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raditional Meju

검색결과 182건 처리시간 0.028초

한국 전통 된장의 숙성중 관능적 품질에 미치는 성분의 변화 -아미노산성질소, 아미노산 및 색도를 중심으로- (Changes of Components Affecting Organoleptic Quality during the Ripening of Traditional Korean Soybean Paste -Amino Nitrogen, Amino Acids, and Color-)

  • 김종규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31-37
    • /
    • 2004
  • 본 연구는 콩, 메주, 그리고 된장을 제조하여 장기간(12개월) 숙성시키는 과정 중에 아미노산성질소, 아미노산, 유리아미노산 및 색도의 변화를 관찰하고자 수행되었다 된장의 제조는 한국식품개발원의 지침에 따라 수행하였으며 제조 직후, 6개월 숙성 및 12개월 숙성 후에 시료를 분석하였다. 된장의 아미노산성질소는 제조 직후에는 콩과 메주에 비하여 높았으나(p〈0.05)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된장의 아미노산 총량은 콩보다 매우 낮았으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매우 높았다(p〈0.05). 된장의 아미노산 총량은 숙성 중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아미노산에 대한 유리아미노산의 비율 (유리율)은 총량으로 콩의 경우 0.8%, 메주의 경우 17.3%, 그리고 된장의 경우 숙성 중 20.4∼32.9%이었다. 된장의 숙성중 아미노산이나 유리아미노산의 조성은 변화되었으나 어느 시점에서나 지미 성분인 glutamic acid가 가장 많이 검출되었으며, 그 유리율은 21.1∼41.3%이었다. 된장의 색도(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는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낮아졌다. 이로부터 된장의 아미노산 함량은 비록 콩에 비하여 매우 낮지만, 아미노산 유리율은 메주의 제조와 발효로부터 증가되고 된장의 숙성과정에서 더욱 증가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된장의 아미노산성질소, 아미노산 및 색도에 의한 관능적 품질은 숙성 12개월 후에는 떨어지는 것으로 보인다.

메주 유래 Enterococcus faecium 균주의 기능적 특성 및 안전성 (Techn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afety of Enterococcus faecium Isolates from Meju, a Traditional Korean Fermented Soybean Food)

  • 오영민;공하람;정도원;이종훈
    •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
    • 제49권2호
    • /
    • pp.255-263
    • /
    • 2021
  • γ-Aminobutyric acid 생성에 관여하는 glutamate decarboxylase 유전자 gadA/B를 보유한 메주 유래 Enterococcus faecium 88균주를 대상으로 기능적 특성 및 안전성 평가를 진행하여 메주 유래 E. faecium의 발효식품용 종균으로써의 활용 가능성을 검토하였다. 6% NaCl 농도(w/v)에서 모든 균주의 생장 및 산 생성이 확인되었다. 7% NaCl 농도에서는 21균주(24%)가 낮은 생장을 나타냈으며, 72균주(82%)가 약한 산 생성 활성을 나타냈고, 16균주(18%)는 산생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4% NaCl 농도에서는 모든 균주가 단백질 분해 활성을 나타냈지만, 5% NaCl 농도에서 86균주(98%)가 약한 활성을 나타냈고, 1균주(1%)는 활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지방 분해 활성은 모든 균주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모든 균주가 7종의 항생제(ampicillin, chloramphenicol, ciprofloxacin, gentamicin, penicillin G, tetracycline, vancomycin)에 대해 획득형 항생제 내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Enterococcus 심내막염 항원 유전자 efaA 및 tyramine 생성에 관여하는 tyrosine decarboxylase 유전자 tdc가 메주 유래 88균주에서 발견되었지만, 사람 기원 E. faecium 균주가 특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Enterococcus surface protein 유전자 esp는 발견되지 않았다.

Biodegradation of Ochratoxin A by Aspergillus tubingensis Isolated from Meju

  • Cho, Sung Min;Jeong, Seong Eun;Lee, Kyu Ri;Sudhani, Hemanth P.K.;Kim, Myunghee;Hong, Sung-Yong;Chung, Soo Hyun
    •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 /
    • 제26권10호
    • /
    • pp.1687-1695
    • /
    • 2016
  • Ochratoxin A (OTA), a mycotoxin, contaminates agricultural products and poses a serious threat to public health worldwide. Microbiological methods are known to be a promising approach for OTA biodegradation because physical and chemical methods have practical limitations. In the present study, a total of 130 fungal isolates obtained from 65 traditional Korean meju (a fermented starter for fermentation of soybeans) samples were examined for OTA-biodegradation activity using thin-layer chromatography. Two fungal isolates were selected for OTA-biodegradation activity and were identified as Aspergillus tubingensis M036 and M074 through sequence analysis of the beta-tubulin gene. After culturing both A. tubingensis isolates in Soytone-Czapek medium containing OTA (40 ng/ml), OTA-biodegradation activity was analyz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Both A. tubingensis strains degraded OTA by more than 95.0% after 14 days, and the HPLC analysis showed that the OTA biodegradation by the A. tubingensis strains led to the production of ochratoxin α, which is much less toxic than OTA. Moreover, crude enzymes from the cultures of A. tubingensis M036 and M074 led to OTA biodegradation of 97.5% and 91.3% at pH 5, and 80.3% and 75.3% at pH 7, respectively, in a buffer solution containing OTA (40 ng/ml) after 24 h. In addition, the OTA-biodegrading fungi did not exhibit OTA production activity. Our data suggest that A. tubingensis isolates and their enzymes have the potential for practical application to reduce levels of OTA in food and feed.

