Stand Characteristics in Southern Region of Korea)

  • 원경록;홍남의;이광수;정수영;유병오;박용배;정성호;변희섭
    • Journal of the Korean Wood Science and Technology
    • /
    • 제42권6호
    • /
    • pp.659-665
    • /
    • 2014
  • 목재의 조직, 물리, 역학적 특성은 토양조건과 기후변화 등의 환경적 인자에 의해서도 바뀌게 됨으로 남부 세 지역의 임분 특성이 목재의 재질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지역별 조직, 물리, 역학적 특성 등을 비교 검토하였다. 경상도, 전라도, 제주도의 졸참나무임지에 대해 임분 특성과 목재특성을 평가 분석하였는데 이들 간에는 대부분 높은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남부지역의 졸참나무는 온대에서 난대로 기후가 변화하는 난대 지역의 산림자원으로 본 목재재질특성 분석결과 유용한 산림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Sex-related demographics in two remnant populations of a dioecious tree Ilex cornuta (Aquifoliaceae): implications for conservation

  • Shin, Sookyung;Lee, Hakbong;Lee, Jei-Wan;Kang, Hyesoon
    • Journal of Ecology and Environment
    • /
    • 제43권3호
    • /
    • pp.320-331
    • /
    • 2019
  • Background: Dioecious plant species having both male and female plants have been investigated regarding sex-related characteristics such as sex ratio, sex-differential resource requirements, and spatial segregation of the sexes. Habitat loss and fragmentation are major threats to the survival of plant populations, but dioecious species are particularly more prone to such habitat degradation than non-dioecious species because of their dimorphic sexual system. We examined the sex-related demographics of two Ilex cornuta populations being different regarding land use history. Methods: During 2016-2017, we examined I. cornuta trees with a basal diameter ${\geq}1.5cm$ in the Yongsu-ri population (YS population) and the Gotjawal Provincial Park population (GP population). Plant sex (male, female, or unsexed) was identified. The tree size (basal diameter and height of the main stem), clonal production (the ramet numbers per genet), and vitality for each clone were measured. The associations between population, sex, tree size, clonal production, and vitality were examined using ANOVAs and contingency table analyses. Finally, point pattern analyses using O-ring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assess spatial patterns. Results: Upon excluding unsexed trees, the YS population with 74 trees was significantly male-biased (0.66), while the GP population with only 26 trees had a 1:1 sex ratio. In both populations, males and females did not differ in tree size. Although the mean number of ramets differed significantly between populations, females tended to produce more ramets than males. The proportion of weak tree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YS than in the GP population. Neither population showed evidence of spatial segregation of the sexes. Conclusions: The two populations of dioecious I. cornuta are characterized by the small number of trees and relatively high frequencies of non-reproductive trees. Both indicate that these populations are quite susceptible to environmental and genetic stochasticity. On the other hand, the differences between populations in sex ratio, clonal production, and vitality suggest that conservation efforts for I. cornuta need to be population-specific. In order to help recover and enable this vulnerable species to persist, it is necessary to find ways to enhance their sexual reproduction and simultaneously reduce habitat disturbances due to anthropogenic activities.

천연기념물 제4호 통의동 백송의 나이와 직경생장 유형 (Age and Radial Growth Patterns of a Lace-bark Pine (Pinus bungeana), the Natural Monument NO. 4 of Korea)

  • 김은식
    • The Korean Journal of Ecology
    • /
    • 제26권1호
    • /
    • pp.34-38
    • /
    • 2003
  • 본고에서는 1993년 지정 해제된 천연기념물 제4호인 통의동 백송의 나이(당시 630살로 추정)와 직경 생장 유형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나무의 나이는 1993년 당시 약 300살로 추정되는데, 원래 추정한 나이는 매우 과대 추정한 나이라고 할 수 있다. 이 나무는 주변의 토양수분 상태에 따라서 그 생육의 정도가 상당히 크게 영향을 받아왔다. 특히 1910년부터 약 30년동안 저하된 생장이 지속되었기 때문에 이 나무의 수세는 매우 쇠약해졌고, 이러한 지속적인 생장의 저하가 궁극적으로 이 수목이 죽게 되는데 가장 중요한 원인이 되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지속적인 생장의 저하가 1910년부터 4년간 지속된 서울지방의 가뭄에 의해서 초래된 것인지는 분명하지는 않으나, 이러한 가뭄도 수목 생장의 쇠퇴를 초래한 여러 가지 환경요인중의 하나가 된다는 것은 그리 어렵지 않게 추정할 수 있다. 이 연구를 통해서 우리나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나이가 오래된 나무인 노거수를 잘 관리해야 할 문화 재청이 고려를 해야할 관리상의 문제점에 대한 사항을 고찰하였다.

