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ition governance

검색결과 47건 처리시간 0.024초

지속가능한 사회-기술 전환을 위한 정책 거버넌스 유형에 관한 연구 (Typology of Policy Governance for Socio-technical Transitions)

  • 이영석;김병근
    • 기술혁신연구
    • /
    • 제22권3호
    • /
    • pp.193-223
    • /
    • 2014
  • 최근 환경문제에 대한 구조적인 해결책을 찾는 과정에서 사회-기술 시스템이 하나의 핵심적인 분석단위가 되고 있다. 또한 지속가능성이라는 복잡한 도전과제에 대응하기 위해 전환이론에 관한 연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본 논문은 이와 같은 지속가능한 사회-기술 전환을 거버닝하기 위해 어떻게 접근할 수 있는지의 문제를 정부의 관점에서 다루고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전환이론과 거버넌스 이론을 접목하여 사회-기술 전환을 위한 정책 거버넌스를 유형화함으로써, 전환목표 달성을 위한 정부의 역할모델과 전환정책 설계를 위한 실천적 프레임워크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사회적 조정수준과 전환압력이 발생하는 위치를 전환정책 거버넌스를 유형화화기 위한 핵심 맥락으로 설정하고, 주도적 정책 거버넌스, 촉진적 정책 거버넌스, 조정적 정책 거버넌스, 설득적 정책 거버넌스 등 4가지 거버넌스 유형을 도출하여 각각의 특징과 사례를 논의하였다. 이와 같은 접근은 분석적 측면에서 각 유형별로 전환을 촉진하는 정책기능의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는 한편, 규범적 측면에서는 정책입안자가 어떻게 효과적인 전환정책을 설계할 수 있을 것인지에 대한 판단기준을 제공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이론적 측면에서는 혁신정책 관점의 전환이론을 기존의 거버넌스 이론과 접목함으로써, 양 연구의 간극을 줄이고 전환에 대한 거버넌스적 고찰을 구체적인 전환이론과 연계하는데 기여할 수 있다.

Collaboration and Confucian Reflexivity in Local Energy Governance: The Case of Seoul's One Less Nuclear Power Plant Initiatives

  • Lee, Youhyun;Bae, Suho
    • Journal of Contemporary Eastern Asia
    • /
    • 제18권1호
    • /
    • pp.153-174
    • /
    • 2019
  • South Korea's energy policy has been historically established through an energy production structure that relies on thermal and nuclear power generation in relation to a centralized 'Hard Energy System'. However, climate change issues are forcing the transition to renewable energy, and it is crucial for local governments to enable this. This study analyses Seoul city's local energy governance, which is known as One Less Nuclear Power Plant Initiative, by applying the collaborative governance framework inspired by Ansell and Gash (2008) and the Reflexivity framework of Confucianism. It is considered that the local energy governance model of Seoul city can be used as a model by other local governments, and it will eventually lead to a decentralized energy system in this era of energy transition.

지속가능성 전환의 관점에서 본 서울시 정책 평가 : '공유도시'와 에너지 전환 정책을 중심으로 ('Sharing City' and Energy Transition Policy of Seoul : A Sustainability Transition Perspective)

