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phenol contents

검색결과 486건 처리시간 0.033초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의 안정성 조사 (Stability of Ethanolic Extract from Cirsium setidens Nakai)

  • 이진하;조양환;조봉연;라문진;김선영;강일준;한경찬;이옥환
    • 한국식품위생안전성학회지
    • /
    • 제31권4호
    • /
    • pp.304-309
    • /
    • 2016
  • 본 연구에서는 고려엉겅퀴 추출물에 대한 열안정성, pH 안정성을 조사하고자 고려엉겅퀴 주정추출물은 온도별(4, 25 및 $50^{\circ}C$), pH별(4.0, 7.0, 및 10.0)로 저장하면서 추출물의 pectolinarin 함량, 총 페놀 함량, 2,2-diphenyl-1-picrylhydrazyl (DPPH) 라디칼 소거능 및 FRAP assay를 분석하였다. 고려엉겅퀴 추출물의 pectolinarin 함량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다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온도에 의한 영향보다 pH에 의한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총 페놀 함량도 pectolinarin 함량과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같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저온($4^{\circ}C$)에서 보다 높은 온도인 $25^{\circ}C$$50^{\circ}C$에서 큰 감소치를 보였고 산성(pH 4.0)과 중성(pH 7.0)에서는 비교적 변화가 적었다. 항산화 활성은 저장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DPPH 라디칼 소거능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FRAP은 온도별, pH별 저장조건에 따른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를 고려해 볼 때, 고려엉겅퀴 주정 추출물은 산성(pH 4.0)과 중성(pH 7.0)조건에서 저온($4^{\circ}C$) 저장 시 추출물의 안정성을 최적화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반응표면분석법을 이용한 차가버섯의 초음파 추출공정 최적화 (Optimization of Ultrasonic-assisted Extraction Process for Inonotus obliquus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 김동연;텅후이;최용희
    • Current Research on Agriculture and Life Sciences
    • /
    • 제30권2호
    • /
    • pp.68-75
    • /
    • 2012
  • 본 연구에서는 항암효과가 뛰어난 차가버섯의 초음파 추출 공정 최적화를 위해 반응표면 분석법으로 모니터링하여 최적 추출 조건을 설정하였다. 중심합성계획법에 따라 추출 시간($X_1$), 에탄올 농도($X_2$), 추출 온도($X_3$)을 요인변수로 하고 추출 수율($Y_1$), 총 페놀함량($Y_2$), 총 플라보노이드함량($Y_3$), 갈색도($Y_4$)를 종속변수로 하여 시행 하였다. 실험 결과 추출 수율은 에탄올 농도와 추출 온도에 영향을 받음을 알 수 있었다. 안장점에서 추출 조건이 추출 시간 20.47min($X_1$), 에탄올 농도 42.85%($X_2$), 추출 온도 $69.57^{\circ}C$($X_3$)일 때, 최대값 18.02%로 나타났다. 총 페놀함량 또한 에탄올 농도와 추출 온도에 영향을 크게 받았다. 최대값은 71.57mg GAE/g으로 나타났으며 이때의 추출 조건은 추출시간 21.60min($X_1$), 에탄올 농도 45.19%($X_2$), 추출 온도 $69.68^{\circ}C$($X_3$)로 나타났다. 총 플라보노이드함량은 추출 온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고 안장점에서 추출 조건은 추출 시간 22.53min($X_1$), 에탄올 농도 46.37%($X_2$), 추출온도 $69.56^{\circ}C$($X_3$)였고 최대값은 35.98mg RE/g으로 예측되었다. 갈색도는 추출 시간, 에탄올 농도, 추출 온도 이 세가지 조건 모두에 영향을 크게 받았다. 안장점일 때의 추출시간 22.00min($X_1$), 에탄올 농도 46.89%($X_2$), 추출 온도 $69.71^{\circ}C$($X_3$)의 조건에서 최대값이 예측되었다. 앞에서 얻은 결과들을 바탕으로 contour map을 분석한 결과 추출시간 21.50min, 에탄올 농도 44.87%, 추출 온도 $69.64^{\circ}C$의 최적 추출 조건이 예측되었다.

