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제목/요약/키워드: total amino acid

검색결과 2,450건 처리시간 0.032초

Nutrient Components in the Siphon of the Surf Clam Tresus keenae

  • Choi, Jong-Hwa;Shin, Tai-Sun;Ahn, Chang-Bum
    •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 /
    • 제8권2호
    • /
    • pp.43-50
    • /
    • 2005
  • We evaluated the nutritional composition of the siphon of the surf clam Tresus keenae in regard to the presence of nitrogenous [amino acids,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total creatinine, betaine, trimethylamine oxide (TMAO), and trimethylamine (TMA)] and non­nitrogenous compounds (sugars and organic acids), lipid fatty-acid composition, and occurrence of minerals. The content of total free amino acids was 660.27 $\pm$ 7.94 mg/100 g, and the predominant amino acids were arginine, alanine, sarcosine, glycine, and glutamic acid. These amino acids accounted for $71\;\%$ of the total free amino acids. Among the nucleotides and their related compounds, inosine was the major component and comprised 40.38 $\pm$ 0.02 mg/100 g. Free amino acids were the largest contributor to total extracted nitrogen, comprising $49.94\%$, followed by total creatinine, betaine, nucleotides, and ammonia; the contribution of TMAO and TMA was small. For the non-nitrogenous compounds, malic acid, propionic acid, and succinic acid comprised the major portion of the ten kinds of organic acids detected, and the sugars found were glucose, maltose, and arabinose, which were estimated to be $147.0\pm7.15,\;34.45\pm1.09,\;and\;1.21\pm0.02\;mg/100\;g,$ respectively. The predominant minerals were Na and K, which comprised $11.43\pm1.06\;and\;9.46\pm1.02\;mg/100\;g,$ respectively. The major fatty acids were C22:6, C20:5, C23:0, C18:3, and C16:0 in the lipid fractions. The 23:0 level of glycolipid (GL) was the highest of any other lipid fraction. The amount of total polyunsaturated fatty acids (PUFA) in the lipid fractions was higher, ranging from $58.22\%\;in\;GL\;to\;77.1\%$ in phospholipid (PL), compared to the saturated and monounsaturated fatty acids. Of the n-3 fatty acids, C20:5 and C22:6 contributed $35.30-64.44\%$ of PUFA in the lipid fractions. The ratios of n-3 to n-6 PUFA in total lipid (TL), neutral lipid (NL), PL, and GL were 4.35, 4.26, 6.69, and 2.04, respectively.

해양심층수 소금으로 제조한 간장의 발효기간에 따른 품질변화 (Changes i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oy Sauce Made with Salts Obtained from Deep Ocean Water)

  • 권오준;김미애;김태완;김대곤;손동화;최웅규;이선호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7권6호
    • /
    • pp.820-825
    • /
    • 2010
  •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측면에서 일반 소금보다 우수한 해양심층수 소금을 이용하여 간장을 제조한 후 발효기간에 따른 품질특성을 조사하였다. pH와 완충능은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감소하였다. 순추출물의 함량은 점차 증가하여 발효 120일째에 7.5%로 나타났다. 간장의 갈색화는 발효 30일 째에 대부분의 갈색화가 진행되었다. 총질소와 아미노태 질소는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점차 증가하여 발효 12일째 각각 1.4%와 0.75%를 나타내었다. 유리아미노산의 함량은 179.8~315.7 mg%가 검출되었으며, 발효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점차 함량이 증가하였다. 발효 전 기간에 걸쳐 glutamic acid가 가장 많았으며, alanine, lysine 및 leucine의 순으로 많았다. 총 유리 아미노산에 대한 glutamic acid의 비율은 21.0~23.2%였으며, 필수아미노산의 함량은 발효 30일째에 78~142.3 mg%가 검출되었으며, 발효가 진행됨에 따라 그 함량도 증가하였다.

