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soluble carbohydrate

검색결과 138건 처리시간 0.032초

다시마를 이용한 분말 조미료 소재 개발 (Processing of Powdered Seasoning Material from Sea Tangle)

  • 배태진;강동수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521-528
    • /
    • 2000
  • 분말 다시마로부터 정미성분의 효과적인 추출방법과 분말 조미료의 제조 조건을 검토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다시마에 함유된 정미성분의 추출은 열수 추출이나 효소분해 법보다 70% ethyl alcohol 처리가 효과적이었으며, 분말제품의 수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잔사를 다시 열수 추출시키는 것이 효과적이었다. 다시마 분말에 70% ethyl alcohol을 5배량 가하여 $25^{\circ}C$에서 1시간 추출하고 여과한 잔사에 다시 물을 15배 가하여 7$0^{\circ}C$에서 3시간 동안 추출하였을 때 고형물의 농도는 14.9%였다. 다시마 분말조미료는 ethyl alcohol 추출액을 막으로 통과시켜 분자량 5,000 dal-ton이하 범위로 분획한 액을 진공동결건조하여 제품으로 하였다. 다시마 분말조미료 제품의 조성 중 탄수화물 함량이 64.9%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총질소량 및 아미노질소량은 3.7% 및 2.1%로 나타나 총질소량에 대한 아미노질소량의 비율은 56.8%이었다. 그리고 상대습도 0.88에서의 흡습성은 8.4%, 용해성은 98.3%, 건조수율은 14.7%였다.

  • PDF

Effect of Molasses on Nutritional Quality of Cassava and Gliricidia Tops Silage

  • Van Man, Ngo;Wiktorsson, Han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15권9호
    • /
    • pp.1294-1299
    • /
    • 2002
  • The study aim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molasses in ensiling cassava and Gliricidia tops, common crop residues in the farming systems of Vietnam. Four levels of sugarcane molasses: 0, 30, 60 and 90 kg per tonne of fresh material, and two storage periods (2 and 4 months) for each of the two plant species: Cassava (Manihot esculenta, Crantz) and Gliricidia (Gliricidia sepium, Jacq.) were allocated in a 4${\times}$2 factorial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with 3 replicates. A total of 48 plastic bags, each one containing 10 kg herbage were used. Based on the colour, smell and mold appearance, all the silages were considered to be acceptable but with more spoiled silages with higher levels of additives. DM of herbages (25.8% and 22.4% in cassava and Gliricidia tops, respectively) were not changed during ensiling and the molasses additive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silage DM. Contents of CP and NDF in the cassava tops silage decreased significantly with increased level of molasses and storage period, respectively. The mean pH values of non-molasses silages were 4.39 in cassava tops and 4.60 in Gliricidia tops. Increased additive levels significantly reduced silage pH in Gliricidia (p<0.01) but not in cassava tops silage (p=0.10). Longer storage period significantly reduced pH in both silages. The water soluble carbohydrate (WSC) concentrations of cassava tops and Gliricidia tops were reduced by 90 and 80%, respectively, after ensiling. Molasses addition increased significantly the silage WSC concentrations. HCN contents in the fresh cassava and Gliricidia tops were reduced by 68 and 43%, respectively, after 2 months ensiling, and were continuously reduced during storage. A reduction of 25% and 42% in the tannin content of fresh cassava and Gliricidia tops, respectively was found after ensiling. Storage time and molasses additive had little affect on the tannin content. Silage lactic acid concentrations were around 1,0% of DM in cassava and 1.7% of DM in Gliricidia top silages, and no effect of molasses additive and storage time was found. It is concluded that cassava and Gliricidia tops residues can be preserved successfully by ensiling, and only low levels of molasses additive are needed to improve silage fermentation.

식이에 의한 Ornithine ${\delta}$-Transaminase의 유도(induction)와 억제(repression)에 관한 연구 (Carbohydrate Repression of Dietary Induction of Ornithine ${\delta}$-Transaminase in Rat Liver)

