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frontier

검색결과 3건 처리시간 0.018초

유럽연합의 접경지역 개발 전략 - 프랑스-벨기에-룩셈부르크의 P. E. D.를 사례로 - (The Transfrontier Development Strategies in European Union - A Case Study of the Transfrontier among France-Belgium-Luxemburg -)

  • 문남철
    • 대한지리학회지
    • /
    • 제37권4호
    • /
    • pp.442-459
    • /
    • 2002
  • 유럽연합의 형성으로 회원국가간에 존재하였던 기존의 국경기능이 완전히 사라지게 됨에 따라 유럽연합은 낙후된 접경지역을 개발하고, 접경지역간의 상호활동을 증대시켜 통합된 공동체의 내부지역으로 만들기 위해 1990년부터 접경지역개발계획(INTERREG)을 수립하여 접경지역 개발전략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 과거 유럽 제철산업의 중심지였던 프랑스-벨기에-룩셈부르크의 접경지역은 지역경제와 사회침체를 억제하고 안정된 지역경제의 재 구조화를 이루기 위해 유럽연합의 INTERREG 계획과 유사한 지역경제ㆍ사회ㆍ문화적 특성을 바탕으로 접경지역의 공동개발인 P.E.D. 개발을 실행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지역경제의 재구조화뿐만 아니라 도시계획ㆍ행정ㆍ사회적 통합을 통해 지역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장기적이고 전체적인 공동계발계획을 시도하고 있다.

남부아프리카 초 국경평화공원의 지정학적 접근: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에 주는 시사점 (A Geopolitical Approach of Transfrontier Peace Park in Southern Africa : Implication for the DMZ International Eco-Peace Park)

  • 문남철
    • 한국지역지리학회지
    • /
    • 제23권2호
    • /
    • pp.311-324
    • /
    • 2017
  • 본 연구는 초 국경평화공원의 세계적 확산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남부아프리카의 초 국경평화공원을 사례로 지정학적 관점에서 (초) 국경공원의 역할과 기능, 형태가 시대적 정치상황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어 왔고, 현재 초 국경평화공원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남부아프리카의 국경공원은 식민지 시대와 아파르트헤이트 시기, 냉전 및 내전시기에 유럽열강의 충돌을 완화하고 광역 식민지를 분리 통치하고 공산주의와 흑인해방운동의 공간적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역할과 기능을 하였다. 그리고 냉전과 내전, 아파르트헤이트의 종식 이후 국경공원을 통합한 생태학적 초 국경평화공원은 국가 간, 지역 간, 인종 간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남부아프리카의 생태학적 초 국경평화공원은 대립과 갈등의 해소와 평화체계의 구축에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국가 간 인적, 재정적, 기술적 자원의 불균형과 백인과 흑인 간의 경제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경제적 지배와 인종집단 간 사회-공간적 갈등이 재생산될 수 있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 PDF

Detection of Babesia spp. in Free-Ranging Pukus, Kobus vardonii, on a Game Ranch in Zambia

  • Munang'andu, Hetron Mweemba;Munyeme, Musso;Nambota, Andrew Mubila;Nalubamba, King Shimumbo;Siamudaala, Victor M.
    • Parasites, Hosts and Diseases
    • /
    • 제49권4호
    • /
    • pp.437-440
    • /
    • 2011
  • Babesia spp. were detected from 4 asymptomatic pukus captured on a game ranch in central Zambia in October 2008. Blood smears were examined in 4 species of aymptomatic free-ranging antelopes, namely the puku (Kobus vordanii), reedbuck (Redunca arundinum), bushbuck (Tragelaphus sylvaticus), and kudu (Tragelaphus strepsiceros), and showed the presence of Babesia parasites only in the puku. In the puku, the prevalence of babesiosis was estimated at 33.3% (n=12), while the overall prevalence in all examined animals was 8.5% (n=47). The parasites showe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paired ring-like stages with the length varying between $1.61{\mu}m$ and $3.02{\mu}m$ ($mean=2.12{\mu}m$, n=27; $SD=0.76{\mu}m$). Both the infected and non-infected pukus showed good body condition scores (BCS), while the dominant tick species detected from all animals were Rhipicephalus appendiculatus, Rhipicephalus spp., and Boophilus spp. To our knowledge this is the first report of Babesia spp. infection in pukus in Zambia. These findings suggest that wildlife could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epidemiology of babesiosis in Zamb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