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Summary/Keyword: total amino acids

검색결과 1,882건 처리시간 0.027초

유기질 부산물 비료에서 추출한 부식산 중 아미노산 특성 (Amino Acids in Humic Acids Extracted from Organic By-product Fertilizers)

  • 양재의;김정제;신명교;박용하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1권2호
    • /
    • pp.128-136
    • /
    • 1998
  • 토양의 질소 중 대부분은 유기태 질소이며, 아미노산은 유기태 질소의 주된 분획물이다. 부산물 비료는 토양에 유기물을 공급해 주며 부식산은 유기물의 주된 구성성분이다. 아미노산은 분해되어 유효태 질소로 전환되기 때문에 토양비옥도 측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연구에서는 제조원료가 상이한 11종류의 시관 부산물 비료로부터 부식산을 추출하고, 부식산에 함유되어 있는 아미노산의 함량 및 분포를 조사했다. 공시재료로 사용한 부산물비료의 대부분은 비료공정규격을 충족시켰으나, 일부 비료는 유기물함량이 낮고, C/N비가 너무 높아 부숙되지 않은 채 판매되고 있었다. 수피비료의 경우 부숙이 진행될수록 부식산, 훌부산 함량, ${\Delta}KogK$값이 감소되었고, 부식산/훌부산 비, RF값은 증가되어 이론과 일치했다. 부식산의 형태는 Rp형태에서 B형태로 전환되었다. 부산물비료 부식산 중 총 아미노산 함량은 1.2~5.6%였고, 이중 중성 아미노산이 0.8~4.5%로 가장 높았다. 부엽토, 톱밥, 수피등 식물성원료로 제조한 부산물비료의 경우 중성>산성>염기성 아미노산의 순서였고, 계분, 돈분등 동물성원료로 제조한 부산물비료의 경우 중성>염기성>산성 아미노산의 순서였다. 부산물비료를 비교할 때, 총 아미노산 분포는 부엽토>톱밥>돈분>계분>니토 순(順), 산성아미노산은 수피>톱밥>부엽토>니토 순(順)이었다. 염기성 아미노산 분포는 산성 아미노산과 역순이었다. 중성아미노산은 부엽토>톱밥>수피>니토의 순이었다. 수피비료의 경우, 부숙이 진행될수록 산성 아미노산함량은 증가했으나. 염기성 및 중성아미노산 분포는 감소했다. 부산물비료의 원료 및 부숙정도에 따라 아미노산의 함량 및 분포는 다름을 알 수 있었다.

  • PDF

녹두나물 성장과정중의 실소화합물과 유리아미노산의 변화에 관한 연구 (Changes of Nitrogen Compouds and Free Amino Acid of Mung-bean Sprout)

  • 김경자
    • 대한가정학회지
    • /
    • 제19권1호
    • /
    • pp.25-31
    • /
    • 1981
  • The changes of various nitrogenfractions and free amino acid composition were investigated at various growing stage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otal nitrogen, water soluble protein nitrogen, and true protein nitrogen were decreased with growth. 2) Free amino acid increased with sprout-growth. the content of free amino acid were about 74.4%(combined Ser, Asp, Arg, Val) after 4 day sprout. It is belived that serine, aspartic acid, arginine and valine play an important role as taste compounds in mungbean sprout. 3) 16kinds of amino acid, including essential amino acids in human nutrition except tryptophan and cystin were quantified.

  • PDF

늙은 호박의 부위별 화학성분 (Chemical Components in Different Parts of Pumpkin)