자소자의 아미노산 및 지방산 조성 (Amino Acid and Fatty Acid Compositions of Perillae semen)

  • 권용주;김충기;김용재
    •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
    • 제27권3호
    • /
    • pp.381-385
    • /
    • 1998
  • Chemical components of Perillar semen and physico-chemical properties o Perillae semen oil were analyzed for the use as an edible oil. The proximate compositions of Perillae semen were 7.5% moisture, 33.2% crude fat, 16.3% crude protein, 2.8% crude ash, 6.5% crude fiber, and 33.7% nitrogen free extract. The major amino acids of Perillae semen were glutamic acid(66.9mg%), aspartic acid (32.5mg%), histidine(21.6mg%), and phenylaanine (20.1mg%). The ratio of essential/total amino acid was 41.3%. The physico-chemical properties of the seed oil were 0.915 specific gravity, 1.4808 refractive index, 3.6 acid value, 181.7 iodine value, and 194.0 saponification value. Composition of major lipid of the oil fractionated by silicic acid chromatography was 94.2% neutral lipids and 5.8% polar lioids. The major fatty acids of the oil were linolenic, linoleic and oleic acid. Neutral lipids consisted of 59.9% linolenic acid, 15.6% oleic acid, 6.6% palmitic acid, and 2.5% stearic acid. Polar lipids consisted of 58.5% linolenic acid, 18.1% linoleic acid, 12.7% oleic acid, 7.7% palmitic acid, and 3.0% stearic acid.

  • PDF

옥돔건조중의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IN FREE AMINO SCIDS OF YELLOW SEA BREAM BRANCHIOSTEGUS JAPONICUS JAPONICUS DURING DEHYDRATION)

  • 하진환;이응홍
    • 한국수산과학회지
    • /
    • 제13권1호
    • /
    • pp.27-31
    • /
    • 1980
  • 제주도에서 즐겨 먹어온 전통적인 수산식품중의 하나인 옥돔, Eranchiostegus japonicus japonicus, 건조중의 유리아미노산을 분석한 결과 생원료와 건조옥돔에서 17종의 유리아미노산을 분리 고정할 수 있었다. 생원료의 유리아미노산 조성을 보면 함량이 많은 것은 lysine, alanine, threonine, arginine이고 그 다음이 taurine, serine, proline, glycine, glutamic acid, leucine이고 valine, methionine, tyrosine, isoleucine, phenylalanine은 함량이 적었고 특히 aspartic acid와 histidine은 그 함량이 제일 적었다. 옥돔건조중 유리아미노산 조성에는 변화가 없었다. 그리고 건조중 유리아미노산 총량은 생원료에 비하여 $40\%$ 증가하였다. 건조옥돔에는 전체 유리아미노산중 lysine이 $18.4\%$, alanine 이 $14.7\%$, glutamic acid가 $8.8\%$, arginine이 $7.3\%$로서 이들4종 아미노산이 전 유리아미노산의 $48.4\%$를 차지하였다. 또 건조중 특히 많이 증가한 아미노산은 aspartic acid와 glutamic acid로 각각 2.9배, 2.1배 증가하였으나 taurine과 histidine은 $48\%,\;44\%$씩 감소하였다. 건조옥돔의 유리아미노산 중에는 좋은 맞을 가진 glutamic acid, 단맛을 가진 lysine, alanine이 많이 함유되어 있고 또 TMAO도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이 복합적으로 건조옥돔의 독특한 맛에 중요한 구실을 할 것으로 생각되어진다.

  • PDF

국(麴)의 첨가가 아미노산간장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Addition of Koji on Quality of Amino Acid Soysauce)

  • 김찬조;이석건;이종수;박창희
    • Applied Biological Chemistry
    • /
    • 제31권2호
    • /
    • pp.154-161
    • /
    • 1988
  • 아미노산간장의 품질을 개선하여 공업적규모의 국첨가 아미노산간장을 제조하기 위한 자료를 얻고자 총질소농도를 0.5%에서 1.5%까지 각각 조정한 아미노산간장에 탈지대두와 소맥국을 첨가하여 담금한 국첨가 아미노산간장의 숙성과정중 각종 물리화학적 성분을 분석 하였다. 총질소와 아미노태질소, 비중, 순고형분, 색도 및 적정산도는 총질소농도를 높게 조정하여 담금한 국첨가 아미노산간장에서 높았으나 총질소와 아미노태질소의 증가량은 총질소농도를 높게 조정한 시험구에서 낮았다. 환원당은 담금 1개월경까지 총질소농도가 높은 시험구에서 높았고 pH는 담금 2개월경까지 총질소농도가 낮은 시험구에서 높았다. 에칠알콜은 담금 5개월후 총질소농도를 0.5%로 조정한 시험구에서는 2.07%이었고 1.5%의 시험구에서는 1.44%이었다. 레브린산과 젖산은 총질소농도가 낮은 시험구에서 그 함량이 높았고 구연산은 숙성 전과정동안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국첨가 아미노산간장의 양조에는 총질소함량이 0.5% 내지 0.7%가 되도록 아미노산간장을 희석하여 담금한 후 약 $2{\sim}3$개월간 숙성시키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 PDF

