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cendental number

검색결과 26건 처리시간 0.024초

SIMPLE VALUATION IDEALS OF ORDER 3 IN TWO-DIMENSIONAL REGULAR LOCAL RINGS

  • Noh, Sun-Sook
    • 대한수학회논문집
    • /
    • 제23권4호
    • /
    • pp.511-528
    • /
    • 2008
  • Let (R, m) be a 2-dimensional regular local ring with algebraically closed residue field R/m. Let K be the quotient field of R and $\upsilon$ be a prime divisor of R, i.e., a valuation of K which is birationally dominating R and residually transcendental over R. Zariski showed that there are finitely many simple $\upsilon$-ideals $m\;=\;P_0\;{\supset}\;P_1\;{\supset}\;{\cdots}\;{\supset}\;P_t\;=\;P$ and all the other $\upsilon$-ideals are uniquely factored into a product of those simple ones [17]. Lipman further showed that the predecessor of the smallest simple $\upsilon$-ideal P is either simple or the product of two simple $\upsilon$-ideals. The simple integrally closed ideal P is said to be free for the former and satellite for the later. In this paper we describe the sequence of simple $\upsilon$-ideals when P is satellite of order 3 in terms of the invariant $b_{\upsilon}\;=\;|\upsilon(x)\;-\;\upsilon(y)|$, where $\upsilon$ is the prime divisor associated to P and m = (x, y). Denote $b_{\upsilon}$ by b and let b = 3k + 1 for k = 0, 1, 2. Let $n_i$ be the number of nonmaximal simple $\upsilon$-ideals of order i for i = 1, 2, 3. We show that the numbers $n_{\upsilon}$ = ($n_1$, $n_2$, $n_3$) = (${\lceil}\frac{b+1}{3}{\rceil}$, 1, 1) and that the rank of P is ${\lceil}\frac{b+7}{3}{\rceil}$ = k + 3. We then describe all the $\upsilon$-ideals from m to P as products of those simple $\upsilon$-ideals. In particular, we find the conductor ideal and the $\upsilon$-predecessor of the given ideal P in cases of b = 1, 2 and for b = 3k + 1, 3k + 2, 3k for $k\;{\geq}\;1$. We also find the value semigroup $\upsilon(R)$ of a satellite simple valuation ideal P of order 3 in terms of $b_{\upsilon}$.

명상관련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An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Meditation)

  • 김문영
    • 대한간호학회지
    • /
    • 제27권4호
    • /
    • pp.923-932
    • /
    • 1997
  • This study was done to analyze research trends and to suggest future perspectives for nursing research on meditation. The author reviewed 41 foreign research papers which had been published in the Journal of Consulting & Clinical Psychology(JCC) between 1966 and 1986, The Journal of Transpersonal Psychology(JTP) between 1967 and 1987, and Th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JCP) between 1965 and 1994. The analysis of the studies focused on the concept of meditation, the type of study design, type of research subjects, type of meditation, the results of study, and the applied type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When the study designs were analyzed six categories were identified (Literature reviews, Experiments, Surveys, Comparative study, Qualitative study, Others), and the majority of the studies were found to be Literature reviews (36.6%), or Experimental studies(39%), The number of studies on meditation has increased since the 1970's. (2) Most studies approached meditation with Zen and Yoga(72.5%) which were called concepts of Indian meditation from 1970's to the later of 1980's. TM(Transcendental Meditation) was used in the 1970's. (3) On the type of meditation, most studies used Zen meditation which was called a method of Buddhistic meditation(43.9%). (4) On the studies of meditation effect, most were about psychological changes(48.5%), and psychological changes and physiological changes(37.1%). (5) On the types of the study subjects it was found that 15 studies dealt with literature, nine studies investigated college students, and eight studies investigated the meditator. (6) Most of study showed the results of the meditation effect to be positive (80%). On the basis of the above findings the following recommendations are made : (1) It's necessary to do a reliable and variable analysis of research trends on meditation. (2) There is a need to study the effects of meditation in order to clarify meditation application in counseling.

  • PDF

지방자치단체간 문화관광축제의 연계유형 평가 - '2001 세계도자기엑스포' 개최 관계자와 방문객의 인식조사를 중심으로 - (The Linkage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among Local Governments - A Case Study of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f Korea'-)