  • 박현서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12권3호
    • /
    • pp.1-8
    • /
    • 1979
  • 단백질을 함유하지 않은 식이를 5일간 먹인 쥐에게 동량으로 혼합된 필수 아미노산 혼합물(amino acid mixture)을 투여 하여 ornithine $\delta$-transamiaase(OT)를 유도(induction)한 군과 또한 amino acid mixture를 먹인 후 $6{\sim}9 \;1/2$시간 후에 glucose를 동시에 먹인 군에서 OT의 유도 기전을 보기 위하여 방사성 동위원소인 L-methionine-$CH_{3}-C^{14}$ 또는 L-Phenylalanine-$H^{3}$(uniformly labelled) 을 사용하여 유도전 OT를 pulse label하여 준비된 항체로 각각 유리 분리시켜서 방사능을 측정하였다. Amino acid mixture만을 투여한 군에서는zero time에 비해 OT활성은 6시간 후에 1.5배, 12시간 후에는 약 3배, 18시간 후에는 13배가 증가되었다. 또한 OT에 incorporate된 표지 아미노산의 방사능은 6시간 후에 1.5배, 12시간 후에 약 3배가 증가 되었을을 보였다. 그러나 이 기간동안 간장의 total soluble protein에 incorporate된 표지 아미노산의 방사능은 거의 증가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amino acid mixture에 의한 OT의 증가는 고유하게 유도되었으며 이때의 관성의 증가는 OT 단백질의 분해률의 감소에 의한 것이 아니라 순수하게 OT 단백질의 생합성에 의찬 증거라고 볼 수 있다. amino acid mixture를 투여한지 6시간 후에 glucose 용액을 동시에 먹인 쥐에서는 OT 활성은 증가를 하였으나 amino acid mixture만을 먹인 군보다는 약간 감소를 보였다. 또한 glucosedp이 투여된 후에는 OT에 표지 아미노산이 더 이상 incorporate되지는 않아 방사능의 증가는 보이지 않았으나 glucose가 투석될 당시보다 더 이상 감소되지는 않았다. 그러므로 glucose에 의한 유도에 대한 억제 (repression)는 단백질의 분해률의 증가에서 온 것이라기 보다는 OT 단백질의 생합성을 억제하여서 $OT_{1}$활성을 감소하지 않았는가 본다.

  • PDF

Characterization of Polysaccharides Obtained from Purslane (Portulaca olerace L.) Using Different Solvents and Enzymes

  • Choi, Ae-Jin;Kim, Chul-Jin;Cho, Yong-Jin;Kim, Yang-Ha;Cha, Jae-Yoon;Hwang, Jae-Kwan;Kim, In-Hwan;Kim, Chong-Tai
    • Food Science and Biotechnology
    • /
    • 제16권6호
    • /
    • pp.928-934
    • /
    • 2007
  • Physiochemical properties, such as yield and molecular weight distribution of polysaccharide fractions, of polysaccharides in the enzymatic hydrolysates of purslane were investigated and characterized. A higher amount of micro nutrients, such as potassium (9,413 mg/100 g), phosphorus acid (539 mg/100 g), leucine, alanine, lysine, valine, glycine, and isoleucine, was present in whole purslane. The yield of water soluble polysaccharides (WSP) was 0.29, 7.01, and 7.94% when extracted using room temperature water (RTW), hot-water (HW), and hot temperature/high pressure-water (HTPW), respectively, indicating that HW or HTPW extraction may be effective to obtain WSP from purslane. The average ratio of L-arabinose:D-galactose in the WSP was 37:49, 34:37, and 27:29, when extracted using RTW, HW, and HTPW, respectivel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water was a suitable extraction solvent for preparation of the arabinogalactan component of whole purslane. A higher yield and total carbohydrate content was obtained by using Viscozyme L instead of Pectinex 5XL during extraction of the WSP, which indicates that enzymatic treatment of purslane may be an effective method to control the Mw of polysaccharides. Finally, it was confirmed that Viscozyme L is a suitable enzyme for the hydrolysis and separation of polysaccharides obtained from purslane.

Nutritional Quality and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Defatted Bovine Liver Treated by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and Organic Solvent