  • PDF

조리된 브로콜리의 항산화 효과 및 Sulforaphane 함량 분석 (Sulforaphane Content and Antioxidative Effect of Cooked Broccoli)

  • 김지영;박상현;이기택
    • 동아시아식생활학회지
    • /
    • 제19권4호
    • /
    • pp.564-569
    • /
    • 2009
  • Antioxidative activities, total phenolic compounds and the sulforaphane contents of cooked broccoli extracts were studied. Total phenolic compounds were determined to be 0.96 mg/g(flower) and 0.76 mg/g(stem) in fresh broccoli extracts. The total phenolic compounds of cooked broccoli extracts showed 0.92 (1 min), 0.79 (3 min), 0.67 (10 min) mg/g when a boiling process was used and 1.27 (1 min) mg/g when a steaming process was used. In the DPPH assay, the steam process showed the highest free radical scavenging capacities. Sulforaphane has been of increasing interest in the nutraceutical and phamaceutical industries due to its anti-cancer effect. Sulforaphane was isolated from fresh and boiled, steamed broccoli using dichloromethane as an extract solvent. The sulforaphane contents of fresh broccoli were higher in the flower (14.78 mg/kg) than in the stem (6.16 mg/kg). The sulforaphane content dramatically decreased after the boiling ($100{\pm}2^{\circ}C$) or steaming ($100{\pm}2^{\circ}C$) processes were used.

  • PDF

계작지모가우슬탕(桂芍知母加牛膝湯) 약침이 류마티스 관절염 생쥐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Effect and Mechanism of Gamikyejakjimogawusul-tang Herbal Acupuncture on Induced Rheumatoid Arthritis model of DBA/1 mice)

  • 정순현;조종관;김소연;김영일
    • 혜화의학회지
    • /
    • 제24권2호
    • /
    • pp.35-57
    • /
    • 2016
  • Objectiv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e the effect and mechanism of Gamikyejakjimogawusul-tang(GKHA) herbal acupuncture on induced rheumatoid arthritis model of DBA/1 mice. Methods : We check effect of GKHA extract on the AST, ALT, Creatinine, BUN of serum and cell viability of GK extract in RAW 264.7 cells to test the stability of this study. In vitro, we measure total phenol contents, total flavonoid contents,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of Gamikyejakjimogawusul-tang, effect of GK extract on ROS(Reactive Ooxygen Species) production to estimate a anti-oxidant capacity, and we also measure effect of GK extract on NO (Nitric Oxid), IL-$1{\beta}$, IL-6, IL-17, IL-21, TNF-${\alpha}$, MCP-1, GM-CSF production in RAW 264.7 cells to estimate a anti-inflammatory efficacy. In vivo, we compare a rheumatoid arthritis manifestation between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and estimate a AI. Then we check effect of GKHA on the level of WBC, neutrophil, lympocyte, monocyte in the blood to see the effect of immune cells in blood. In addition we measure effect of GKHA on the level of hs-CRP, IgM, IgG, IL-$1{\beta}$, IL-6, IL-17, IL-21, TNF-${\alpha}$, MCP-1, GM-CSF in serum. We observe effects of GKHA on imaging of cartilage degeneration using micro CT-arthrography in paw hind. And we calculate effects of GKHA that reduced BV ratio, BS/BV ratio using 3D Micro-CT. Lastly we observe effects of GKHA histopathologic examination analysis. Results : 1. The toxicity on liver and kidney was disregardable and the cytotoxicity against RAW 264.7 cells was also disregardable. 1. Total phenol contents and total flavonoid contents in GK extract were in high level. 2. DPPH 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ABTS cation radical scavenging activity were increased according to concentration of GK extract 3. ROS production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K extract (at 10, $100{\mu}g/ml$). 4. NO, IL-6, TNF-${\alpha}$, MCP-1 produc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GK extract(at 10, $100{\mu}g/ml$). IL-17, GM-CSF production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in GK extract(at 1, 10, $100{\mu}g/ml$). IL-$1{\beta}$, IL-21 production were also decreased but there was no statistical significance. 5. 25x observation after H&E and M-T staining, infiltration of immune cells and subsidence of the cartilage and damage to the synovial cells were decreased. Conclusions : This study showed that GKHA extract had anti-oxidant capacity, anti-inflammatory efficacy. GKHA extract also had inhibiting effect on the process of rheumatoid arthritis and can protect joint and cartilage. So we expect that GKHA extract can be a meaningful treatment to rheumatoid arthritis patients.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 에탄올 추출물의 효소처리에 따른 생리활성 (Physiological Activities of Enzyme Hydrolysates in Ethanol Extracts from Sesame, Black Sesame and Perilla cake)

