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k-food

검색결과 3,059건 처리시간 0.036초

Nutritional value and the kaempferol and quercetin contents of quinoa (Chenopodium quinoa Willd.) from different regions

  • Lee, Min-Jung;Sim, Ki Hyeon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50권6호
    • /
    • pp.680-687
    • /
    • 2018
  • This study compared the nutritional value of quinoa cultivated in different regions, i.e., Peru (PQ), United States (UQ), and Korea (KQ), focusing on their proximate and nutrient compositions and functional components. Moisture, protein, lipid, and ash contents were highest in KQ, and the carbohydrate content was the highest in UQ. KQ had the highest amount of total amino acids, especially lysine. KQ had the lowest levels of Na but the highest levels of K, P, Fe, Mg, Zn, and Mn. The antioxidant compounds, quercetin and kaempferol were not detected in KQ, which consequently had the lowest total phenolic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TPC and TFC, respectively). These values were comparatively higher in UQ. Meanwhile, PQ had the highest TPC and TFC values as well as kaempferol content, but lacking quercetin. These results demonstrate that the nutritional value of quinoa varies according to the region in which it is cultivated.

Anti-tumor Promoting Activity of Some Malaysian Traditional Vegetables (Ulam)

  • Mooi, L. Yang;Ali, A.M.;Norhanom, A.B.;Salleh, K. Mat;Murakami, A.;Koshimizu, K.
    • Natural Product Sciences
    • /
    • 제5권1호
    • /
    • pp.33-38
    • /
    • 1999
  • Ethanolic extracts of different parts of 10 local traditional vegetables (ulam) (Amaranthus gangeticus, Jussiaea linifolia, Eugenia polyantha, Trapa incisa, Trichosanthes anquina, Mangifera indica, Pachyrrhirus erosus, Barringtonia mcarostachya, Carica papaya, and Coleus tuberosus) were screened for in vitro antitumor promoting activity using the inhibition test of Epstein-Barr virus (EBV) activation in Raji cells induced by phorbol 12-myristate 13-acetate and sodium-n-butyrate. All the extracts were found to have strong inhibition activity toward EBV-activation, except for leaf extract of T. anquina. The extracts were non-cytotoxic to the Raji cells except for the extracts of A. gangeticus (leaves), B. macrostachya (leaves), E. polyantha (young leaves), and J. linifolia (leaves) where the viability of the cell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 PDF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Enzymatic Hydrolyzates of Hot Water Extract from the Shell of Reeve's Turtle (Chinemys reevesii)

  • Je, Jae-Young;Kim, Eun-Kyung;Park, Pyo-Jam;Kang, Mi-Kyung;Ahn, Chang-Bum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11권2호
    • /
    • pp.71-75
    • /
    • 2008
  • The shell of Reeve's turtle has been used as a traditional folk medicine in Korea. We produced a hot water extract from Reeve's turtle shell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medical practice. To release bioactive peptides, the hot water extract was enzymatically hydrolyzed with various proteases, and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hydrolysate was investigated against 1,1-diphenyl-2-picryl-hydrazyl (DPPH), hydroxyl and peroxyl radicals. The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the enzymatic hydrolysates varied from 1 to 79% depending on the enzymes, free radical species, and concentration. The $EC_{50}$ values demonstrated that the enzymatic hydrolysates of hot water extract from the shell of Reeve's turtle are potential antioxidants.

전통 민속주의 생리기능성 탐색 (Characterization of Physiological Functionalities in Korean Traditional Liquors)

  • 김재호;이대형;최신양;이종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4권1호
    • /
    • pp.118-122
    • /
    • 2002
  • 전통 민속주의 이화학적 특성과 생리 기능성을 조사하였다. 이들의 조단백질 함량은 $0.15{\sim}10.97%$이었고 pH는 $3.5{\sim}5.0$이었으며 경기도 YA 민속주가 약 14%의 당을 함유하고 있었다. 또한 ACE 저해 활성은 전라도 SO-주가 87.2%로 가장 높았고 혈전 용해활성은 경기도 HO-주가 가장 높았다. 전자공여능과 SOD 유사활성은 각각 충청도 SA-주 85.5%와 경기도 OK-주 70.7%이었으며 tyrosinase 저해 활성은 경상도 KO-주와 전라도 TO-주 및 경기도 CH-주에서 높았으며 아질산염 소거활성은 전라도 TO-주에서 높았다.