굴비 가공(加工)중의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in Free Amino Acids of Yellow Corvenia, Pseudosciaena manchurica, during Gulbi Processing)

  • 이응호;성낙주;하진환;정승용
    • 한국식품과학회지
    • /
    • 제8권4호
    • /
    • pp.225-229
    • /
    • 1976
  • 우리나라의 독특(獨特)한 수산가공품(水産加工品)의 일종(一種)인 굴비의 정미성분(呈味成分)에 대한 기초자료(基礎資料)를 얻기 위하여 참조기, Pseudosciaena manchurica,를 원료(原料)로 하여 굴비가공(加工) 중의 유리아미노산의 변화(變化)를 실험(實驗)하였다. 참조기의 유리아미노산 조성(組成)을 보면, 함량이 많은 것은 glutamic acid, alanine, lysine이고, 다음이 leucine, glycine, serine, threonine이고, 함량이 적은 것은 isoleucine, histidine, aspartic acid이며, proline, valine, methionine, tyrosine, phenylalanine은 함량이 극히 적었다. 굴비가공(加工)중 유리아미노산 조성(組成)에는 변화(變化)가 없었다. 그리고 굴비가공(加工)중 유리아미노산 총량(總量)은 원료(原料)에 비하여 3.6배(倍)로 증가(增加)하였다. 염장공정(鹽藏工程)중 유리아미노산이 원료(原料)에 비하여 3.5배(倍)로 증가(增加)하였으며, 염장후(鹽藏後) 건조공정(乾燥工程)중에는 원료(原料)에 비하여 양적으로 1%증가(增加)하여 거의 변화(變化)가없었다. 굴비제품(製品)에는 전(全)유리아미노산중 glutamic acid가 20.0%, lysine이 12.9%, leucine이 11.1%, alanine 이 10.1%, valine이 8.5%로서 이들 5종(種)의 아미노산이 전(全)유리아미노산의 62.6%를 차지하였다. 굴비의 유리아미노산중에는 좋은 맛을 가진 glutamic acid, 단맛을 가진 lysine, alanine 그리고 쓴맛을 가진 leucine등이 많이 함유되어 있으므로 이들 유리아미노산이 굴비의 독특(獨特)한 풍미(風味)에 중요(重要)한 구실을 할 것이라는 결론(結論)을 얻었다.

  • PDF

곶감과 동충하초 첨가에 따른 청주(삼백주)의 발효 특성 변화 (Changes of Quality Characteristics in Brewing of Chungju(Sambaekju) Supplemented with Dried Persimmon and Cordyceps sinensis)

  • 이원영;이창호;우철주
    • 한국식품저장유통학회지
    • /
    • 제11권2호
    • /
    • pp.240-245
    • /
    • 2004
  • 본 연구에서는 곶감과 동충하초의 첨가에 따른 청주(삼백주)의 발효 특성을 조사하였다. 환원당 함량을 측정한 결과 발효가 경과함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알코올 함량의 변화 발효가 경과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각 담금 후의 최종 알코올의 함량은 각각 5.8%, 11.4% 및 16.5%를 나타내었다. 총산의 함량과 아미노산도는 발효 과정에 따라 증가 추세를 보였다. 유기산 함량은 젖산의 함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타의 유기산은 초산, 사과산, 호박산등은 검출되었으나 구연산과 주석산은 검출되지 않았다. 유리 아미노산의 함량은 L- proline의 함량이 1151.7 mg%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총 유리 아미노산과 필수 아미노산의 함량은 각각 1.19%와 217.70 ppm이었다.