  • Kang, Sung-Won;Kim, Hye-Min;Rahman, M. Shafiur;Kim, Ah-Na;Yang, Han-Sul;Choi, Sung-Gil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37권1호
    • /
    • pp.29-37
    • /
    • 2017
  • Defatted bovine liver (DBL) is a potential source of protein and minerals.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SC-CO_2$) and a traditional organic solvent method were used to remove lipid from bovine liver, and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a control bovine liver (CBL), bovine liver defatted by $SC-CO_2$ ($DBLSC-CO_2$) at different pressures, and bovine liver defatted by organic solvent (DBL-OS) were compared. The $DBLSC-CO_2$ samples had significantly higher (p<0.05) protein, amino acid, carbohydrate, and fiber contents than CBL and DBL-OS. There was a higher yield of lipid from CBL when using $SC-CO_2$ than the organic solvent method. SDS-PAGE analysis demonstrated that the CBL and $DBLSC-CO_2$ had protein bands of a similar intensity and area, whereas DBL-OS appeared extremely poor bands or no bands due to the degradation of proteins, particularly in the 50 to 75 kDa and 20 to 25 kDa molecular weight ranges. In addition, $DBLSC-CO_2$ was shown to have superior functional properties in terms of total soluble content, water and oil absorption, and foaming and emulsification properties. Therefore, $SC-CO_2$ treatment offers a nutritionally and environmentally friendly approach for the removal of lipid from high protein food sources. In addition, $SC-CO_2$ may be a better substitute of traditional organic solvent extraction for producing more stable and high quality foods with high-protein, fat-free, and low calorie contents.

탈지한 고아밀로오스 옥수수전분의 이화학적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Defatted High Amylose Corn Starch)

  • 최차란;김정옥;이신경;신말식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5호
    • /
    • pp.403-407
    • /
    • 1995
  • 아밀로오스 함량이 높은 옥수수전분을 전분겔 제조에 이용하고자 고아밀로오스 옥수수전분과 99% 메탄올로 탈지한 전분의 이화학적 특성과 호화특성을 알아보았다. 전분입자의 모양은 둥근형이었고 탈지시모양의 변화는 없었으며 선 회절도에 의한 전분의 결정형은 모두 B형이었고 결정도의 변화는 없었다. 요드친화력은 51.6%로, 탈지시 71.3%로 증가하였으며 총지방질 함량은 감소하였다. $80^{\circ}C$에서의 팽윤력과 용해도는 탈지에 의해 큰 차이가 없었으며 물결합능력은 104.6%에서 탈지시 117.3%로 증가하였다. 온도에 따른 용해성 탄수화물과 용출 아밀로오스의 함량은 $110^{\circ}C$이상에서 급격히 증가하였으며 탈지전분이 생전분에 비해 용출되는 양이 많았다. 알칼리의 농도에 따른 점도 변화는 0.3N NaOH 이상의 농도에서 증가되었으며 광투과도는 0.4N NaOH용액에서 증가를 보여 보통전분보다는 열호화 뿐만 아니라 알칼리에 의한 호화도 잘 일어나지 않았다. DSC에 의한 호화 endotherm은 단일피크가 아니고 폭넓은 두 개의 피크를 보였는데 탈지하면 높은 온도의 피크가 더 커졌으며 엔탈피는 0.62cal/g으로 낮았고 탈지에 의한 차이는 없었다.

  • PDF

올방개(Eleocharis tuberosa Roem. et Shult) 가공을 위한 몇가지 성분 분석 (Some Components Analysis for Chinese Water Chestnut Processing)

  • 이부용;황진봉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0권3호
    • /
    • pp.717-720
    • /
    • 1998
  •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작물인 올방개를 이용한 가공식품 개발시 필요하고 참고가 될만한 몇가지 식품학적인 기초 성분들을 분석한 자료를 신속하게 제공하고자 하였다. 일반성분은 수분함량 79.40%, 조단백 1.74%, 조지방 0.06%, 조회분 1.10% 조섬유 0.60%, 탄수화물 17.71% 이었다. 유리당 조성은 sucrose가 8.58%, glucose가 1.64%, fructose가 1.58%로서 3가지 주요당이 올방개 착즙액의 고형분량중 약 66.0%를 차지하였으며, maltose도 미량 검출되었다. 칼륨의 함량이 408.57 mg%로 높게 나타났으며, 철분 및 망간은 각각 0.21 mg%, 0.08 mg%로 매우 적게 함유되어 있었다. 비타민 $B_1$$31.2\;{\mu}g/100\;g$ 정도 함유되어 있었고, 비타민 C는 미량이 검출되었다. 관능적인 특성은 향긋한 과일향과 단맛이 주된 풍미였으며, $100^{\circ}C$에서 20분 정도 끓여도 생시료와 거의 비슷한 정도의 아삭아삭함을 유지하였다.