Comparison of Riboflavin Status between Traditional Farming Women and Commercial Farming Women in Korea

  • Lim, Hwa-Jae;Yoon, Jin-Sook
    •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
    • 제2권5호
    • /
    • pp.701-710
    • /
    • 1997
  • this study was undertaken to compare the riboflavin status of rural women with different physical activity intensity and to determine factors influencing biochemical fiboflavin status. The study was carried out over three different farming seasons : planting (June), harvest(October) and interim(February) in two rural regions of Korea. One was a traditional farming region, the other a commercial farming region with heavier work intensity. Twenty women in the traditional region and eighteen women in the commercial region were involved. The intensity of physical activity was determined by a daily activity record. Body composition was assessed by bioelectrical impedence. Dietary riboflavin intake was measured by the food frequency method. Riboflavin biochemical status was assessed by erythrocyte glutathione reductase activity coefficient (EGR AC) and ruinary riboflavin excretion. The results from the EGR AC and urinary riboflavin excretion during the period showed the overall riboflavin status of the commercial farming women was significantly worse than that of the traditional farming women(EGR AC p<0.0001, urinary riboflavin excretion p<0.05). The traditional farming group had about 40% with risk of riboflavin deficiency, whereas the commercial farming group had about 70%. Overall mean nutrient intake wa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however, overall mean percent lean body mass representing long term physical activity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ommercial farming group ( <0.005). It appears that the biochemical riboflavin status of traditional farming wome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riboflavin intake and crude nitrogen balance while the biochemical riboflavin status of the commercial farming women wa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riboflavin intake and percent of lean body mass over the three seasons.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2(5) : 701∼710, 1997)

  • PDF

저장 기간에 따른 사과의 품질특성과 항산화 활성 변화 (Changes in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Apples during Storage)

  • 진소연;심기현;이은지;구혜진;김명현;한영실;박정수;김용훈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27권6호
    • /
    • pp.999-1005
    • /
    • 2014
  • $20^{\circ}C$에서 15일 동안 저장기간별 사과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사과의 중량과 수분은 저장기간 경과에 따라 점차적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보였으며, 사과의 저장 중 가용성 고형물 함량은 저장 4일차까지 최고치로 증가하였다가 서서히 낮아지는 경향을 나타냈다. 사과의 저장 중 유기산 산도는 저장 5일차에 급격히 감소하다가 완만히 감소하였으며, pH는 저장기간에 따라 완만히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저장 중 사과 껍질의 색상을 측정한 결과, L값은 저장기간에 따라 서서히 증가하였으며, a값은 저장 3일까지 감소하였고, 저장 5일에 증가되었다가 그 이후 점진적으로 감소하였다. b값은 저장 6일에 최저치를 보인 후 서서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과의 조직감을 측정한 결과, 저장기간이 증가됨에 따라 사과의 경도는 전반적으로 감소하였다. 저장 기간에 따른 사과의 총 페놀과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총 페놀 함량은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저장 3일차에서 저장 4일차에 큰 폭 감소하였다. 총 플라보노이드의 변화 결과, 1일차에 비교적 크게 감소하였고, 실험 7일차에서 8일차 사이에 급격히 감소하였다. 저장 기간에 따른 사과의 DPPH 전자공여능 측정결과, 저장기간이 증가할수록 DPPH 전자공여능은 감소하였으며, Vit. C 함량의 경우 저장 기간이 길어질수록 감소하였는데, 특히 저장 4일차에 비교적 크게 감소하였다. 사과의 관능평가 수행 결과, 저장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외관의 좋은 정도는 0일차에 6.75에서 15일차 2.83으로 크게 감소하였으며, 신맛의 좋은 정도는 저장 기간에 따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전반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단맛의 좋은 정도와 아삭함의 좋은 정도에서는 0일차에 각 6.25, 5.33으로 가장 높았으며, 15일차에 각 3.92, 2.83으로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종합적인 기호도에서는 7일차와 8일차 사이에 5.00에서 3.50으로 비교적 큰 폭 감소하였으며, 15일차에 2.00으로 저장 기간에 지남에 따라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이상의 실험결과, 사과 저장 시 3~4일차에 유의적인 차이를 보였으며, 저장 8일 이후에는 모든 항목에 있어 측정감이 크게 변화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0{\sim}1^{\circ}C$에서 장기 저장한 사과를 $20^{\circ}C$ 전후에서 저장 및 판매할 경우, 최고의 품질을 위해서는 3일 내에 판매할 것을 권장하며, 8일 이내에 재고를 소진할 수 있도록 유통 기간을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사료된다.