무늬수중다리좀벌(Brachymeda lasus Walker)에 의해 기생된 꿀벌부채명나방(Gallena mellonella L.) 번데기의 혈림프 대사물질에서 단백질, 탄수화물, 유리아미노산의 변화 (Changes in the Haemolymph Metabolites, Protein, Carbohy-drate, and Free Amino Acid of Gallena mellonella L. Parasi-tized by the Pupal Parasitoid, Brachymeda lasus Walker)

  • 이해풍;고태용;이경로
    • 한국동물학회지
    • /
    • 제33권2호
    • /
    • pp.166-174
    • /
    • 1990
  • 꿀벌부채명나방이 무늬수종다리좀벌에 의해 기생 되었을때 이 기주의 혈림프에서 대사물질의 변화가 생겼다. 이 기새벌에 의해 기생된 기주와 기생되지않은 기주의 혈림프에서 총단백질과 총탄수화물의 농도를 비교하여보면, 기생된 기주에서 전체적으로 뚜렷이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그러나, 총유리아미노산은 기생된 후 첫날을 제외하고 기생된 기주에서 전체적으로 뚜렷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유리아미노산 중에서 glycine, proline, arginine, isoleucine, phenylalanie, leucine,valine, glutamk acid,histidine, serine, tyrosine은 뚜렷이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고,threonine, aspartic acid, methionine, cysteine, alanine,lysine는 약간의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 PDF

초기 이유된 돼지에 있어서 식이내 함황 아미노산 함량이 혈장 타우린 농도와 간의 Cysteinsulfinate decarboxyl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Sulfur Amino Acid Content of the Diet upon Plasma Taurine Concentration and Hepatic Cysteinesulfinate Decarboxylase Activity of the Early Weaned Pigs)

  • 이흥미
    •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 /
    • 제29권3호
    • /
    • pp.260-266
    • /
    • 1996
  • Eighteen crossbred pigs were weaned at 4 days of age and fed up to 28 days of age to examine the effect of sulfur amino acid content of three diets upon plasma taurine concentration and hepatic cysteinesulfinate decarboxylase activity. The experimental diets consisted of either whey protein (W) or partialy hydrolyzed soy protein (S) as the source of protein. 0.25% methionine was added to the S diet for the third dietary regimen (SM). Sulfur amino acid content(methionine plus cystine)of the three diets was 1.53%, 1.34% and 1.09% for the W, SM and S diet, respectively. Plasma taurine concentration from the pigs fed the three experimental diets reflected the total sulfur amino acid content of the diet. The S diet resulted in a significantly lower plasma tarrine level than the W and SM diets throughout the experiment. After three weeks, pigs fed the W diet had significantly higher plasma taurine concentration than those fed SM diet. Therfore it appears that taurine requirement of the pig depends on the sulfur amino acid contents of the diets and the conversion o sulfur amino acid to taurine seemed not to be limited by any factor when sulfur amino acid was below 1.53% of the die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ree dietary groups in hepatic cysteinesulfinate decarboxylase activity and this suggests that the reduced cysteinesulfinate decarboxylase activity due to high sulfur amino acid in the diet may not occur in the pig liver.

  • PDF

INTRACELLULAR AMINO ACID PROFILE OF RUMEN BACTERIA AS INFLUENCED BY UREA FEEDING AND ITS DURATION

  • Kobayashi, Y.;Wakita, M.;Hoshino, S.
    • Asian-Australasian Journal of Animal Sciences
    • /
    • 제6권4호
    • /
    • pp.619-622
    • /
    • 1993
  • Rumen bacterial amino acids in sheep on urea diet were monitored to assess a possible change in amino acid synthesis as a long term response to high rumen ammonia environment. A sheep was fed a semipurified diet with soybean meal, followed by a diet with urea as a main nitrogen source. Mixed rumen bacteria were harvested from ruminal fluid taken 3 h after feeding (twice in soybean meal feeding and 6 times in urea feeding) and fractionated as cell wall, proteins and protein-free cell supernatant of monitor amino acids in each fraction. Ruminal ammonia concentration at the sampling ranged from 5.7 to 39.5 mgN/dl. Cell wall and protein fractions of mixed rumen bacteria were stable in their amino acid composition regardless of nitrogen sources of diet and the feeding duration. However, protein-free cell supernatant fraction showed a higher alanine proportion with urea feeding (18.6 and 28.2 molar % of alanine for samples from sheep fed soybean meal and urea, respectively) and its duration (20.6 and 32.9 molar % for samples from sheep on urea diet for 1 and 65 days, respectively). Total free amino acid level of bacteria was depressed in the initial period of urea feeding but restored on 65th day of the feeding. These results suggest that an alanine synthesizing system may develop in rumen bacteria as urea feeding becomes longer.