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cultural content

검색결과 184건 처리시간 0.026초

드라마 "대장금"의 한의학 콘텐츠 요소 및 만족도 평가 (Evaluation of a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ontent Factor and Satisfaction with the Drama "Daejanggeum")

  • 김송이;김호선;남민호;리위에쮜엔;쩡홍치앙;박히준;이혜정;채윤병
    • Journal of Acupuncture Research
    • /
    • 제27권1호
    • /
    • pp.11-20
    • /
    • 2010
  • Objectives : The study was performed to evaluate a traditional Korean Medicine content in drama "Daejanggeum". Methods : One hundred sixty-nine participants in Taiwan responded to the survey with 10 items, regarding components of success of drama "Daejanggeum". Principal component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identify the possible factors to satisfaction with watching drama "Daejanggeum". Results :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dramatic factor(44.8%), content factor(12.3%), and cultural factor(11.3%)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success of drama "Daejanggeum".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dramatic factor(beta = .342), content factor(beta = .278), and cultural factor(beta = .131) were associated with the satisfaction with watching drama "Daejanggeum"($R^2$ = .394, with F = 32.280, p<.001). Conclusions :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dramatic factor, content factor, and cultural factor a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associated with satisfaction with drama "Daejanggeum" in Taiwan. These findings suggest that a traditional Korean Medicine as a content factor would be very influential in enhancing the possibility of success of drama.

생활문화콘텐츠의 OSMU형 프로그램 개발 연구 - 김치문화를 중심으로 한 사례 연구 - (A Study on OSMU Type Program Development of Life Cultural Content - A Case Study Focusing on Kimchi Culture -)

  • 최은옥;유명의
    • 한국콘텐츠학회:학술대회논문집
    • /
    • 한국콘텐츠학회 2008년도 춘계 종합학술대회 논문집
    • /
    • pp.170-175
    • /
    • 2008
  • 김치는 우리 고유의 식문화이고, 한국인의 정서와 문화를 반영하고 있는 대표적인 한국문화원형 중 하나이다. 그리고 그 효능이 입증되면서 세계인이 주목하고 있는 식문화이다. 성공한 문화콘텐츠의 요건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 창의적인 창작소재라 할 수 있다. 김치는 인류가 공유하고 있는 식문화인 보편성과 우리의 민족적 역사적 산물로서 개별성을 지니고 있는 생활문화콘텐츠이다. 김치와 관련된 정신적, 물질적 등 풍부한 문화 요소들은 김치가 세계에서 경쟁하고 성공할 수 있는 콘텐츠 소재의 바탕이 된다. 김치의 풍부한 문화요소들을 기반으로 다양한 문화산업 분야에서 활용할 수 있는 김치문화콘텐츠들을 개발하였고, 그 사례를 기준으로 생활문화원형의 OSMU형 문화 콘텐츠 개발 프로세스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문화원형 중 생활문화의 문화.콘텐츠로서 개발 가능성을 보여주고, 한국생활문화원형의 문화 콘텐츠 개발 프로세스 체계를 구축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 PDF

전통마을의 문화지속성 평가 -경북 영천 선원리를 대상으로- (An Evaluation on the Cultural Sustainability of the Korean Traditional Village -The Case of Sonwon-ri Village in Youngchon-)

  • 고석철;장병관
    • 한국조경학회지
    • /
    • 제29권6호
    • /
    • pp.1-10
    • /
    • 2002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a model of cultural sustainability in the traditional village. Cultural sustainability is being advanced by promoting the viability of traditional arts and the unique regional features of traditional culture, such as folklore, traditional landscapes, buildings and other environments of outstanding historical value. These cultural resources were also created or occurred at specific geographic locations at certain points in time by different individuals. The content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model using indicators for cultural sustainability, and to apply and evaluate the model. In older to evaluate the model, Sonwon-ri village in Yongchon, located in Kyungsangbuk-do, was selected as the case study area.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Sonwon-ri village has maintained the vernacular landscape except at the entrance of village. Also, the village people have pride and have adapted to the natural environment. 2) Sonwon-ri village has a self-sustaining system and circular network within its environmental capacity. Sonwon-ri village has many historical sites and buildings such as important folk resources, cultural assets, traditional houses and pavilions. 3) The people how the theory of fens-shui which interprets the location of village in relationship to a crane mountain with the village situated as a crane head. These symbolic and cultural elements have an important role in establishing the boundary of the village. From the research it can be seen that Sonwon-ri village kept many cultural sustainability indicators in terms of active factors, physical factors and psychological factors. By analysing the participation of different scientific disciplines and identifying disciplinary categories,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understanding how cultural sustainability is subjected to research in the field of landscape planning and design.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Indian fashion designs using traditional handicraft - Focusing on Sabyasachi Mukherjee, Manish Malhotra, and Ritu Kumar -