  • 손종연;장성환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9권4호
    • /
    • pp.407-416
    • /
    • 2013
  • 본 연구에서는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의 80% 에탄올 추출물과 그들의 효소분해물의 총 플라보노이드와 총 페놀함량, DPPH에 의한 전자공여능 측정,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ferrous ion chelating 효과를 비교, 조사하였다.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의 80% 에탄올 추출물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116.90, 102.20 및 141.90 mg/g이었으며, 총플라보노이드 함량은 각각 64.10, 32.00 및 131.90 mg/g이었다. 참깨박, 흑참깨박 및 들깨박 추출물의 효소분해물의 총페놀 함량은 각각 413.30, 221.20 및 409.10 mg/g이었으며, 총플라보노이드의 함량은 각각 361.80, 103.30 및 345.80 mg/g이었다. 전자공여능, 아질산염 소거능, SOD 유사활성능 및 금속제거능은 80% 에탄올 추출물보다 효소분해물에서 더 높았다. 전자공여능, SOD 유사활성, Ferrous ion chelating 효과의 크기는 들깨박 > 참깨박 > 흑참깨박의 순이었으며, 아질산염소거능(pH 1.2)의 크기는 참깨박 > 들깨박 > 흑참깨박의 순이었다.

Raffinose와 stachyose 함량이 낮은 콩과 두부의 품질특성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Low Raffinose and Stachyose (LRS) Soybean Cultivars and their Tofu)

  • 이수정;호문사;정종일;정보영;성낙주
    • 생명과학회지
    • /
    • 제27권11호
    • /
    • pp.1299-1307
    • /
    • 2017
  • LOX-1,2,3 결핍과 비소화성 당류인 raffinose와 stachyose 함량이 낮은 품종(LRS)인 진양콩, 하영콩 및 대복콩을 원료로 하여 제조한 두부의 품질특성을 태광콩 두부와 비교하였다. 태광콩과 하영콩의 백립중은 여타 시료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조단백질 함량은 태광콩에 비해 진양콩 및 하영콩에서 유의적으로 많았다. 두부의 수율은 태광콩, 하영콩 및 대복콩으로 만든 두부가 비슷한 수준이었다. 두부의 경도는 태광콩 및 대복콩으로 만든 두부가 가장 낮았으며, 하영콩으로 만든 두부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콩 및 두부의 이소플라본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LRS 콩은 약 1.4~1.6배, 두부는 약 1.8~3.4배 높은 함량이었다. 콩의 총 페놀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하영콩 및 대복콩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두부의 총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조구에 비해 하영콩 및 대복콩으로 만든 두부에서 유의적으로 높았다. 콩의 항산화 활성은 태광콩이 LRS 콩에 비해 높은 활성이었으나, 두부에서는 하영콩 및 대복콩으모 만든 두부가 대조구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 따라서 LRS 콩은 두부 제조에 적합하나 특히 하영콩이 콩의 단백질, 이소플라본 함량 및 두부의 항산화 활성 측면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판단된다.

배전시간에 따른 커피 추출물의 항균 및 항산화 효과 (Influence of Roasting Time on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Coffee Extract)

  • 김지영;한영숙
    • 한국식품조리과학회지
    • /
    • 제25권4호
    • /
    • pp.496-505
    • /
    • 2009
  • The influence of roasting time on antibacterial and antioxidative effects of methanol and water coffee extracts was investigated. Extract yield differed with roasting time. The maximum yield of methanol extract was 20.02% and 24.00% at respective roasting times of 12 and 20 min. The maximum yield of water extracts was 2.70% and 18.58% at 5 and 25 min roasting time, respectively. Antibacterial effects of each extract were determined by the classical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paper disc diffusion method. Methanol extracts of different coffee samples inhibited growth of various strains except Escherichia coli. Extracts obtained following roasting times of 12, 14, 16, 20, and 25 min in particular displayed the most potent activity against Staphylococcus aureus. Among these extracts, that obtained from 12 min roasted coffee samples produced a MIC of $16.125{\mu}g$/mL against S. aureus. Water extracts applied at $1,000{\mu}g$/mL were growth inhibitory except against Salmonella choleraesuis and Prevotella intermedia. However, growth inhibition by water extracts was weak, with inhibitory zones of only 6-8 mm diameter produced. Determinations of free radical elimination for the different coffee extracts using 1,1-diphenyl-2-picrylhydrazyl were compared with ascorbic acid and butylated hydroxytoluene positive controls. Methanol and water extracts of different coffee samples ($100{\mu}g$/mL) showed $67.1{\sim}92.3%$ and $66.4{\sim}93.3%$ radical scavenging activity, respectively. However, longer roasting time (especially >20 min) tended to somewhat lower free radical elimination using both extracts. Total phenol in different coffee samples measured by the Folin-Denis method revealed the highest level of phenol contents with non-roasted coffee, whereas phenol content differed with different roasting time, ranging from $87.{\sim}126.5\;mg/g$ in methanol extracts. In water extracts, the phenol content was maximum at 8 min roasting time, whereas in other samples the content was varied from $95.0{\sim}199.1\;mg/g$.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의 MMP-1 발현 억제 효능 증진 (Effects of Autoclaved Morinda officinalis Root Extract on the Suppressive Efficacy of MMP-1 Enzyme)