  • 박용곤;차환수;박미원;강윤한;석호문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6권4호
    • /
    • pp.639-646
    • /
    • 1997
  • 늙은 호박의 부위별 이화학적 특성 연구로서 호박의 유리당, 유기산, 아미노산, 카로데노이드 및 펙틴물 질의 함량과 특성을 조사하였다. 호박의 중량에 대해 과육부위가 84%로 가장 높은 함유율을 나타내었고, 껍질이 10%, 내부 섬유상물질이 3.5%를 차지하였다. 호박의 유리당은 fructose, glucose, sucrose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과육부는 fructose와 glucose가 전체 유리당의 87%를 차지한 반면 내부 섬유상물질은 sucrose의 함량이 높았고, 총 유리당 함량은 과육부가 섬유상부위 보다 3배 높았다. 유리아미노산의 경우 과육부는 serine이 102.0mg%로 전체 유리아미노산의 45%, 섬유상부위는 aspartic acid가 241.3mg%로 70%를 차지하였으며, 총 아미노산은 호박의 부위에 관계없이 aspartic, glu-tamic acid의 순으로 함량이 높았다. 유기산은 malic, cit-ric, succinic, fumaric acid로 구성 되어 있었으나 malic acid가 과육의 경우 85.2mg%, 섬유상 부위의 경우 226.5mg%로서 전체 유기산의 63~70%를 나타내었다 총 카로테노이드의 함량은 내부 섬유상물질이 65.3mg%로 호박 총 카로테노이드의 87%를 차지하였고, 과육, 껍질은 각각 6.6, 3.3mg%였다. 호박의 가용성 펙틴 함량은 수용성 펙틴이 총가용성 펙틴의 58%를 차지하였고, 섬유상부위가 과육부에 비해 그들의 총 함량이 높았다. 가용성 펙틴의 분자량 분포를 조사한 결과 과육부의 펙틴이 섬유상에 비해 다소 분자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호박펙틴의 중성당은 rhamnose, arabinose, galactose, glucose로 분리되었고, 이중 과육은 galactose가 45%, 섬유상은 glucose가 36.5%로 가장 높은 값을 나타내었다.

  • PDF

재래식 고추장 메주 숙성 중 화학적 특성 변화 (Changes i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Meju During Fermentation)

  • 박종면;이승수;오훈일
    •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
    • 제8권3호
    • /
    • pp.184-191
    • /
    • 1995
  • This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chemical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kochujang increase in fermentation time, whereas that of total sugar decreased rather rapidly during aging of meju. Amino nitrogen content of meju Increased sharply up to 40 days of fermentation and then decreased there after On the other hand, ammoniacle nitrogen content continued to increase with increasing aging time. Initially, maltose was the most abundant free sugar, but was later replaced by glucose or fructose as the fermentation proceeded. Among non-volatile organic acids, pyroglutamic acid was present at an appreciably other organic acids did not change considerably during fermentation. The total free amino acid content Increased up to 40th day of aging and then decreased thereafter The was the most abundant amino acid followed in decreasing order by Try and Glu in meju fermented for 40 days.

  • PDF

Rye-grass류의 물질생산, 단백질, aminotks, 엽록소, Carotene, RNA 및 DNA의 함량에 미치는 질소의 영향 (Effects of Nitrogen Nutrient on the Yield, Protein, Amino acid, Chlorophyll, Carotene, RNA, and DNA Contents in Rye-Grasses)

  • 장남기
    • Journal of Plant Biology
    • /
    • 제16권1_2호
    • /
    • pp.30-38
    • /
    • 1973
  • To study the response to plant growth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the effects of application of nitrogen on changes in the yield, crude protein, amino acids, chlorophyll, carotene, total phosphorus, acid-soluble phosphorus, phospholipids, RNA, and DNA were investigated with westerworlds 9Lolium sublatum) and perennial rye-grasses (Lolium perenne). The amounts of dry weight, crude protein, amino acids, chlorophyll, carotene, total phosphorus, acid-soluble phosphorus, phospholipids, RNA and DNA of both rye-grasses increased with adequately increasing nitrogen, and reached a maximum with an adequate application of nitrogen. The relationships between yields and crude protein contents, crude protein and RNA contents, and yields and RNA contents of westerworlds and perennial rye-grasses were found to be positively correlated, respectively. Therefore, in general, the response to plant growth by the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nitrogen nutrient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Environmental factors\longrightarrowDNA\longrightarrowRNA\longrightarrowProtein\longrightarrowPlant growth

  • PDF

자소자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Perillae semen)

  • 권용주;김충기;김용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81-385
    • /
    • 1998
  • 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r seme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 Perillae semen oil were analyzed for the use as an edible oil.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Perillae semen were 7.5% moisture, 33.2% crude fat, 16.3% crude protein, 2.8% crude ash, 6.5% crude fiber, and 33.7% nitrogen free extract. The major amino acids of Perillae semen were glutamic acid(66.9mg%), aspartic acid (32.5mg%), histidine(21.6mg%), and phenylaanine (20.1mg%). The ratio of essential/total amino acid was 41.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eed oil were 0.915 specific gravity, 1.4808 refractive index, 3.6 acid value, 181.7 iodine value, and 194.0 saponification value. Composition of major lipid of the oil fractionated by silicic acid chromatography was 94.2% neutral lipids and 5.8% polar lioids.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oil were linolenic, linoleic and oleic acid. Neutral lipids consisted of 59.9% linolenic acid, 15.6% oleic acid, 6.6% palmitic acid, and 2.5% stearic acid. Polar lipids consisted of 58.5% linolenic acid, 18.1% linoleic acid, 12.7% oleic acid, 7.7% palmitic acid, and 3.0% stearic acid.

