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nscatheter closure

검색결과 24건 처리시간 0.04초

3세 미만 심방중격결손 소아에서 Amplatzer 기구 폐쇄술의 안전성 및 효용성 (The efficacy and safety of transcatheter closure of atrial septal defect with Amplatzer septal occluder in young children less than 3 years of age)

  • 이수현;최덕영;김남균;최재영;설준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4호
    • /
    • pp.494-498
    • /
    • 2009
  • 목 적 : 심방중격결손의 기구 폐쇄술은 현재 소아 영역에서 수술을 대체할 치료법으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나 수술과 비교하였을 때 적절한 시행 시기는 명확하지 않다. 본 연구에서는 3세 미만의 심방중격결손 소아에서 기구 폐쇄술의 안전성, 효용성 및 임상 결과를 평가하여 시술을 시행하기에 적절한 시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5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에서 Amplatzer septal occluder(ASO)를 이용한 심방중격결손의 기구 폐쇄술을 시행 받은 환자 295명 중 3세 미만 소아 5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시술 소요 시간, 투시 검사 시간, 폐쇄 성공률, 잔류 단락율, 합병증의 종류 및 발생 빈도를 조사하였고, 기구 장착 전후의 체폐순환비, 폐동맥압, 우심실압을 측정하였으며 시술 후 1일, 1개월, 6개월, 12개월 및 이후 1년 간격으로 경흉부 심초음파를 시행하여 추적 관찰하였다. 결 과 : 대상 환자의 75% (38/51)가 여자였으며, 시술 당시 연령은 $2.0{\pm}0.6$세, 체중은 $11.8{\pm}1.7$ kg, 심방 중격 결손의 크기는 $16.6{\pm}3.6$ mm, 이들의 체폐순환비는 $2.4{\pm}0.9$이었고, 기구 폐쇄술 시행 후 추적 관찰 기간은 $19.8{\pm}6.4$개월이었다. 시술의 폐쇄성공률은 98% (50/51), 소요 시간은 $87.7{\pm}23.6$분, 방사선 투시 시간은 $31.8{\pm}14.7$분이었으며 잔류 단락은 시술 후 24시간 뒤 51명중 7명(15%)에서 관찰되었으나, 최종 추적 관찰 시에는 모두 폐쇄되었다. 폐쇄술 시행 전과 시행 직후의 체폐순환비는 $2.4{\pm}0.9$에서 $1.4{\pm}0.3$ (P<0.001)으로, 주폐동맥압은 $28.4{\pm}6.4$ mmHg에서 $25.5{\pm}5.6$ mmHg (P=0.04)로, 우심실압은 $41.3{\pm}11.8$ mmHg에서 $32.6{\pm}7.9$ mmHg (P<0.001)로 감소하였다. 대상 환자 중 2명에서 시술과 관련한 합병증이 있었으며 기구 이탈과 관련한 우심방 색전증 1예, 서혜부에 발생한 혈종 1예가 관찰되었다. 결 론 : 심방중격결손 소아에서 ASO를 이용한 경피적 심방중격결손 폐쇄술은 3세 미만의 작은 소아에서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시행할 수 있으며 더 성장하기까지 시술을 연기할 필요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작은 영아에서의 효용성과 안전성에 대해서는 더 광범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심방 중격 결손의 경피적 폐쇄술 후 발생한 합병증에 관한 연구 (Complications of transcatheter closure of atrial septal defects using the amplatzer septal occluder)

  • 제서진;권효진;장기영;이재영;김수진;손창성;이주원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1권4호
    • /
    • pp.401-408
    • /
    • 2008
  • 목 적 : 이차공 심방 중격 결손의 경피적 폐쇄술은 수술을 대체할 수 있어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로서 자리를 잡아가고 있으나, 드물게 합병증의 발생이 보고되고 있어, Amplatzer septal occluder를 이용한 심방 중격 결손의 경피적 폐쇄술 후 발생한 초․중기 합병증 및 그 대책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6월부터 2006년 5월까지 부천세종병원과 고려대학교 의료원에서 이차공 심방 중격 결손을 진단 받은 6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남녀 비는 1:2.4였고, 시술 당시 나이는 2.6에서 64세(중앙값 : 17세), 시술 당시 체중은 13 kg에서 100 kg (중앙값 : 47.5 kg)이었다. 결 과 : 경흉부 또는 경식도 심장 초음파 검사상 결손의 크기는 6 mm에서 28 mm (중앙값 : 15 mm), 풍선 확장 시 결손의 크기는 6.5 mm에서 34 mm (중앙값 : 18 mm)이었고, 사용한 Amplatzer septal occluder의 크기는 6 mm에서 36 mm (중앙값 : 19.5 mm)로 풍선 확장 시 결손의 크기와 같거나 1-2 mm 큰 크기의 기구가 사용되었다. 시술 후 발생한 합병증으로는 부정맥(2례), 기구 변형(2례), 대동맥 우심방 간 누공 형성 및 용혈성 빈혈(1례), 승모판 잠식(1례), 기구 위치 이상(1례), 잔류 단락(1례), 하대 정맥 천공(1례) 등이 있었다. 결 론 : ASO를 이용한 심방 중격 결손의 경피적 폐쇄술은 안전성이나 효과, 기술적인 면에서 수술을 대체할 수 있는 효율적인 치료로 생각된다. 그러나 드물게 발생하는 기구 이탈이나 부정맥, 심장막 삼출, 누공 형성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시술 전 주의 깊게 대상 환자를 선정하고, 심방 중격 결손의 정확한 해부학적 이해와 기구 선택이 필요하며 시술 후 추적 관찰을 통해 합병증의 조기 발견 및 예방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2 mm 흉강경을 이용한 동맥관 개존증 폐쇄술 -1례보고- (PDA Clipping by Using 2mm Thoracoscope)