3단계 발효에 의한 콩 알레르기성의 저하 (Reduction of Allergic Potential of Meju by Three Step Fermentation)

  • 류충호;이정옥;손대열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41권8호
    • /
    • pp.1066-1071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3가지 서로 다른 미생물을 이용하여 콩을 발효시킨 후 제품의 알레르기성 변화를 살펴보았다. 증자 후 가열 살균된 콩은 유산균(Lactococcus actis subsp. lactis) 그리고/또는 황국균(Aspergillus oryzae) 그리고/또는 고초균(Bacillus subtilis)을 이용하여 발효되었다. 콩 단백질이 발효과정에서 분해됨을 확인하였다. 발효과정 후 콩 단백질의 알레르기성과 항원성의 변화는 콩 단백 특이 다클론 항체 또는 콩에 대해 알레르기 반응을 일으키는 환자들의 혈청을 이용하여 면역반응검사법으로 확인되었다. 콩 단백질은 니아신 생성균주 L. lactis subsp. lactis IFO12007와 황국균 그리고 고초균을 이용한 3단 발효에 의해 가장 강력한 분해가 이루어졌다. 3단 발효 후 콩의 알레르기성 및 항원성도 크게 감소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된 3단 발효법은 콩의 알레르기성을 저하시키는 강력한 방법 중의 하나이다.

재래식 메주중의 산생성균의 분포 (Occurrence of acid producing bacteria in Meju leaves)

  • 허성호;하덕모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4권2호
    • /
    • pp.130-133
    • /
    • 1991
  • 재래식 메주의 23개 시료에 대해서 내부층과 외부층의 부위별로 산생성균수 및 총균수를 조사하고 이들 균주를 동정하였다. 산생성균은 내부층에 비하여 외부층에 많았고 각 부위에 있어서 호기성 산생성균보다 혐기성 산생성균이 많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호기성 산생성균 중 비호염성균 및 내염성균의 평균균수는 각각 $24{\times}10^6$$33{\times}10^5cell/g$였고 혐기성 산생성균 중 비호염성균 및 내염성균의 평균균수는 $10{\times}10^7$$58{\times}10^5cell/g$였다. 호기성 산생성균 2균주는 Micrococcus sp., 혐기성 산생성균 3균주는 Strepococcus sp., Pediococcs sp. 및 Lactobacillus sp., 호기성 일반세균 2균주는 Bacillus sp.으로 각각 동정되었다.

  • PDF

개량식 고추장의 특성 (Characteristics of improved Kochujang)

  • 우동호;김재욱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3권2호
    • /
    • pp.161-168
    • /
    • 1990
  • 개량식 고추장의 특징을 검토하기 위하여 재래식과 개량식 고추장의 숙성시 성분 변화, 메주와 고오지의 효소 역가 그리고 소금과 고추가루의 첨가 영향 등을 본 결과 숙성 초기에는 재래식과 개량식 고추장에서 아미노태질소, 환원당 함량의 큰 차이를 보이나 그 이후에는 평행되게 변화되었다. Koji의 protease역가는 악산성에서 메주는 중성에서 최대 활성을 보였다. 기질 소화의 최적 조건은 $60^{\circ}C$에서 3시간이었다. 소금 및 고추가루의 첨가로 protease와 당화 amylase의 역가가 현저하게 떨어지므로 소금과 고추가루는 소화 후에 첨가하는 것이 유리하였다.

  • PDF

콩발효 종균후보 Enterococcus faecalis strain DM01의 유전체 염기서열 (Complete genome sequence of Enterococcus faecalis strain DM01, a potential starter culture candidate for soybean fermentation)

  • 허소정;이종훈;정도원
    • 미생물학회지
    • /
    • 제55권3호
    • /
    • pp.293-295
    • /
    • 2019
  • 메주로부터 분리한 Enterococcus faecalis DM01 균주는 8종의 항생제(ampicillin, chloramphenicol, ciprofloxacin, erythromycin, gentamicin, penicillin G, tetracycline, vancomycin) 저항성, 바이오필름 및 용혈현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GC 함량 37.68%, 2,785,968 bp 크기의 단일 chromosome을 보유하고 있는 DM01 균주의 유전체 정보는 콩발효식품 제조용 종균 적용에 요구되는 항생물질 저항성, 바이오필름 및 용혈현상 관련의 안전성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숙성 기간에 따른 전통 간장의 맛 특성 변화(II) - 질소 화합물 분석 및 관능 특성 - (Changes in Tast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with Ripening Period - Analysis of Nitrogen Compound Contents and Sensory Characteristics -)