  • Maurya Anudhairya Ramnath;Se Jin Kim
    • 복식문화연구
    • /
    • 제32권2호
    • /
    • pp.299-320
    • /
    • 2024
  • Traditional culture contributes to the diversification of modern fashion design and the inheritance of local cultural identity.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andicrafts reflected in modern fashion design in India. For this purpose, it focused on Sabyasachi Mukherjee, Manish Malhotra, and Ritu Kumar, who are currently leading the Indian fashion design field. The methodology involved conducting literature research and analyzing case studies. In the literature, the techniques of Indian traditional crafts such as embroidery, dyeing, and weaving were examined and five design elements of traditional crafts were defined. Through content analysis of 30 images from the three designers' Instagram accounts, the design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handicrafts expressed in contemporary Indian fashion design were derived: cultural inheritance using traditional Indian clothing items, traditional materials and practices applied to contemporary clothing, craftsmanship that artistically improves complex details using embroidery techniques, various combinations based on the traditional meaning of colors, and narrative expression using patterns containing India's cultural identity. Incorporating these traditional handicrafts into fashion design, closely linked to everyday life, aids in conveying and enhancing their significance. The cases demonstrate the successful integration of conservation into contemporary fashion design.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application of traditional culture in modern fashion design.

나-남'의 상황논리에서 본 프라이버시의 한국적 이해 (Meaning of Privacy Based on Situational Contingencies of 'Self-Other' Concept)

  • 김순경
    • 한국주거학회논문집
    • /
    • 제2권1호
    • /
    • pp.35-45
    • /
    • 1991
  • This Paper examines the meaning of Privacy within the content of cultural background of the traditional Korean society, identifying some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desired levels of privacy and the situational centingencies of self - other concept along with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privacy control mechanism and the cultural norms, This paper discusses several important dimensions, including1) the traditional values, 2) the norms of family life, 3) the children education in the household environment, 4) the `self - other` concept, and5) the privacy control mechanism.

  • PDF

멀티미디어 및 증강현실 기술을 이용한 전통목조건축물 디지털 복원 (Digital Restoration of Traditional Architectural Buildings Using Multimedia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 이강훈;조세홍
    • 한국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
    • 제16권2호
    • /
    • pp.206-212
    • /
    • 2013
  • 멀티미디어, 가상현실 및 네트워크로 대표되는 ICT 기술은 문화콘텐츠의 원형을 보존하고 복원을 위한 좋은 수단이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문화콘텐츠라 할 수 있는 전통목조건축물을 디지털화하기 위한 멀티미디어와 증강현실 기술의 세부적인 방법을 제시하고 구현하였다. 그래픽 기법을 사용하여 전통목조건축물에 사용되는 건축 부재들을 3D 모델링하였고, 전통목조건축물의 지붕 곡선을 표현하였고, 전통목조건축물의 재질 매핑을 하였다. 또한, 마커 기반 증강현실 기법을 사용하여 모바일 기기를 통하여 전통목조건축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멀티미디어 및 증강현실로 구현된 전통목조건축물 결과물의 활용 방안을 또한 제시하였다.

도시재생에서 역사문화콘텐츠 사업 유형화 연구 (A Study on the Categorization of Historic-Cultural Contents Project on Urban Regeneration)

  • 최희경;이진민
    • 한국전통조경학회지
    • /
    • 제38권3호
    • /
    • pp.50-63
    • /
    • 2020
  • 본 연구는 최근 도시재생사업이 물적 환경 뿐 아니라 사회, 역사, 문화, 경제 등 비물적 요소까지 확장되고 있는 흐름에 주목하고 국내도시재생사업의 역사문화콘텐츠 내용 분석 및 유형화와 향후 방향성 제안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하여 도시재생사업 관점에서 역사문화콘텐츠 개념을 정의하고 총 33개의 도시재생사업과 문화적 도시재생사업을 대상으로 역사문화 관련 사업의 내용 분석과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첫째, 도시재생사업 내용적 측면에서 역사문화콘텐츠 사업 유형은 문화예술형, 지역 자산형, 경제문화형, 역사유산형으로 구분된다. 둘째, 도시재생 선도사업에서 역사문화콘텐츠 사업은 주로 물리적 재생과 결합하여 시행된다. 셋째, 도시재생사업 초기 단계에서 지역주민의 참여와 소통을 이끌어내기 위하여 역사문화콘텐츠 사업 유형을 활용하는 사업이 다수 나타나는 반면 지역민과 공공의 갈등 양상도 보인다. 향후 도시재생사업의 역사문화콘텐츠 활용은 4차 산업혁명의 흐름에 부응하며 물리적 재생 중심에서 비물리적 재생과 거버넌스를 포함한 인적자원 재생까지 범위를 확장하는 것을 제안한다.