  • 강정욱;오정영;배준태;김진화;이근수;표형배
    • 대한화장품학회지
    • /
    • 제41권1호
    • /
    • pp.35-43
    • /
    • 2015
  • 파극천은 전통적으로 피부염증 치료에 사용되어온 약초이다. 본 연구에서는 파극천 뿌리를 고온($132^{\circ}C$) 및 고압($1.2kgf/cm^2$)에서 15분 동안 처리한 후 추출물을 분리하여 이들의 MMP-1 효소 억제 효능을 확인하였다.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의 성분변화를 확인한 결과, 고온고압 처리가 파극천 추출물의 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약 1.5배 이상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DPPH 및 superoxide 라디칼 소거능을 확인해 본 결과 $500{\mu}g/mL$에서 각각 79.25%, 94.5%의 라디칼 소거 효과가 나타났으며, 기존 추출물 대비 농도 의존적으로 활성 증가를 확인하였다. 또한, 항염 효과를 5-LOX 및 COX-2 저해능을 통해 확인한 결과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에서 약 45% 증가된 저해능이 나타났다. 이에 자외선에 대한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의 피부 콜라겐 단백질 분해효소 발현 저해 양상도 농도 의존적으로 발현이 억제되었으며 약 16% 정도 저해 효과가 유의적으로 증가되었다. UVB의 세포보호 효과도 고온고압 처리된 파극천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 세포생존율이 증가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파극천 추출물에 고온고압 처리를 통해 기존 추출물보다 뛰어난 항산화, 항염 및 MMP-1 발현 억제 효과의 증가를 확인하였으며, 앞으로 기능성 소재로서 화장품에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수직농장에서 광도와 광주기가 수경재배 바질의 생육 및 페놀 함량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Light Intensity and Photoperiod on the Growth and Phenol Contents of Hydroponic Basil in Vertical Farms)

  • 김선우;박종석
    • 생물환경조절학회지
    • /
    • 제32권4호
    • /
    • pp.353-358
    • /
    • 2023
  • 본 연구는 식물 공장에서 바질(Ocimum basilicum L.)을 동일한 일적산광량(DLI) 조건에서 5개의 광도와 광주기의 처리구를 설정하여 생육과 페놀 함량의 변화를 살펴보고자 수행되었다. 바질 종자를 4주간 암면 배지에 파종한 후 육묘하였다. 육묘 후 DLI 17mol·m-2·d-1로 유지하기 위해 광주기와 광도를 16h-295, 18h-260, 20h-235, 22h-215, 24h-200μmol·m-2·s-1 처리로 설정한 후 4주간 재배하였다. 수확 후 결과 바질의 초장, 측지 개수, 엽수는 16h-295 처리에서 24h-200 처리로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지상부 생체중과 건물중, 엽면적, 엽폭, 엽장은 18h-260 처리가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총 페놀 함량은 18h-260 처리가 16h-295, 20h-235, 22h-215, 24h-200 처리에 비해 각각 51.32, 172.71, 110.95, 119.71%로 유의하게 높았다. 따라서 인공광을 광주기가 짧고 높은 광도 조건인 18h-260 처리에서 바질을 재배하면 생육 품질과 총 페놀 함량 증대 효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된다.

Radical Scavenging Activity and Content of Cynarin (1,3-dicaffeoylquinic acid) in Artichoke (Cynara scolymus L.)

  • Jun, Neung-Jae;Jang, Ki-Chang;Kim, Seong-Cheol;Moon, Doo-Young;Seong, Ki-Cheol;Kang, Kyung-Hee;Tandang, Leoncia;Kim, Phil-Hoon;Cho, So-Mi K.;Park, Ki-Hun
    • Journal of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50권4호
    • /
    • pp.244-248
    • /
    • 2007
  • The contents of total phenol and total flavonoid of artichoke (Cynara scolymus L.) were measur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artichoke was evaluated based on its potential as a scavenging the ABTS radical. These results show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artichok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otal flavonoid content. The compound showing antioxidant activity was isolated from the artichoke by repeated column chromatography and recrystallization. Based on the spectrometric studies, the compound was identified as 1,3-dicaffeoylquinic acid, known as cynarin. The content of cynarin from heads and leafs of the artichoke determined by $C_{18}$ reversed phase H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coupled with photodiode array detector was 10.15 and 0.67 mg/g, respectively. This compound showed potent antioxidant activities against DPPH and ABTS radicals ($EC_{50}$ = 14.09 and 28.85 ${\mu}M$, respectivel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