  • 문승철;양진영;구원모;이건;이헌재;임창영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3권1호
    • /
    • pp.85-87
    • /
    • 2000
  • Patent ductus arteriosus(PDA) is a common congenital heart disease encountered in premature neonates infants and children. Patent ductus arteriosus was the first surgically managed congenital heart disease,. Classic surgical interruption of patent ducturs arteriosus was partially replaced by a transcatheter endovascular closure, After a 5-7 mm video-assisted thoracoscopic interruption of the patent ductus arteriosus first applied in 1991, this minimally invasive technique came to be used in many centers, Video-assisted thoracoscopic interruption of the patent ductus arteriosus is feasible in low-weight infants whereas transcatheter endovascular closure of the ductus is usually not possible. We experienced successful outcome for the treatment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2 mm video-assisted thoracoscopic titanium clipping, We believed that this technique is a simple safe and rapid method for closure of the patent arteriosus.

  • PDF

개에서 Amplatzer$^{(R)}$ vascular plug를 이용한 동맥관개존증의 폐쇄 2 증례 (Transcatheter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a Amplatzer$^{(R)}$ Vascular Plug in Two Dogs)

  • 강민희;김정현;문소정;김승곤;여정진;이창민;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6호
    • /
    • pp.591-594
    • /
    • 2011
  • 9개월령의 암컷 말티즈견과 1년령의 암컷 비글견이 지속성 심잡음을 주증으로 내원 하였다. 두 환축은 2차원 심초음파 및 심혈관조영술을 통해 동맥관개존증 (PDA)으로 진단되었다. 평가된 환축들의 동맥관 사이즈는 비교적 큰 편이었으며, 혈관 폐색장치 중 Amplatzer$^{(R)}$ vascular plug를 통한 동맥관의 폐쇄술이 시도 되었다. 말티즈 견의 경우, Amplatzer$^{(R)}$ vascular plug를 이용하여 동맥관의 완전폐쇄가 이루어 졌으며, 폐쇄직후 지속성 심잡음이 사라졌다. 비글견의 경우, Amplatzer$^{(R)}$ vascular plug 삽입 후 심잡음이 줄어들긴 했지만, 심혈관 조영검사에서 잔류혈류가 관찰되었다. 시술의 안전성 및 시술 후 합병증은 두 환자 모두에서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되었다. 본 2 증례는, Amplatzer$^{(R)}$ vascular plug를 이용한 성공적인 동맥관개존증 폐쇄술에 대한 국내 첫 증례보고이다.

개에서 Coil색전술을 이용한 동맥관개존중의 폐쇄 증례 (Transcatheter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a Coil Embolization in a Dog)

  • 강민희;김정현;문소정;김승곤;여정진;이창민;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8권2호
    • /
    • pp.236-239
    • /
    • 2011
  • 10년령의 암컷 말티즈견이 지속성 심잡음을 주증으로 내원 하였다. 환축은 2차원 색채 도플러 심초음파 및 컴퓨터 단층촬영을 통해 동맥관개존증 (PDA)으로 진단되었다. 심혈관조영술을 통해 동맥관의 형태 및 크기에 대해 정확히 평가한 뒤, 동맥관 폐쇄를 위해 경도관 coil 색전술이 실시 되었다. 환자는 단일 coil을 이용하여 동맥관의 완전폐쇄가 이루어 졌으며, 폐쇄직후 지속성 심잡음이 사라지고 잔류혈류가 관찰되지 않았다. 시술 후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임상증상, 심장검사 그리고 혈청 troponin-T 농도의 정기적인 평가를 통하여 환자의 상태를 관찰 하였는데, 변화가 없었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의 경우 coil색전술을 이용한 성공적인 동맥관개존증 폐쇄술에 대한 국내 첫 증례보고이다.