  • 강영애;조중현;김용근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0권5호
    • /
    • pp.55-65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linking and coordinating Cultural Tourism Festivals among local governments and to propose a plan for maximizing the effects of these festivals.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which took place from August 10th to October 28th was selected as a case study for the linkage plan of Cultural Tourism Festivals among local governm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a random sampling of visitors to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from 24 to 28 October, 2001. 369 samples from a total 375 respond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ntents of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the cognition and satisfaction about the effects of the festival linkage among local governments and the preference of festival linkage typ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ed that not only festival staff but also visitors recognized the necessity of linking festivals among regions. Both visitors and festival staff had a positive attitude about the effects of the linked festival. In addition, they highly rated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as a successful festival. Visitors were satisfied with the festival. Furthermore, the number of visitors was more than staff expected. The organizing committee and staff considered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as a successful festival. The successful evaluation of the 'World Ceramic Exposition 2001 Korea' was related to the successful linkage of the festival. This study originated in the increased necessity of linking cultural Tourism Festivals among local governments. Since it is a transcendental study, it is not only significant but also limited. However, in the near future, more varied case studies about the linkages of Festivals will be conducted and these will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test the effectiveness of the linkage plans through positive analysis. For the effective linking of festivals among regions, it is necessary to study the definition of factors that affect visitors satisfaction, and determine which methods will improve visitors satisfaction.

말기 암환자의 영성체험 (Live Spiritual Experiences of Patients with Terminal Cancer)

  • 박정숙;윤매옥
    •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
    • 제14권3호
    • /
    • pp.445-456
    • /
    • 2003
  • Purpose: This study attempted to propose the basic framework for spiritual nursing intervention by understanding live spiritual experiences of terminal cancer patients. The study duration was from July 2002 to January 2003, an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patients who were expected to live less than six months. The number of subjects was six and the average time of each interview was about an hour. Method: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method of phenomenological study analysis, which Colaizzi (1978) proposed. Result: Through live spiritual experiences. terminal cancer patients showed complex emotion about the Absolute, human, disease, and death: depended on the Absolute through recognizing death and spiritual acknowledgement: recollected the past life: accepted death believing salvation and immortality: recovered relationships with others through forgiving and reconciling with the Absolute and neighbors. Also, they pursued the meaning of pain. death, and life while feeling pain: demanded love and concern to the Absolute and neighbors: had a sense of futility about life and a hope for the future life: transcendental energy towards the world after death. Wishing to have a peaceful end to life. they felt peaceful and comfortable. Conclusion: Terminal cancer patients want to meet a peaceful end to life with a hope for the future and accept the meaning of death with peace and comfort minds(##-minds), which will allow them to carry on peaceful and satisfactory days for the rest of their lives. Thus, it is very important for caregivers to let them have spiritual experiences and care for them.

  • PDF

구곡원림의 원류, 중국 무이구곡(武夷九曲)의 텍스트성 -국내 전승(傳承) 과정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Textuality of China's Wuyi-Gugok, the Origin of Gugok-Wonlim -Focus on the Tradition Process to Korea -)

  • 노재현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36권6호
    • /
    • pp.66-80
    • /
    • 2009
  • 본 연구는 '무이도가(武夷櫂歌)'나 '무이구곡(武夷九曲)' 관련 문화현상이 어떠한 연유와 과정으로 조선시대에 수용되었으며 내재된 담론과 문화적 응집의 규칙성, 특히 국내에서 구곡문화의 반복과 모방을 통한 전승과정에서 나타난 특성은 무엇인가를 밝히기 위해 시도되었다. 문헌고찰 및 현장답사에 의한 경관 인식과 함께 드레슬러(Dressier)가 제시한 텍스트성의 7가지 기준을 근거로 '해석 및 논의 틀'을 구축하고 텍스트의 의존관계, 생산자와 수용자의 관계, 반복 및 모방 그리고 전파과정으로 나누어 '무이구곡'의 텍스트성을 해석하였다. 텍스트 파악 의도와 상황적 근거로 볼 때 주자의 무이도가 그리고 무이구곡 경영은 무이산지 등의 문헌과 그림을 통해 조선에 전파되면서 일종의 사회현상으로 국내에서도 산간 계곡의 뛰어난 지형경관에 구곡을 설정하며, 정사를 경영하는 등 문학적 원림경관적 반복과 모방사례가 헤아릴 수 없을 정도로 많이 생겨났다. 생산자의 의도 또는 용인에 관계없이 조선에 수용된 구곡문화는 수용자 계급이 지향한 도교문화적 상황과 유교의 경세제민(經世濟民)적 사대부 사고관에 편승하면서 새로운 문화로 정착하게 되었고 그 결과, 조선 구곡원림은 무이도가와 무이구곡에서 나타난 상자연(賞自然)의 미의식을 수용하면서 도교와 성리학적 사유방식과 결합되었다. 그러나 텍스트적 요인에 의한 의존 관계만을 살펴 볼 때, 국내에는 무이구곡과 같이 배를 타고 하상을 거슬러 올라갈만한 장소가 드문 관계로 하천 형태와 기능적 텍스트성으로서의 결속구조는 다소 이완된 채 도학적 사고나 풍류적 향유에 의존한 구곡문화가 텍스트성의 내적 구조를 지배한 것으로 보인다. '무이구곡'의 텍스트성을 지배하는 내적 요인은 "굽음의 미학, 물돌이", "영역성의 표현, 각자(刻字)", "의미경관의 성찰로 본 문화적 풍경", "기(奇)의 추구와 표상성" 그리고 "도교와 성리학적 토포스의 초월적 풍경"으로 해석되었다.