  • 김민재 ;박순열 ;김지혜 ;안새롬 ;구도완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
    • 제22권2호
    • /
    • pp.7-40
    • /
    • 2018
  • 이 글은 지속가능성 전환의 개념과 이론을 살펴보고 지속가능성 전환의 관점에서 박원순 서울시정의 '공유도시'와 에너지 전환 관련 정책을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지속가능성 전환 개념은 현존하는 사회 제도와 이해관계 속에서 어떻게 지속가능성을 지향하는 장기간의 전환 과정이 일어나고 이 과정을 누가 어떻게 조정할 수 있는지를 탐구하기 위한 개념이다. 체계적 문제로서 환경 문제의 해결을 위해서는 지속가능성을 목표로 하는 체계와 레짐의 전환이 필요하며, 지속가능성 전환 과정에는 성찰적 거버넌스가 필요하다. 특히 이러한 성찰적 개입에 있어 전환의 정치에 대한 고려가 필수적이다. 이 글은 서울시의 '공유도시' 정책 가운데 나눔카와 따릉이, 에너지 정책으로서 원전하나줄이기 정책과 성대골 에너지자립마을 사례를 분석한다. 지속 가능성 전환의 관점에서 나눔카는 전환 정책의 성공 사례라고 보기 어려운 반면 따릉이는 그 자체의 성과는 크지 않지만 자동차 중심의 교통체계를 지속가능한 교통체계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잠재력이 큰 정책이라고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두 정책 모두 새로운 전환 정치를 창출해 내는 힘은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원전하나줄이기 정책과 성대골 마을 사례는 생태적 지속가능성을 높이는 데 어느 정도 성공했고 사회적 정의와 포용을 높였을 뿐만 아니라 원전을 줄일 수 있다는 믿음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에서 체계와 레짐을 전환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고 평가할 수 있다. 두 사례의 경우, 거버넌스와 전환 정치의 관점에서 볼 때, 지속가능성 전환의 거버넌스와 새로운 정치적 권력관계의 형성이 이루어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

에너지전환과 지방정부의 역할: 문재인 정부의 재생에너지 정책을 중심으로 (Energy Transition and Roles of Local Governments: Renewable Energy Policy under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 한희진
    • 아태비즈니스연구
    • /
    • 제10권1호
    • /
    • pp.87-103
    • /
    • 2019
  • In December 2017, the Moon Jae-in administration announced a major policy shift away from nuclear and coal, committing itself to the vision of creating a society where renewable sources account for 20% of its electricity generation by 2030. This energy transition involves not just a technical transition from conventional energy sources to renewable energy but also active participation of multiple stakeholders in the energy governance. While energy policy making has long been dominated by the central government in Korea with the aim of managing the supply for rapid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growth, the Moon administration aims to diffuse the central government's authority across various actors in society. Among those actors, this study focuses on the roles that local governments play in energy transition. Despite deepening local autonomy since 1995, Korean local governments have remained policy targets or recipients in the energy policy domain. This article discusses how such a traditional role has evolved under the new administration's energy transition policy and examines what challenges and limitations local governments face in creating a more decentralized energy governance system.

대안적 에너지 정책에 대한 탐색: 서울시 원전하나 줄이기 정책과 거버넌스의 역할 (Explaining One Less Nuclear Energy Policy from Governance Perspective: Energy Transition and Effectiveness of Urban Energy Policy)

  • 이주헌
    • 의정연구
    • /
    • 제23권1호
    • /
    • pp.151-185
    • /
    • 2017
  • 서울의 '원전하나 줄이기(2012)' 정책은 성공적인 도시 에너지 정책이자, 에너지 전환(energy transition)의 성공사례로 소개되고 있다. 하지만, 본 정책의 이른바 '목표달성'이 어떻게 가능했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설명된 바가 없다. 본 연구는 원전하나 줄이기 정책의 높은 수준의 성과가 가능한 이유로, 정책인식, 정책목표, 정책수단 및 정책평가 등의 체계 구성요인 간의 조화를 유지할 수 있었던 서울시의 거버넌스 역량을 핵심 요인으로 제시하였다. 이러한 거버넌스 관점의 설명은 정책의 장(policy arena)으로서의 도시의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도시정부의 역량에 따라 체계의 전반적인 전환 과정에서 내적 일관성을 유지하며 정책체계로서의 항상성과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경성에너지체계로 정의되는 합리성-효율성-중앙집권적 에너지체계는 원전하나 줄이기 정책의 시행과 더불어 연성에너지체계로 이행되기 시작하였다. 에너지체계 운영의 주체로서, 체계전환을 관리하는 서울시의 역량은 따라서 가장 중요한 설명변수가 된다.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살펴본 일본과 싱가포르의 의학교육 정책 비교: 한국에 주는 시사점 (A Comparison of Medical Education Policies in Japan and Singapore with a Focus on Governance: Implications for Korea)