경피적 카테타 심방중격결손 폐쇄술 후 발생한 상행 대동맥-우심방루 (Fistula of Ascending Aorta and Right Atrium Following Percutaneous Transcatheter Atrial Septal Defect Closure)

  • 임홍국;서홍주;김종한;김준석;이창하
    • Journal of Chest Surgery
    • /
    • 제39권2호
    • /
    • pp.150-153
    • /
    • 2006
  • 심방 중격 결손에 대한 경피적 카테타 폐쇄술은 적절한 환자에서 치료적 대안으로 이용되며, 미용적으로 우수하고, 덜 침습적이며, 재원 기간이 짧으나, 응급 수술이 요구되는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저자들은 Amplatzer septal occluder에 의한 심방 중격 결손의 경피적 카테터 폐쇄술 시행 후 발생한 대동맥-우심방루를 경험하였다. 시술 2개월 후에 호흡곤란, 심계항진과 용혈에 의한 황달로 발견되어, 대동맥의 무관상동맥동과 우심방 사이의 누공을 일차 봉합하고, 심방 중격 결손은 팻취로 봉합하는 응급수술을 시행하였다. 이 합병증은 우심방 원반(disk)이 대동맥으로 침식(erosion)하여 발생하였다.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에서 최근의 기구들의 전략적 이용과 결과 (A new strategy for transcatheter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recent-generation devices)

  • 김상이;이수현;김남균;최재영;설준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2권4호
    • /
    • pp.488-493
    • /
    • 2009
  • 목 적 :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은 동맥관 개존증의 표준 치료로 시행되고 있다. 저자들은 동맥관의 최소 직경(MD)과 체혈류와 폐혈류의 비(Qp/Qs ratio)를 기준으로 하여 선택한 각각의 기구들로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 시행한 후 추적 관찰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새로운 기구 선택 기준의 효용성과 안전성을 알아보았다. 방 법 : 2003년 2월부터 2006년 1월까지 본원에서 동맥관 개존증을 진단받고 동맥관의 크기 및 Qp/Qs 비에 따라 CDC, PNO, ADO를 선택하여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을 시행받은 138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그리고 2000년 2월부터 2003년 1월까지 본원에서 DO, PNO로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을 시행받은 89명의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설정하였다. 시술 전 환자의 임상적, 혈역학적 지표들을 확인하였고 시술 후 1일, 1개월, 6개월, 12개월, 그리고 12개월 이후 잔류 단락 유무 및 합병증을 평가, 비교하였다. 결 과 : 대상군 138명 모두에서 시술에 성공하였고 기구 색전도 없었으며 시술 후 12개월 이후 잔류 단락이 남아있지 않았다. 주요 합병증의 빈도는 대상군 138명 중 0명(0%), 대조군 89명 중 7명(7.9%)이었고(P<0.05) 전체 합병증의 빈도도 대상군 138명 중 2명(1.4%), 대조군 89명 중 8명(9.0%)으로(P=0.001) 대상군에서 대조군에 비하여 의미 있게 합병증의 빈도가 낮았다. 결 론 : 과거에 경피적 폐쇄가 어려웠던 큰 크기의 동맥관 개존에 ADO를 사용하게 되고 이전 기구들의 단점들이 개선된 최근 기구들을 각각의 특성에 적합하게 전략적으로 선택하여 시술함으로써 경피적 동맥관 폐쇄술의 결과가 향상되었고 더욱 안전하고 완전한 효과를 나타내게 되었다.

경피적 심방중격결손 폐쇄술 시 경흉부 및 경식도 초음파 검사 상의 결손의 크기와 풍선 폐쇄 직경과의 관계 (Comparison of defect size measured by transthoracic and transesophageal echocardiography with balloon occlusive diameter measured during transcatheter closure of atrial septal defect)