해인사 고려대장경 보각판(補刻板) 연구 -『대반야바라밀다경』 보각판을 중심으로- (Supplementary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at Haeinsa Temple: Focus on Supplementary Woodblocks of the Maha Prajnaparamita Sutra)

  • 신은제;박혜인
    • 미술자료
    • /
    • 제98권
    • /
    • pp.104-129
    • /
    • 2020
  • 해인사 소장 고려대장경판은 현전하는 유일한 완질의 한역 대장경판이다. 국보이자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된 고려대장경판은 총 81,352판으로 알려져 있다. 이 경판 가운데에는 동일 경판이 두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를 '중복판'이라 명명하기도 했다. 두 개 이상의 경판이 존재하게 된 원인은 후대 보각판(補刻版)이 제작되었기 때문이다. 현재까지 알려진 보각판은 총 118판으로 전체 경판의 0.14%에 불과하다. 따라서 고려대장경판은 기본적으로 원판이 현재까지 온전히 잘 보전되어 오고 있다. 그럼에도 보각판에 대한 연구는 고려대장경판의 보존과 관리의 역사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보각판은 인경 과정에서 마모되기도 했고 때때로 인경이 불가능할 정도의 손상이 있었기 때문에 제작된 것으로 판단된다. 보각은 크게 일제강점기와 조선 시기에 이루어졌다. 일제강점기 보각판의 특징에 대해서는 어느 정도 정리된 바 있으나 조선 시기 보각판의 특징과 제작 시기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다. 본 연구는 고려대장경판 보각판의 특징과 제작 시기를 분석하기 위해 작성되었다. 전체 대장경 가운데 보각이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진 경전은 『대반야바라밀다경』이다. 『대반야바라밀다경』의 보각판은 총 76판으로 전체 보각판 118판의 64.4%를 차지하므로 『대반야바라밀다경』의 인경본을 잘 분석하면 고려대장경판 보각의 추이와 그 시대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으리라 판단된다. 『대반야바라밀다경』 보각판 76판을 분석한 결과, 일제강점기인 1915년(12판)과 1937년(11판)에 보각한 23판을 제외하면 53판은 조선시대 보각판이다. 조선시대 보각은 세 시기에 걸쳐 이루어졌다. 첫 번째 시기는 무진년(1448년, 세종 30) 경으로 총 14판이 보각되었다. 이를 무진년 보각판이라 명명했다. 무진년 보각판은 상하 광곽 단면의 길이가 21cm 내외로 초각판보다 1cm가량 짧으며 광곽 외부에 음각으로 각수명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조맹부체로 제작된 경판이 있었으며, 옅은 계선이 확인되고, 판면부 바닥이 거칠게 마감되었다. 이 형식의 경판 가운데 '무진년경각해지(戊辰年更刻海志)'라는 각수명이 확인되었고 또 다른 각수 가운데 한 명인 성견(性見)이 1446년에 활동하였으므로 무진년은 1448년(세종 30)으로 편년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두 번째 시기는 1865년 인경 직후이다. 1865년 남호(南湖) 영기(永奇)와 해명(海冥) 장웅(壯雄)은 고려대장경 두 부를 인경하였는데 이때는 손상된 경판이 다수 확인되어 인경하지 못한 경우가 있었다. 이는 현재 전하는 월정사 인경본의 결락장에서 잘 확인된다. 이에 인경 직후 일부 경판의 보각이 실시된 것으로 생각된다. 1865년 보각판은 계선이 있으며 붉은 칠이 도포되어 있지 않고 발원자의 서원이 판각되어 있다. 그러나 1865년 보각판은 6판 8면에 불과해 당시 보각은 여러 사정에 의해 본격적으로 진행되지 못했다. 세 번째 시기는 1899년 인경 직전이다. 1899년 인경은 대한제국 황실의 후원 하에 이루어졌으며, 중앙에서 관리를 파견하여 체계적으로 실시되었다. 때문에 인경 전에 경판에 대한 조사가 실시되었고 손상으로 인경이 불가능한 경판의 보각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1899년 보각판은 붉은 칠이 도포되어 있으며 판수의 앞, 판미의 뒤에 한 행을 띄워 놓았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33판 56면이고, 전체 『대반야바라밀다경』 보각판 가운데 가장 많은 수를 차지한다. 1899년 판이 가장 다수를 차지한다는 사실은 1899년 즈음 고려대장경판에 대한 관리와 보수가 이루어졌음을 시사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