  • PDF

제주산 감귤류 성분과 그 특성 (Physicochemical Properties and Chemical Compositions of Citrus Fruits Produced in Cheju)

  • 김성학;고정삼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8권6호
    • /
    • pp.541-545
    • /
    • 1995
  • 제주산 감귤의 표준시료에 대한 성분분석 및 그 특성을 검토하였다. 온주 밀감의 가용성고형물(Brix)은 $10.4{\sim}11.0^{\circ}$였고 총당은 $8.24{\sim}8.79%$였으며, 산함량은 $1.04{\sim}1.20%$였다. 비타민 C함량은 $41.19{\sim}46.55\;mg/100g$으로서 조생온주에 비해 보통온주에서 높았다. 온주밀감에서 무기물 함량의 경우 K가 $108.66{\sim}132.65\;mg/100g$으로 가장 많이 함유되고 있었으며, 잡감류의 경우는 온주밀감에 비해 무기물 함량이 높았다. 감귤쥬스 중의 당종류는 잡감류를 포함하여 품종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자당이 $46.8{\sim}64.6%$로서 가장 많이 함유하고 있었으며, 그외로는 포도당과 과당이 각각 $18.4{\sim}26.9%$$15.2{\sim}30.2%$로서 비슷한 수준이었다. 유기산 종류로는 구연산이 $75.7{\sim}96.2%$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외로 malic acid, oxalic acid, fumaric acid 순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었다.

  • PDF

Comparative study of some analytical methods to quantify lignin concentration in tropical grasses

  • Velasquez, Alejandro V.;Martins, Cristian M.M.R.;Pacheco, Pedro;Fukushima, Romualdo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32권11호
    • /
    • pp.1686-1694
    • /
    • 2019
  • Objective: Lignin plays a relevant role in the inhibition of cell wall (CW) structural carbohydrate degradation. Thus, obtaining accurate estimates of the lignin content in tropical plants is important in order to properly characterize the mechanism of lignin action on CW degradation. Comparing conflicting results between the different methods available for commercial use will bring insight on the subject. This way, providing data to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lignin concentration and implications with tropical forage degradation. Methods: Five grass species, Brachiaria brizantha cv $Marand{\acute{u}}$, Brachiaria brizantha cv $Xara{\acute{e}}s$(MG-5), Panicum maximum cv Mombaça, Pennisetum purpureum cv Cameroon, and Pennisetum purpureum cv Napier, were harvested at five maturity stages. Acid detergent lignin (ADL), Klason lignin (KL), acetyl bromide lignin (ABL), and permanganate lignin (PerL) were measured on all species. Lignin concentration was correlated with in vitro degradability. Results: Highly significant effects for maturity, lignin method and their interaction on lignin content were observed. The ADL, KL and ABL methods had similar negative correlations with degradability. The PerL method failed to reliably estimate the degradability of tropical grasses, possibly due to interference of other substances potentially soluble in the $KMnO_4$ solution. Conclusion: ADL and KL methods use strong acid ($H_2SO_4$) and require determination of ash and N content in the lignin residues, therefore, increasing time and cost of analysis. The ABL method has no need for such corrections and is a fast and a convenient method for determination of total lignin content in plants, thus, it may be a good option for routine laboratory analysis.

탈지 들깨박 효소분해물의 제조와 Leuconostoc mesenteroides 배양에의 활용 (Preparation of enzymatic hydrolysate from defatted perilla seed residue and its application to Leuconostoc mesenteroides cultivation)

  • 신영섭;이태정;인만진;김동청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64권1호
    • /
    • pp.97-102
    • /
    • 2021
  • 본 연구에서는 들깨(Perilla frutescens)박으로부터 효소분해물을 제조하기 위한 효소를 선별하여 최적의 반응조건을 확립하였다. Alcalase와 Ceremix의 동시 처리가 들깨박의 단백질과 탄수화물의 가용화에 효과적이었으며, 효소 사용량은 들깨박 중량의 2% (w/w), pH는 7.0, 반응 시간은 2시간이 적당하였다. 최적의 반응조건에서 들깨박을 Alcalase와 Ceremix로 처리한 결과 환원당, 가용성 단백질 및 총 폴리페놀 함량이 크게 증가하였다. 유리 라디칼과 양이온 라디칼에 대한 소거활성으로 확인한 결과 들깨박 효소분해물의 항산화 활성은 대조군에 비해 우수하였다. 또한 젖산균인 Leuconostoc mesenteroides 310-12 균주를 들깨박 효소분해물에서 배양한 결과 대조군에 비해 생육과 산의 생성이 우수하였다. 결론적으로 들깨박 효소분해물은 항산화 생리활성 소재로서뿐만 아니라 유산균 배양 배지로서도 활용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