  • 허경;김정은;김유리아;권해식;유병원;최재영;설준희
    • Clinical and Experimental Pediatrics
    • /
    • 제50권10호
    • /
    • pp.970-975
    • /
    • 2007
  • 목 적 : 본 연구는 경피적 심방중격결손 폐쇄술 시 TTE 및 TEE를 이용하여 측정한 결손의 크기와 BOD과의 차이를 분석하고 이에 영향을 줄 수 있는 혈역학적 및 해부학적인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 법 : 2003년 5월부터 2004년 6월까지 본원에서 연세대학교 심장혈관병원 소아심장과에서 이차공 심방중격결손 진단 하에 경피적폐쇄술을 시행받은 78명의 환자(남자 20명, 여자 58명, 평균연령 $18{\pm}17.4$세)를 대상으로 하였다. 각 환자에서 TTE와 TEE를 시행하여 결손의 크기 및 주변구조들(대동맥, 상대정맥, 하대정맥, 승모판연, 심방후벽)과의 거리를 측정하였고 시술 시 TEE 유도 하에 BOD를 측정하여 상관 관계와 관련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 과 : BOD와 TTE로 측정한 직경의 차이는 흉골연 단축상에서 $4.8{\pm}3.6mm$, 흉골하 장축상에서는 $5.4{\pm}3.2mm$였고 BOD와 TEE상 직경과의 차이는 단축상에서 $3.6{\pm}2.2mm$, 장축상에서 $4.2{\pm}3.1mm$였다. 선형회귀분석을 통한 BOD와 TTE상 직경의 회귀방정식은 흉골연 단축상에서 Y=1.12X+3.86(R2=0.82, P< 0.01), 흉골하 장축상 (또는 심첨 4방상)에서 Y=1.01X+5.32(R2= 0.83, P<0.01)(Fig. 4), BOD와 TEE상 직경의 회귀방정식은 단축상에서 Y=1.02X+3.88(R2=0.89, P<0.01), 장축상에서 Y=1.05X+3.60(R2=0.83, P<0.01)였다. BOD와 TTE 및 TEE 상의 결손의 직경의 차이는 환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결손과 심방 후벽까지의 길이가 길수록, 승모판연까지의 거리가 길수록, TTE상 결손의 직경 및 심방중격의 길이가 길수록 통계학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P<0.05). 결 론 : 심방중격결손의 BOD는 TTE 및 TEE상의 직경의 크기로 어느 정도 예측이 가능하며 심초음파상 결손의 크기 및 주변 구조들과의 거리와 결손의 위치에 따라 BOD가 더 크게 측정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어 경피적 기구 폐쇄가 가능한 환자의 선정, 시술에 따른 어려움의 예측과 시술 시 적정성의 판단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Closure of patent ductus arteriosus with a vascular plug in a German Shepherd dog

  • Han-Joon Lee;Taehyung Kwon;Gyeonggook Park;Dong-Kwan Lee;Joong-Hyun Song;Kun-Ho Song
    • 한국동물위생학회지
    • /
    • 제47권1호
    • /
    • pp.55-59
    • /
    • 2024
  • A 4-year-old, spayed female German Shepherd dog (GSD) weighing 22.4 kg was referred to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Veterinary Medicine Teaching Hospital with the chief complaint of a cardiac murmur. A continuous murmur was detected at the left basilar region upon auscultation. In the thoracic radiographs, slight bulging of the aorta, the main pulmonary artery, and the left atrium were observed. Echocardiography revealed continuous turbulent flow directed from the main pulmonary artery towards the pulmonary valve and consistently within the main pulmonary artery. Based on all the results, a diagnosis of type II A patent ductus arteriosus (PDA) was made, and plans were established to treat it with transcatheter occlusion. Transcatheter occlusion was performed using a vascular plug and successfully deployed at the PDA. The patient did not exhibit any complications. GSDs are relatively less common compared to small-breed dogs in South Korea. Considering that GSDs are predisposed to PDA, it is crucial to periodically assess the presence of PDA through auscultation and echocardiography, even in the absence of clinical signs. Transcatheter occlusion using a vascular plug can be an option for treatment and can yield favorable outcomes.

개에서 $Amplatz^{(R)}$ Canine Duct Occluder를 이용한 동맥관개존증의 폐쇄 증례 (Patent Ductus Arteriosus Occlusion with an $Amplatz^{(R)}$ Canine Duct Occluder in a Dog)

  • 강민희;김승곤;한태연;박현아;민사희;박지환;김태우;박희명
    • 한국임상수의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498-501
    • /
    • 2012
  • 10개월의 수컷 말티즈견 (1.6 kg)이 간헐적인 기침과 지속성 심잡음을 주증으로 내원 하였다. 환축은 경흉부심초음파 검사와 혈관 조영검사를 통하여 좌우단락의 동맥관개존증 (PDA)으로 진단되었다. 혈관조영 검사를 통하여 동맥관의 형태 및 크기에 대해 평가한 뒤, 대퇴동맥으로 $Amplatz^{(R)}$ Canine Duct Occluder (ACDO) 장치를 삽입하는 투시 유도하 동맥관 폐쇄술이 시도되었다. 동맥관의 폐쇄직후 지속성 심잡음이 사라졌으며, 시술 후 실시된 혈관조영검사를 통하여 잔류혈류가 관찰되지 않았다. 투시 유도하에서 ACDO 장착 및 성공적인 동맥관의 완전폐쇄가 확인되었다. 환자는 시술 1일 뒤 퇴원하였으며, 임상증상 관찰 및 심장검사가 정기적으로 이루어 졌다. 시술 후 합병증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증례의 경우 대퇴동맥내로 ACDO를 적용한 성공적인 동맥관개존증 폐쇄술에 대한 국내 첫 증례보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