누룩추출물로 제조한 약주의 품질특성 (Quality Characteristics of Yakju with Nuruk Extracts)

  • 강지은;최한석;김재운;김찬우;여수환;정석태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48권3호
    • /
    • pp.223-230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약주의 이취와 갈변 원인물질을 알아보기 위해 제균한 누룩추출물을 첨가하여 약주를 제조하고 특성을 확인하였다. 알코올 함량은 재래누룩에서 16.33%, 개량누룩에서 18.67%로 개량누룩에서 1.1배 높게 나타났다. 산도(mL/10 mL)는 재래누룩 5.07, 개량누룩 8.32, 아미노산도 함량(mL/10 mL)도 각각 1.61, 4.72로 개량누룩이 약 2.9배 증가하였다. 당화력에 크게 영향을 미치는 글루코아밀레이스는 재래누룩에 비해 개량누룩이 3.2-44.0배 높은 활성을 보였고, 가용 고형물(r =0.965)과 색차(r =0.954)와 매우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유기산은 숙신산과 젖산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유리 질소화합물 함량(mg/L)은 재래누룩 540.0, 개량누룩 2285.9로 개량누룩에서 4.2배 높게 나타났다. 각 누룩추출물 약주의 이취 및 갈변은 유리질소화합물(r =0.539, 0.792)과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Flavor Components Comparison between the Neck Meat of Donkey, Swine, Bovine, and Sheep

  • Li, Xiu;Amadou, Issoufou;Zhou, Guang-Yun;Qian, Li-Yan;Zhang, Jian-Ling;Wang, Dong-Liang;Cheng, Xiang-Rong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0권4호
    • /
    • pp.527-540
    • /
    • 2020
  • Donkey in China is well known for its draft purpose and transportation; however, donkey meat has attracted more and more consumers in recent years, yet it lacks sufficient information on its flavor components compared to other main meats. Therefore, in this study, volatile flavor compounds in neck meat of donkey, swine, bovine, and sheep were classified by electronic nose, then confirmed and quantified by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and gas chromatography were used to quantify free fatty acid, amino acid, and flavor nucleotide. A total of 73 volatile compounds were identified, and aldehydes were identified as the characteristic flavor compounds in neck meat of donkey, bovine, swine and sheep in proportion of 76.39%, 46.62%, 31.64%, and 35.83%, respectively. Particularly, hexanal was the most abundant volatile flavor. Compared with other neck meat, much higher unsaturated free fatty acids were present in donkeys. Furthermore, neck meat of donkeys showed essential amino acid with highest content. Thus, special flavor and nutrition in donkey neck meat make it probably a candidate for consumers in other regions besides Asia.

미생물 급원을 달리한 숙성 된장의 질소성분과 아미노산 조성 (Compositions of Nitrogen Compound and Amino Acid in Soybean Paste(Doenjang) Prepared with Different Microbial Sources)

  • 박정숙;이명렬;김정수;이택수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6권5호
    • /
    • pp.609-615
    • /
    • 1994
  • Aspergillus oryzae, Bacillus natto균주와 재래식 메주를 사용하여 담금한 재래식 된장, 고오지 된장, 나토 된장, 고오지와 나토의 혼용된장의 질소성분과 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미노산성 질소는 숙성 90일에 $271{\sim}868\;mg/100g$으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시험된 장별 함량은 고오지 된장, 재래식 된장, 고오지-나토 된장, 나토 된장의 순으로 높았다. 총 아미산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가 양적으로 많았고 함량은 고오지 된장에서 높았으나 시험 된장간의 함량 차이는 크지 않았다. 유리 아미노산은 시험된장에 따라서 다소 차이는 있지만 Glutamic acid, Tyrosine, lysine Aspartic acid 등이 비교적 많이 검출 되었다. 90일 유리 아미노산 총량은 고오지 된장이 3,339.5 mg/100g로 가장 높았고, 다음이 재래식 된장, 고오지-나토 된장, 나토 된장의 순이었다. 총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 아미노산의 비율은 45일에는 $3.3{\sim}19.8%$였으나 90일에는 $10.98{\sim}25.1%$로 증가 되었고 90일의 총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 아미노산의 비율은 재래식 된장, 고오지 된장 고오지-나토 된장, 나토 된장의 순으로 높았다. Methionine, Histidine 등은 총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 아미노산의 비율이 높으나 Glutamic acid, Aspartic acid 등은 낮았다. 본 실험의 결과로 볼 때 유리 아미노산 및 총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 아미노산의 비율이 높은 재래식이나 고오지 된장이 된장 숙성에 유리한 것으로 생각된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