통일신라시대 와당을 모티브로 한 주얼리장식용 문양 연구 (A Study on the Jewelry decorative pattern based on Wa-Dang in Unified Silla period)

  • 김경태
    • 문화기술의 융합
    • /
    • 제9권6호
    • /
    • pp.113-122
    • /
    • 2023
  • 본 연구는 문화 & 소프트 파워(soft power)가 주도하는 지식정보사회에 있어서 전통문화의 유물자산을 활용한 문화상품 개발을 전제로 진행하였다. 통일신라시대 전통건축에서 출토된 와당 유물의 문화콘텐츠 상품 가능성을 탐색하고 주얼리 디자인에 활용성이 높은 상품화 모티브의 확장성을 넓히는 맥락에서 진행되었다. 먼저 문헌과 매체 연구를 통하여 와당의 원형과 소재, 용도, 크기, 의미, 조형적 심미성을 파악하였다. 고찰된 와당중에서 카테고리별 대표성과 모듈·패턴화 가치가 있는 10종류의 와당을 선택하여 '형태적 단순화 기법'으로 원형이미지를 추출·모듈화하였다. 문양구성 배열형식 체계화 방법인 '수학적 대칭성 분석기법'에 근거하여 문화콘텐츠산업 및 주얼리디자인 개발시에 활용할 수 있는 평면적 조형요소를 도출하였다. 향후 주얼리산업에서의 활용성 확대를 위하여 2D 디지털이미지로 제시하였다. 향후에도 전통문화를 매개로 하는 다양한 문화콘텐츠산업에 관한 연구가 더한층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융합미디어 시대에서 전통문화 콘텐츠의 발전방향 연구 (A Study on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raditional Cultural Contents in the Age of Convergence Media)

  • 선심이;정진헌
    • 한국인터넷방송통신학회논문지
    • /
    • 제22권3호
    • /
    • pp.99-104
    • /
    • 2022
  • 오늘날의 미디어는 전통 미디어와 네트워크 미디어가 고도로 융합되고, 서로 이익을 공유하고 있는 융합미디어 시대로 발전하였다. 전통문화 커뮤니케이션 채널의 증가 커뮤니케이션 방법 및 관객과의 상호 작용 방식의 변화가 촉진된다. 본 연구는 중국의 우수한 전통문화 콘텐츠를 사례로 전통문화 보급의 어려움을 분석함과 동시에 융합미디어의 현재 상황과 결합하여 무형적 전통문화를 시각적 디지털 콘텐츠로 재생산하는 방법에 대해 논의하고, 융합미디어를 활용해서 대중적으로 널리 확대생산 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전통문화 콘텐츠가 융합미디어의 다양한 디지털 플랫폼을 통해 보급되면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전 세계에 공급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전통문화 계승을 위한 발전방향을 제시함과 동시에 확장성에 대한 연구로 학술적 의의를 갖는다.

A Preliminary Study on the Roles of Fe Content and Neoformed Ca-rich Minerals in the Coloration of Ceramic Glazes

  • Lee, Min Hye;Han, Min Su;Kim, Ji Hye
    • 보존과학회지
    • /
    • 제36권4호
    • /
    • pp.275-283
    • /
    • 2020
  • Iron oxides are the essential coloring oxides in traditional ceramic glazes. However, when Fe is involved in the coloration in the form of ions or colloids in glazes with low Fe content, it is difficult to identify the iron oxide phases. Generally, in many these glazes, Ca-rich minerals are observed by X-ray diffraction (XRD) or microscopic images, owing to their devitrification by the high Ca content. This study attempts to elucidat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rystalline structure and coloration in the glazes while mainly focusing on neoformed Ca-rich minerals and Fe content. An experimental firing was carried out to produce tree ash glazes, with pine tree ash and Buyeo feldspar. In the case of oxidation glazes, the 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 images and XRD patterns did not exhibit any Ca-rich crystals, and all the visible light reflectance spectra lines exhibited a similar shape. In contrast, the reduction glazes divided into blue glazes and other colored glazes according to the shapes of their reflectance spectra. It was confirmed that the influence of Ca-rich minerals on the glaze color was more pronounced than the blue color of the reduction glazes when the Ca and feldspar contents were sufficiently high and low, respectively, to form wollastonite. As the Ca content increased and the elemental composition of the reduction glazes changed, the neoformation of the Ca-rich minerals, such as wollastonite, anorthite, diopside, and akermanite was sequentially ob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