  • PDF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LM1001 Improves Digestibility of Branched-Chain Amino Acids in Whey Proteins and Promotes Myogenesis in C2C12 Myotubes

  • Youngjin Lee;Yoon Ju So;Woo-Hyun Jung;Tae-Rahk Kim;Minn Sohn;Yu-Jin Jeong;Jee-Young Imm
    • 한국축산식품학회지
    • /
    • 제44권4호
    • /
    • pp.951-965
    • /
    • 2024
  • Lactiplantibacillus plantarum is a valuable potential probiotic species with various proven health-beneficial effects. L. plantarum LM1001 strain was selected among ten strains of L. plantarum based on proteolytic activity on whey proteins. L. plantarum LM1001 produced higher concentrations of total free amino acids and branched-chain amino acids (Ile, Leu, and Val) than other L. plantarum strains. Treatment of C2C12 myotubes with whey protein culture supernatant (1%, 2% and 3%, v/v) using L. plantarum LM1001 significantly increased the expression of myogenic regulatory factors, such as Myf-5, MyoD, and myogenin, reflecting the promotion of myotubes formation (p<0.05). L. plantarum LM1001 displayed β-galactosidase activity but did not produce harmful β-glucuronidase. Thus, the intake of whey protein together with L. plantarum LM1001 has the potential to aid protein digestion and utilization.

대두(大豆)의 질소대사(窒素代謝)에 관(關)한 연구(硏究) -II. 유(幼) 식물시기(植物時期)에서의 유리(遊離)아미노산(酸)의 소장(消長) (Studies on the Nitrogen Metabolism of Soybeans -II. Variation of Free Amino acids during the Growth of Younger Plants)

  • 강영희
    • 한국토양비료학회지
    • /
    • 제3권1호
    • /
    • pp.49-54
    • /
    • 1970
  • 대두(大豆)의 유식물시기(幼植物時期)에 있어서의 가용성(可溶性)질소와 Amino 산 및 Total alcohol 가용(可溶) Aminno 산을 자엽(子葉)과 배적(胚的)기관으로 구분(區分)하여 그의 생육(生育)에 따른 소장(消長)을 검토하면서 중간(中間)대사 및 생합성(生合成)의 면(面)을 고찰하여 보았다. 1. 가용성(可溶性)질소에 있어서는 증감의 비율은 자엽(子葉)과 배적(胚的)기관에서 공(共)히 비슷한 현상을 나타냈으며 발아후 17일(日)째 즉 성엽이 전개한 시기에는 최고치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유식물시기(幼植物時期)에 있어서는 형태적으로 뚜렷한 시기인 성엽 형성시기를 경계로 하여 그 전기는 질소동화기 임을 뒷받침하여 주었다. 2. 종자(種子)상태에서 검출한 Amino 산은 17종(種)이었으나 침종(浸種) 3일째에는 19종(種)이였으며 그간(間) Amino 산의 분포(分布)에 이동이 있었다. 배적(胚的)기관이 분화(分化)하기 시작한 것이 발아후 9일(日)째부터였는데 이후 자엽(子葉) 배적(胚的)기관을 막론하고 검출된 수(數)에도 변동이 있을 뿐만 아니라 분포(分布) 및 양적(量的)관계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다. 특히 현저한 것은 Asparagine의 축적을 들을 수 있다. Asparagine의 축적의 현상은 외부에서 전혀 양분을 공급하자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형성되고 있다는 것인데 이것이 곧 타식물(他植物)의 배(胚)와는 전(全)혀 다른 대두(大豆)의 특이(特異)한 현상이라고 말할 수 있다. 3. 배적(胚的)기관에 있어서는 분화(分化)초기에는 검출된 Amino 산의 수(數)가 적었고 이어서 그 수(數)가 약간 증감하는 현상을 나타냈다. 이것은 즉 초기에 검출된 것은 자엽(子葉)에서 이동한 것이고 그것이 기초가 되어서 Amino 산의 중간대사를 형성하기 때문에 생겼다고 볼 수 있다. 4. 전(全) Alcohol 가용(可溶) Amino 산의 증감현상은 수용성질소의 그것과 크게 다른 경향은 없었다. 그러나 양자(兩者)사이에 함유량의 차(差)는 심하였다.

