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Geopolitical Approach of Transfrontier Peace Park in Southern Africa : Implication for the DMZ International Eco-Peace Park

남부아프리카 초 국경평화공원의 지정학적 접근: DMZ 세계생태평화공원 조성에 주는 시사점

  • 문남철 (서원대학교 지리교육과)
  • Received : 2017.04.06
  • Accepted : 2017.05.20
  • Published : 2017.05.31

Abstract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geopolitical analysis on the role, function and problem of (trans) frontier park in Southern Africa. Frontier parks in Southern Africa had been used as a buffer zone between colonial empires and British colonial administration during the colonial period and as an interdiction zone of communism and black liberation movement during the apartheid regime, the cold war and the civil war. The ecological transfrontier peace parks in Southern Africa which is integrating the adjacent Frontier parks is utilized as a means of a conflict resolution and peace building after the end of cold war, civil war and apartheid regime, The ecological transfrontier peace parks in Southern Africa is very highly regarded as an effective means for a conflict resolution and peace building. But it is also being criticized for a reproduction of South Africa's politico-economic domination and of a socio-spatial division between racial groups.

본 연구는 초 국경평화공원의 세계적 확산에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있는 남부아프리카의 초 국경평화공원을 사례로 지정학적 관점에서 (초) 국경공원의 역할과 기능, 형태가 시대적 정치상황에 따라 어떻게 변화되어 왔고, 현재 초 국경평화공원의 문제점은 무엇인가에 대해 분석하였다. 남부아프리카의 국경공원은 식민지 시대와 아파르트헤이트 시기, 냉전 및 내전시기에 유럽열강의 충돌을 완화하고 광역 식민지를 분리 통치하고 공산주의와 흑인해방운동의 공간적 확산을 차단하기 위한 역할과 기능을 하였다. 그리고 냉전과 내전, 아파르트헤이트의 종식 이후 국경공원을 통합한 생태학적 초 국경평화공원은 국가 간, 지역 간, 인종 간 대립과 갈등을 해소하고 평화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역할과 기능을 하고 있다. 그러나 남부아프리카의 생태학적 초 국경평화공원은 대립과 갈등의 해소와 평화체계의 구축에 효과적인 수단이라는 평가를 받고 있으나 국가 간 인적, 재정적, 기술적 자원의 불균형과 백인과 흑인 간의 경제적, 문화적 차이로 인해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정치-경제적 지배와 인종집단 간 사회-공간적 갈등이 재생산될 수 있다는 비판도 받고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상두, 2013, 독일 통일 전후 그뤼네스 반트 경험과 교훈, 통일연구원 학술회의 '신뢰와 평화, 희망의 DMZ 세계평화공원', 37-51.
  2. 김태환, 2014, '신 북방정책'으로서의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신 지정학적 접근'의 외교 전략적 함의, 주요국제문제분석 2014-33, 145-165.
  3. 문남철, 2014, 유럽연합의 국경소멸과 국경기능 변화, 국토지리학회지, 48(3), 161-175.
  4. 박은진.심숙경.이성대.최용환.황금회, 2012, 분단.대립 접경지역의 해외사례와 한반도 DMZ의 시사점, 이슈 & 진단, 44, 1-21.
  5. 박은진, 2013, DMZ 세계평화공원과 접경지역의 미래, 이슈 & 진단, 104, 1-26.
  6. 손기웅, 2013, 'DMZ 세계평화공원'의 의의와 추진방향, KDI 북한경제리뷰, 2013년 8월호, 18-26.
  7. 정원영.정철우, 2013,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의 의미와 방안, 주간국방논단, 13(1478), 1-8.
  8. 이강우, 2013, DMZ 세계평화공원 어떻게 할 것인가?, DMZ 세계평화공원 토론자료, 56-60.
  9. 이상근, 2016, 한국사회의 통일론과 신지정학적 인식, 동서연구, 28(3), 149-176.
  10. 이상환, 2016, 신지정학적 관점에서 본 동북아 영토 갈등 문제, 정치.정보연구, 19(1), 29-50.
  11. 이정록.구동회, 2005, 세계의 분쟁지역, 푸른길, 서울.
  12. 임덕순, 1997, 정치지리학원리-이론과 실제, 제2판, 법문사, 서울.
  13. 장원근.최지연, 2005, 홍해해양평화공원 사례 분석 및 남북 접경지역 해양 환경 협력 시사점, 해양수산, 252, 37-52.
  14. 장용규.황규득.설병수.강경화.베텔, 2012, 남아공의 토지문제 연구, 대외경제정책연구원.
  15. 최준영.이승현, 2013, DMZ 세계평화공원 조성을 위한 과제, 이슈와 논쟁, 703, 1-4.
  16. Amerom, M. van. and Büscher, B., 2005, Peace parks in Southern Africa: bringers of an African Renaissance?, Journal of Modern African Studies, 43(2), 1-24. https://doi.org/10.1017/S0022278X04000588
  17. Demko G. J. and Wood, B.W., 1994, Reordering the world: Geopolitical perspectives on the twenty-first century, Westview Press, Boulder San Francisco Oxford.