  • 주명숙;손경희;박현경
    • 한국식생활문화학회지
    • /
    • 제12권4호
    • /
    • pp.383-389
    • /
    • 1997
  •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order to analyze the changes in nitrogen containing taste compounds of traditional Korean soy sauce with varying Meju concentrations (Meju-water ratios of 1:4 and 1.3:4) and ripening periods (up to 2 years), and to investigate correlation between sensory characteristics and taste compound contents via contents assay and sensory evaluation of soy sauce samples. Nitrogen compound contents were higher in 1.3:4 than in 1:4 for all nitrogen compounds. Free amino acid contents were highest in soy sauce ripened for 210 days. Among amino acids, glutamic acid was highest concentration.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 contents did not vary with concentrations and were highest in the sample ripened for 210 days. In direct sensory evaluation of soy sauce, overall taste prefer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sweet taste. Likewise, overall taste preference showed positive correlation to umami, nutty, sweet taste in the sensory evaluation of seaweed soup seasoned with soy sauce. Sensory evaluation score was higher in 1.3:4 than in 1:4. According to the correlation assay of taste compound contents and sensory evaluations, nitrogen compounds (such as amino type nitrogen), amino acids (such as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nd lysine, and etc.), nucleotides (such as AMP, IMP, and etc)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and therefore we can conclude that these compounds affect the taste and quality of soy sauce.

  • PDF

Bioconversion of Ginsenosides from Red Ginseng Extract Using Candida allociferrii JNO301 Isolated from Meju

  • Lee, Sulhee;Lee, Yong-Hun;Park, Jung-Min;Bai, Dong-Hoon;Jang, Jae Kweon;Park, Young-Seo
    • Mycobiology
    • /
    • 제42권4호
    • /
    • pp.368-375
    • /
    • 2014
  • Red ginseng (Panax ginseng), a Korean traditional medicinal plant, contains a variety of ginsenosides as major functional components. It is necessary to remove sugar moieties from the major ginsenosides, which have a lower absorption rate into the intestine, to obtain the aglycone form. To screen for microorganisms showing bioconversion activity for ginsenosides from red ginseng, 50 yeast strains were isolated from Korean traditional meju (a starter culture made with soybean and wheat flour for the fermentation of soybean paste). Twenty strains in which a black zone formed around the colony on esculin-yeast malt agar plates were screened first, and among them 5 strains having high ${\beta}$-glucosidase activity on p-nitrophenyl-${\beta}$-D-glucopyranoside as a substrate were then selected. Strain JNO301 was finally chosen as a bioconverting strain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its high bioconversion activity for red ginseng extract as determined by thin-layer chromatography (TLC) analysis. The selected bioconversion strain was identified as Candida allociferrii JNO301 based on the nucleotide sequence analysis of the 18S rRNA gene. The optimum temperature and pH for the cell growth were $20{\sim}30^{\circ}C$ and pH 5~8, respectively. TLC analysis confirmed that C. allociferrii JNO301 converted ginsenoside Rb1 into Rd and then into F2, Rb2 into compound O, Rc into compound Mc1, and Rf into Rh1. Quantitative analysis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showed that bioconversion of red ginseng extract resulted in an increase of 2.73, 3.32, 33.87, 16, and 5.48 fold in the concentration of Rd, F2, compound O, compound Mc1, and Rh1, respectively.

균주를 달리한 된장의 발효기간에 따른 대두의 조직학적 변화에 관한 연구 (Histological Changes of Doenjang during the Fermentation with Different Strains)

  • 박정숙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24권5호
    • /
    • pp.477-481
    • /
    • 1992
  • 품질이 좋은 된장을 제조하기 위한 연구의 일환으로 재래식 된장과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를 혼합한 된장을 제조해서 발효기간에 따른 대두조직의 변화를 조사한 결과 가압, 가열처리에 의하여 세포벽이 붕괴되거나 ghost 상태를 보였고 표피부와 내부의 세포질은 원형질 분리가 현저한 차이가 있으며 protease에 의한 당단백 구상체의 융합과 amylase에 의하여 전분이 분해되어 작은 공포를 보였으며 발효에 의한 균침투 과정이 시일이 경과함에 따라 표피부에서 내부로 이행되어지며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 혼합 된장의 표피부와 유세포에서 점질물이 보인다. 또한 발효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염색성이 나빠지고 세포벽이 다각형으로 되는데 재래식 보다는 Aspergillus oryzae와 Bacillus natto 혼합구가 현저하였다.

  • 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