  • 정성수
    • 의학교육논단
    • /
    • 제26권3호
    • /
    • pp.174-183
    • /
    • 2024
  • Among Asian nations, Japan, Singapore, and South Korea exemplify countries with high standards of medical quality. This review explores the differences in medical education policies between Japan and Singapore, particularly concerning governance, and discusses the implications for South Korea's medical education policies. Relevant documents were analyzed by referencing scholarly articles and data from governmental and expert organizations in each country. In Japan, advances in medical education policies include initiatives such as the regional quota system and the core curriculum model, which emphasize stakeholder engagement and transparency. However, challenges persist due to limited stakeholder participation, necessitating a transition toward a more equitable governance paradigm. Singapore's model features robust public-private partnerships with minimal direct governmental intervention, emphasizing innovation and community integration, as seen in the Healthier SG project. These case studies demonstrate effective governance involving significant stakeholder collaboration and strategic financial investments. Conversely, South Korea's medical education policies face challenges from a predominantly government-centric approach, with an absence of cohesive governance structures and inadequate involvement from essential professional stakeholders. This situation has led to policy inconsistencies and a deficit of strategic direction, exacerbated by insufficient financial support for educational infrastructure and program development. The experiences of Japan and Singapore indicate that it would be beneficial for South Korea to adopt integrated governance frameworks that prioritize transparency and collaboration. Furthermore, increasing financial investment in medical education could mitigate existing deficiencies and improve the quality and effectiveness of its healthcare education system.

2014 브라질 회의로 가는 길 (A Glimpse into Brazil Conference)

  • 전응휘
    • 인터넷정보학회지
    • /
    • 제14권4호
    • /
    • pp.63-76
    • /
    • 2013
  • This short report introduces the general background why Brazil conference is being prepared and what topics would be undertaken and what goals are being taken into account. It overviews what differences from traditional telecommunication governance, internet governance has had in its historical development and how such differences had been formed from its technological differences and the regulatory policy shift from common carrier regulation to privatization. Moreover, the fact that open, voluntary, bottom-up, diverse stakeholder's participation had evolved throughout the historical development of the internet, had established the present multistakeholder governance model from technological standardization to addressing scheme policies. ICANN, which has governed internet addressing schemes since the earlier 2000s, had developed address policies including IANA function from Jon Postel and technical community's legacy management system into contract based formation between ICANN and gTLD, ccTLD registries. And it made dispute resolution policies responding to trademark disputes and resolved gTLD monopoly issue by introducing new TLD generation and the separation of registry and registar. However, there had been challenges on the legitimacy of ICANN due to its dependency on the Federal Government of the U.S. particularly in its oversight role over ICANN and IANA contract. WSIS raised up internet governance issues including addressing governance, and set up IGF as a discussion platform for multistakeholders to discuss and share all views on other internet related public policies. IGF's loose and non-binding discussion once frustrated governments and other stakeholders, but more focused discussion and visible outcomes have consolidated its unique role for internet governance discourses. Particularly, IGF addressed many emerging internet related issues like cybersecurity, privacy, net neuratlity, development related issues. WTPF of 2013, after WCIT debate on whether traditional telecommunication regulation could be applied to internet infrastructure, suggested other governance issues such as the transition to ipv6, IXP coordination etc. How to make sure the legitimacy of internet addressing governance and how and where other internet related public policies could be undertaken are fundamental tasks for internet governance. Brazil conference, which has been motivated by the breakdown of trust in internet governance from NSA mass surveillance revealed by Snowden, faces these questions and try to make consensus on principles, institutions and roadmap for internet governance in multistakeholder participation way.