  18. Dussouy, G., 2001, Quelle geopolitique au XXIe siecle?, Les Ed. Complexe, Paris.
  19. Draper, M. and Mare, G., 2003, Going In : The Garden of England's Gaming Zookeeper and Zululand, Journal of Southern African Studies, 29(2), 551-569. https://doi.org/10.1080/03057070306205
  20. Draper, M., Spierenburg, M. and Wels, H., 2004, African dreams of cohesion: Elite pacting and community development in transfrontier conservation areas in southern africa, Culture and Organization, 10(4), 341-353. https://doi.org/10.1080/1475955042000313777
  21. Ferreira, S., 2003, Problems associated with tourism development in Southern Africa: The case of Transfrontier Conservation Areas, GeoJournal, 60, 301-310.
  22. Foucher. M., 1991, Fronts et frontieres, un tour du monde geopolitique, Fayard, Paris.
  23. Giraut, F., S. Guyot, S. and Houssay-Holzschuch, M., 2005, La nature, les territoires et le politique en Afrique du Sud, Annales HSS, 4, 695-717.
  24. Guyot, S., 2006, Geopolitique des parcs (trans) frontiers en Afrique Australe, Les Cahiers d'Outre-Mer, 234, 215-232.
  25. Hanks, J., 2003, Transfrontier Conservation Areas (TFCAs) in southern Africa: their role in conserving biodiversity, socioeconomic development and promoting a culture of peace, Journal of Sustainable Forestry, 17(1-2), 127-148. https://doi.org/10.1300/J091v17n01_08
  26. Lorot, P., 1995, Histoire de la Geopolitique, Economica, Paris.
  27. Metcalfe, S., 2003, Impacts of Transboundary Protected Areas on Local Communities on Three Southern African Initiatives, Paper prepared for the workshop on Transboundary Protected Areas in the Governance Stream of the 5th World Parks Congress, 1-27.
  28. Moore, R., 1997, African 'Peace Parks' : the new colonialism, Executive Intelligence Review, 10, 48-49.
  29. Roder, W., 1964, The division of land resources in South Rhodesia, Annals of the Association of American Geographers, 54(1), 41-52. https://doi.org/10.1111/j.1467-8306.1964.tb00473.x
  30. Rusinga, O. and Mapira, J., 2012, Challenges of transfrontier conservation areas: Natural resources nationalism, security and regionalism in the southern African development community region, International Journal of Development and Sustainability, 1(3), 675-687.
  31. Singh, J. and Houtum, H.V., 2002, Postcolonial nature conservation in South Africa: some emperors, new clothes, GeoJournal, 58, 253-263. https://doi.org/10.1023/B:GEJO.0000017956.82651.41
  32. Spenceley, A., 2006, Tourism in the Great Limpopo Transfrontier Park, Development Southern Africa, 23(5), 649-667. https://doi.org/10.1080/03768350601021897
  33. Thwala, W.D., 2006, Land and Agrarian Reform in South Africa, in Rosset, P., Patel, R. and Couville, M.(eds.), Promised Land Competing Vision of Agrarian Reform, Land Research Action Network, Oakland, 57-72.
  34. Walker, C, 2002, Agrarian Change, Gender and Land Reform: A South African Case Study, UNRISD Programme Paper on Social Policy and Development, 10, 1-83.
  35. World Bank, 2004, Mozambique-Transfrontier conservation areas pilot and institutional strengthening project, Maputo, World Bank, 31.
  36. 내셔널 지오그래픽(한국판), 2001, 국경 없는 동물의 왕국(2001년 9월호)
  37. 중앙일보, 2002, 아프리카 토지반란 확산(2002.02.23)
  38. http://www.iucn.org(IUCN 국제 초 국경보전 네트워크)
  39. http://www.peaceparks.org(남부아프리카 평화공원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