  • PDF

가열온도에 따른 영귤 과즙의 성분 변화 (Changes of Components of Citrus Sudachi Juice Heated at Various Temperatures)

  • 김영동;이영철;오영주;강영주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238-244
    • /
    • 2001
  • 본 연구에서는 가열온도에 따른 영귤 과즙의 성분 변화를 조사하여 영귤 가공의 기초 자료로 사용하고자 총산도, $^{\circ}Brix$, pH, 유기산, 유리 아미노산, 비타민 C, 나린진, 헤스페리딘, 네오헤스페리딘 함량, 향기 성분을 분석하였다. 영귤 과즙에는 유기산이 oxalic, citric, malic acid가 존재하였으며, citric acid가 92.8-94.1%로서 대부분을 차지하였고, 그외 malic acid와 oxalic acid 순으로 소량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열온도가 $40^{\circ}C$에서 $90^{\circ}C$로 증가할수록 총 유기산의 함량은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여, 가열 전에 비하여 $90^{\circ}C$로 가열 후 약 0.3%가 감소하였다. 영귤 과즙에 존재하는 유리 아미노산은 alanine, threonine, proline, aspargine과 aspartic acid, serine, tyrosine, tryptophane이 주요 유리 아미노산이었다. Arginine, valine, glycine, isoluecine, leucine, histidine등은 소량 존재하였다. 가열함에 따라 유리 아미노산 총량과 개개의 유리 아미노산 함량은 감소하였다. 영귤 과즙에는 비타민 C가 21.3mg% 존재하였으나, 가열함에 따라 점차 감소하여 $90^{\circ}C$에서는 17.3mg%가 존재하였다. 영귤 과즙에 존재하는 나린진, 헤스페리딘, 네오헤스페리딘 함량은 304mg%였으며, 가열함에 따라 297.0mg%로 약간 감소하였다. 영귤 과즙 향기 성분 중 limonene이 가장 많고, ${\gamma}-terpinene,\;{\alpha}-phellandrene$, myrcene, ${\alpha}-pinene$ 등이 주요 향기 구성 성분으로 나타났다. ${\alpha}-Thujene$는 가열하기 전 과즙에는 존재하였으나, $50^{\circ}C$ 이상 가열한 과즙에는 존재하지 않았다. 반면, ${\alpha}-terpinolene$, terpinene-1-ol, ${\beta}-terpineol$, $cis-{\beta}-terpineol$, ${\alpha}-muurolene$, bicyclo(3.2.0)hept-6-ene, mentha-1.4.8-triene 등은 가열하지 않은 원액과 $70^{\circ}C$까지 존재하지 않았으나, $90^{\circ}C$ 가열시에 새로 생성되었다.

  • PDF

다시마 첨가 사료가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Diet with Laminaria religiosa on Egg Quality)

  • 조길석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3권6호
    • /
    • pp.714-719
    • /
    • 2006
  • 다시마가 계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해 다시마 분말을 일반사료에 10, 20% 첨가한 혼합 사료를 제조한 후 산란계에 10주간 식이하면서 생산한 계란의 색깔, 무기질 조성, 난각의 강도, 총 콜레스테롤 함량 및 아미노산 조성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다시마 함량을 증가시킴에 따라서, 난백 및 난황의 색깔은 검붉은 색으로 변화하는 경향이나 시험구간의 유의차는 거의 없었다. 무기질 중, 칼슘, 철, 칼륨, 마그네슘의 함량은 증가하고 인의 함량은 감소하여 총 무기질 함량은 860.9mg%에서 936.8 mg%로 증가하였다. 난각의 파단강도 (tensile strength)는 $63g/cm^2$에서 $77g/cm^2$로 높아졌다. 총콜레스테롤의 함량은 1,760mg%에서 1,113 mg%로 36.8% 감소하였다. 분석 한 17개 아미노산 중 histidine을 제외 한 모든 아미노산은 감소하였으나, histidine 함량은 2,024.0mg%에서 2,119.6 mg%로 증가하였다. 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42.1%에서 42.6%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