  • PDF

Global Economic Governance Reform and the Role of Asia: Opportunities Offered by the G20

  • Cho, Yoon Je
    • East Asian Economic Review
    • /
    • 제16권1호
    • /
    • pp.3-23
    • /
    • 2012
  • The recent global financial crisis has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international monetary and financial system reform. The current system is deemed to be no longer adequate to meet the needs of a complex, integrated world economy. With regards to the reform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system, there have been various proposals both in demand and supply sides. These include proposals to build a stronger global financial safety net, to diversify the supply of international reserve currency and so on. These proposals face trade-offs between desirability and political feasibility. Given this situation, a practical transition would be to strengthen policy coordination among the major economies and to reform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The success on both fronts depends heavily on global economic governance reform and the role of the G20. Increased status and representation of Asian countries in the G20 give both privileges and responsibilities to Asians. To meet these responsibilities, Asians should put forth greater efforts to develop their intellectual leadership in global economic issues through creating new forum and institutions.

  • PDF

주요국의 에너지정책 거버넌스 사례와 정책제언 (A Study on Energy Policy Governance Cases and Policy Suggestions of Major Countries)

  • 임기추
    • 에너지공학
    • /
    • 제25권4호
    • /
    • pp.226-235
    • /
    • 2016
  • 본고에서는 에너지정책 대응을 위한 기존 계층적 권위를 바탕으로 하는 조정체계에서 벗어나, 중앙정부나 지방정부가 산업계 및 시민단체 등의 다양한 이해관계 주체와 네트워크를 구성한 조정체계로 전환될 수 있도록 정책제언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서 먼저, 정부의 에너지정책을 위한 조정체계로 전환될 수 있도록 법적 기반의 조성, 둘째로 중앙정부 차원의 에너지정책 거버넌스 구축에 기여, 셋째로 지방정부 차원의 에너지정책 거버넌스 구축에 기여하도록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우리나라 에너지정책 거버넌스의 개선을 위한 정책적 방안을 마련하였다. 특히, 여러 에너지정책들이 잘 집행되고 성공할 수 있도록 부처간 의견을 조정하고 협력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과 정부간 조율된 정책이 민간과 기업의 협력을 통해 잘 집행될 수 있는 체계를 개선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나노기술에 대한 한국의 위험거버넌스 분석 (Nanotechnology Risk Governance in Korea)

  • 김은성
    • 기술혁신연구
    • /
    • 제21권3호
    • /
    • pp.1-39
    • /
    • 2013
  • 이 논문은 우리나라 나노기술 위험정책을 규제법적 접근, "연한 법"적 접근, 참여적 거버넌스 세 가지로 구분하여 분석한다. 첫째, 규제법적인 접근은 나노물질에 대한 금지 및 취급제한 조치 그리고 의무적 정부 등록제를 들 수 있다. 둘째, "연한 법"적인 접근으로 자기규제와 강제된 자기규제가 있다. 셋째, 참여적 거버넌스는 시민 및 이해관계자의 참여를 통한 거버넌스를 추진하는 방법으로 합의회의, 시민배심원제 등을 통한 참여적 기술영향평가와 인문사회과학자와 나노기술연구자와의 협업을 추진하는 실시간 기술영향평가를 들 수 있다. 한국의 위험거버넌스는 세 가지 주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첫째, 한국은 나노물질에 적용할 수 있는 수많은 규제법률이 있으나 면제조항은 미국 및 유럽보다는 규제가 낮아 이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현재 추진되고 있는 나노기술에 대한 대표적인 규제정책은 주로 연한법적 접근에 기반하고 있으나 이러한 정책이 기업의 자발적 참여가 아니라 정부 주도로 추진되고 있어 그 실효성에 대한 한계가 있다. 셋째, 참여적 기술영향평가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일어나고 있으나, 나노기술과 관련하여 한국에서 실행된 사례는 아직 없다. 이 연구는 한국의 나노기술의 위험거버넌스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으로 선시장 스크리닝, 의무적 정부등록제, 자율적 행동강령에 대한 이행관리, 실시간기술영향평가를 위한 학제간 공동협력 연구개발사업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