벌채적지에서 조릿대 임분의 식생 구조 및 산림식생 발달에 미치는 조릿대의 영향 (Vegetational Structure of Dwarf Bamboo and Its Effects on the Developmental Stages of Deciduous Forests in Clearcutting Sites)

  • 차윤정;전승훈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16권2호
    • /
    • pp.149-159
    • /
    • 2002
  • 산림발달에 따른 조릿대 임분의 구조적 특성을 구명하기 위해 전남 광양의 백운산 지역내 천연임분과 1987년 벌채임분, 1993년 벌채임분에서의 조릿대 발생임분과 비발생 임분에 대해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상층 수목의 생장에 대한 조릿대의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조릿대가 분포하는 임분과 분포하지 않는 임분에서 공통적으로 중요도가 높은 졸참나무와 서어나무에 대한 연륜 생장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조사연구지역의 식생형은 조릿대 우점 식생형과 조릿대 소점 또는 무점 식생형으로 크게 분류되었으며. 전자의 경우 졸참나무-서어나무/조릿대 군락, 때죽나무-쪽동백나무/조릿대 군락, 층층나무-산뽕나무/조릿대 군락, 느티나무-조릿대 군락 등 4개의 군락으로 분류되었고, 후자의 경우는 졸참나무/비목군락, 층층나무/비목 군락, 졸참나무/당단풍/물참대 군락, 물푸레나무-졸참나무/비목/회잎나무 군락, 산딸기-산수국 군락, 산딸기-싸리 군락 등 6개 군락으로 분류되었다. 임분발달 단계에 따라서는 천연임분의 경우 졸참나무와 서어나무 중심의 낙엽활엽교목과 하층식생으로서 조릿대가 우점하는 반면, 벌채임분의 경우 하층식생으로서의 조릿대 출현밀도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졸참나무와 서어나무의 초기생장기에는 조릿대가 발생하지 않은 임분에서 자라는 개체들의 연륜폭이 조릿대 발생임분에서 자라는 개체들의 연륜폭보다 넓었으나 약 30년을 전후하여 반대 현상이 나타나고 있어 조릿대에 의한 생장감소는 없는 것으로 판단된다.

강원도(江原道) 지역(地域)의 침활엽수재(針闊葉樹材) 목재자원(木材資源)의 이용개발(利用開發)을 위한 기초적(基礎的) 연구(硏究) -복합목재 제조를 위한 단량체의 침투기구-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Major Wood Resources in Kangwon-do -Permeability system of monomer in wood polymer composites-)

  • 이원용;이성재
    • Journal of Forest and Environmental Science
    • /
    • 제14권1호
    • /
    • pp.1-13
    • /
    • 1998
  • 주요 침 활엽수재에 대하여 methyl methacrylate를 이용하여 만든 목재-polymer복합체에 대하여 polymer의 분포와 존재상태등을 목재의 조직학적인 면에서 조사하였으며 그것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polymer의 침투성은 수종에 따라 다르며 수종고유의 특성에 따라 다르다. 낙엽송은 침투성이 대단히 나쁘며 활엽수재에 있어서는 환공재가 산공재보다 침투성이 양호 하였다. 2. 횡단면에서 침투성이 가장 양호하며 방사단면과 접선단면에서의 주입은 저하되고 양자의 차이는 거의 없었다. 3. 동일 수종에서는 변재가 섬재보다 침투성이 양호 하였다. 수종에 따라 변심재간에 침투성이 다른 것은 심재화에 의한 tyloses의 형성 또는 도관중의 침착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4. 환공성 수종에서는 조재부가 만재부보다 polymer의 침투성이 양호 하였으며 산공재에서는 반대로 만재부가 조재부보다 침투성이 양호하였다. 5. 도관의 크기와 침투성과의 사이에는 명확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관의 직경이외에도 도관의 비율, tyloses의 발달, 내용물의 충진 혹은 천공판등이 관계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6. 침엽수재 방사조직에 있어서는 방사유세포보다 방사가도관의 침투성이 양호하였으며 활엽수재의 방사조직은 구성비율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단량체의 방사방향에 미치는 영향은 침엽수재보다 적었다. 7. 비중과 연륜폭은 모두 polymer의 침투성과 거의 관계가 없었다.

  • PDF

설악산국립공원 분비나무개체군의 구조와 동태 모니터링 (Monitoring on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nephrolepis Populations in Seoraksan National Park)

  • 전영문;이호영;권재환;박홍철
    •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
    • 제33권5호
    • /
    • pp.565-577
    • /
    • 2019
  • 설악산 분비나무 개체군의 쇠퇴징후에 대한 요인과 군락의 변화 양상을 파악하기 위하여 귀때기청봉, 관모능선, 설악폭포지역에 고정조사구를 설치하였으며, 군락구조, 개체군동태, 비대생장 및 활력도 등을 2009년부터 모니터링 하였다. 설악폭포지를 제외한 3개 조사지는 아교목층이 수관층을 형성하는 3층구조를 보였다. 목본수종의 중요치에서는 분비나무, 눈측백, 신갈나무, 사스래나무, 당단풍나무 등이 주요 종으로 분포하였으며, 설악폭포지에 분포하는 분비나무의 중요치는 2009년 45.3%에서 2018년 36.8%로 가장 크게 감소하였다. 생육목의 개체수($DBH{\geq}5cm$)는 귀때기청봉2와 관모능선에서 각각 1,800개체/ha와 1,700개체/ha로 가장 많았으며, 지난 10년 동안 고사율은 귀때기청봉1과 설악폭포지에서 각각 38.3%와 35.3%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분비나무 개체군의 흉고직경급 분포에서는 귀때기청봉1 지역에서 가장 안정적인 역 J자형의 분포를 보였다. 분비나무의 연평균 비대생장은 0.96~1.73mm/year 였으며, 활력도가 감소 추세를 보인 귀때기청봉2, 관모능선, 설악폭포 지역에서 비대생장은 대체로 생장이 저하되는 추세를 나타내었다. 향후 모니터링 과정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진다면, 아고산 식생의 보전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 확보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